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뱅 이후 초기 우주 모습 밝힐 새 이정표 발견
입력 2017.06.11. 12:01
(대전=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
우주 빅뱅(대폭발) 이후 초기 우주 모습을 살펴볼 새로운 실마리가 발견됐다.
한국연구재단은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ERN) 대형이온충돌실험(ALICE) 연구팀이 양성자와 양성자 간 충돌 실험을 통해 기묘입자 생성량 증가를 관측했다고 11일 밝혔다.
45개국 3천명이 넘는 과학자가 공동 연구 중인 대형이온충돌실험에는 인하대 윤진희 교수를 비롯한 국내 연구진 45명도 참여하고 있다.
기묘입자(奇妙粒子)는 위(up) 아래(down) ·기묘(strange) ·맵시(charm) ·바닥(bottom)·꼭대기(top) 등 6개의 쿼크 중 세 번째로 무거운 기묘 쿼크(strange quark)를 포함한 입자다.
대형이온충돌실험은 빅뱅 이후 초기 우주 '쿼크-글루온 플라스마(QGP)' 상태를 연구하고자 대형강입자충돌기(LHC)를 이용해 중이온을 충돌시키는 게 골자다.
쿼크-글루온 플라스마는 초고온·초고압에서 쿼크와 글루온(쿼크를 엮는 힘을 전달하는 소립자)이 액체 같은 자유도를 가질 것이라고 예측되는 상태다.
빅뱅 이후 초기 우주가 이런 모습이었을 것으로 학계에선 예상한다.
연구진은 양성자-양성자 충돌 실험에서 기묘입자 양과 각 기묘입자 파이온(위 쿼크와 아래 쿼크로 이뤄진 중간자)에 대한 상대량을 구하는 실험을 했는데, 기묘 쿼크를 많이 가진 입자일수록 그 값이 급격하게 늘어났다.
이를 토대로 분석 결과 기존 납 핵 간 충돌뿐만 아니라 양성자 간 충돌에서도 기묘입자 생성량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양성자 충돌에서도 쿼크-글루온 플라스마 같은 새로운 물질상태가 생성될 수 있다는 뜻이다.
학계에선 기묘입자 증가 원인에 대한 연구를 한 단계 끌어올려 우주 초기 상태 물질과 쿼크-글루온 플라스마 특성 연구에 대한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했다는 평이다.
실험에 참여한 윤진희 교수는 "납 핵 간 충돌에 따른 쿼크-글루온 플라스마 상태에서의 기묘입자 생성량 증가가 양성자 간 충돌에서도 비슷한 비율로 발생한 것을 확인한 것"이라며 "기묘입자 증가가 중이온 충돌 실험만의 고유한 특성이 아니라는 것을 밝힌 실험"이라고 설명했다.
윤진희 교수는 "이 과학적 발견 과정에서 한국 연구진은 기묘 쿼크(strange quark)를 2개 포함하는 크사이 입자를 재구성해 운동량에 따른 생성량 분포를 계산했다"며 "이번 양성자 간 충돌 외에 다른 시스템 충돌에서도 기묘 입자 생성량을 밝히는 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한국연구재단 지원 '한국·CERN 국제협력사업'과 '기초연구실험 데이터 글로벌 허브 구축사업'으로 수행했다.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 대형이온충돌실험 전체 컴퓨팅 인프라의 10%를 담당하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컴퓨팅 인프라도 활용했다.
결과 논문은 물리학 분야 세계 최고 권위 학술지 '네이처 피직스(Nature Physics)' 이달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walden@yna.co.kr
'청화스님과 현대물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일에 가렸던 ' IC342 은하' 속살 드러내다 (0) | 2017.07.10 |
---|---|
나(大我)를 찾는 방법 (滿空 선사) (0) | 2017.06.16 |
사세게(辭世偈) - 청화 스님 (0) | 2017.05.05 |
-이 세상을 떠나면서- (0) | 2017.05.05 |
죽음의 나선..블랙홀로 다가간 별의 마지막 (0) | 2017.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