자기계발과 마음공부

地 水 火 風 四大와 人體의 關系

장백산-1 2013. 10. 30. 01:12

지수화풍(地水火風) 사대(四大)와 人體


오온(五蘊) 중 색온(色蘊)은 地水火風에 六根(眼, 耳, 鼻, 舌, 身, 意)까지가 합한 것을 말하는데, 여기서는 


순수한 地水火風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색온에 대하여 세친(世親: 인도 4~5세기 학승 : 대승불교 


학승)의 저서인 구사론(俱舍論)과 대비바사론, 순정이론 등에 나와 있다.


(1) 색온(色蘊)의 특질


위 논서에서 세친은 色蘊에는 변괴(變壞)와 변애(變碍)의 性質이 있다고 주장한다.

●변괴(變壞) : 恒常 變化하여 破壞되기 쉽다는 것이다.

●변애(變碍) : 변애는 일정한 空間을 차지하고 있어 다른 것의 침입을 防害한 다는 의미가 있다.

 

이러한 생각은 서양의 원자론과 비슷하다. 불교에서는 당시 印度哲學을 원용하여,

 

극미(極微= 현대 소립자론과 비슷)설을 세우고 있다. 이 極微가 上下四方 集合하여 미진(微塵)이 됩니다.

 

그리고 7개의 微塵이 모여서 금진(金塵)이 되고, 더 나아가 수진(水塵)이 됩니다.

 

우리의 身體도 物質이므로 窮極的으로 極微까지 분해가 된다.


(2) 4대설(四大說)

물질의 最小 단위인 이 極微를 性質에 따라 나눈 것이 地, 水, 火, 風 의 4종이다.

이것이 서로 모여 물질인 신체를 구성하는 데 이것은 언젠가 흩어지게 되므로 거짓 사대(四大)라 한다.


지(地)의 극미(極微)는 견성(堅性)     또는 堅固性

수(水)의 극미(極微)는 습성(濕性)     또는 습윤성(濕潤性)

화(火)의 극미(極微)는 열성(熱性)     또는 온난성(溫暖性)

풍(風)의 극미(極微)는 행동성(行動性) 또는 유동성(流動性)


그런데 지수화풍이 모였다 흩어지는 現狀을 거짓사대라고 하나  地水火風 自體의 性質은 本來 있다는 것입니다.


즉 현대 물리학에서 素粒子 상태로 完全히 分解되면 物質의 性質 없어지고 모두 波長과 에너지로 變化하므로


자기의 實體가 없게 되지만, 일단 原子와 原子 結合하여 分子 상태를 만들면 物質 固有의 性質이 생기는 원리와 같습니다.

  

   ● 실사대(實四大) = 4가지 에너지

      火(불)는 태우고, 비추는 작용     : 열성(熱性)     또는 온난성(溫暖性)

      水(물)은 더러움을 맑게 하는 작용 : 습성(濕性)     또는 습윤성(濕潤性)

      風(바람)은 티끌을 날리는 작용    : 행동성(行動性) 또는 유동성(流動性)

                 ⇒ 사람과 초목을 위해 혼(魂)이 됨                      

      地(흙)은 草木을 生成시키는 작용  : 견성(堅性)

 

   ◇ 실사대(實四大)가 調和롭게 작용하면 건강체이다.


(3) 실사대(實四大)와 육체와의 관계

   대비바사론(大毘婆沙論)에 의하면 四大가 人體에 미치는 影響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1)지대(地大)는 임지(任持) : 계속 유지하는 것

     - 뼈, 근육, 내장 등 고체 부분

   

2)수대(水大)는 섭취(攝取) : 침투하는 작용이 포함

     - 피, 대. 소변 등 액체 부분 또는 액체를 많이 포함하는 부분

   

3)화대(火大)는 성숙(成熟) : 열성의 작용

     - 발열, 소화 작용

   

4)풍대(風大)는 증장(增長) : 증대의 의미이며, 유동성을 기반으로 함

     - 호흡기관과 신진대사


실사대(實四大)와 육체와의 관계

구 분

성 질

작 용

연결 영역

지대(地大)

견성(堅性)

임지(任持)

뼈, 근육, 내장 등 고체 부분

수대(水大)

습성(濕性), 

습윤성(濕潤性) 

섭취(攝取)

피, 대. 소변 등 액체 부분 

액체를 많이 포함하는 부분

화대(火大)

열성(熱性), 

온난성(溫暖性)

성숙(成熟)

발열, 소화 작용

풍대(風大)

행동성(行動性),

유동성(流動性)

증장(增長)

 호흡기관과 신진대사


 
//

가져온 곳
 카페 >불교인드라망
|
글쓴이 : 연꽃예찬(88)| 원글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