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먹기에 따라 달라지는 인생
당신의 잠재의식은 오직 당신의 생각이나 암시에 따라서만 반응을 나타낸다.
사람들은 "세상 만사 마음 먹기에 달려 있다"라는 말을 종종 하고 종종 듣는다. 실제로 성공 실패,
행복 불행, 건강함 병듦 까지도 마음 먹기에 따라서 잃기도 하고 얻기도 하는 것이므로, 자신의
인생은 자기가 스스로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사람이 어떤 생각에 집착할 경우 그 생각은 실제로 정신적. 육체적 상태가 되어 현실로 나타나게
된다. 일을 하려는데 "나는 그 일을 할 수 없다."는 부정적 생각에 빠져 버린다면 정말로 그 일을
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나는 그 일을 할 수 있다", "나는 그 일을 해내고 말겠다"라는 긍정적(적극적)인 마음을
먹는다면 결국 그 일을 성취하게 된다. 생각대로 작용하는 것이 바로 마음의 작용이기 때문이다.
누가 당신에게 당신은 누구냐고 묻는다면 어떻게 대답하겠는가? 지금 이순간 여기 이 자리라는
현재에 있는 당신은 스스로 생각하고, 스스로 느끼고 있는 그 자체이다. 지금 행복한 생각으로
가슴이 고동치고 있다면 당신은 행복하다고 말할수 있고, 어떤 일에 실패해서 희망을 잃고 좌절해
있다면 당신은 불행하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행복과 불행은 그때 그때 자기 자신이 의식하고 느끼는 마음 그 자체, 즉 어떤 생각을 선택
하느냐에 따라서 행복과 불행은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당신 자신이 지금 이 순간 여기 이 자리라는
현재에 불만족스럽거나 불행하게 여기는 처지를 만족스럽고 행복한 처지로 바꾸기 위해서는 마음을
어떻게 먹는가에 원인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부정적인 생각을 긍정적인 생각으로 전환해야 한다.
인간의 운명이란 결코 정해져 있지 않다. 마음 먹기에 따라 마음가짐에 따라 나쁜 일이라도 좋은
결과를 가져오게 할 수 있다. "팔자가 기구하다" , "되는 일이 없다." , "나쁜 일이 자꾸 생길 것 같다" ,
"돈과 인연이 없다" , "줄이 없어 승진 못 한다" , "이길 가망이 없다" 는 등의 부정적인 생각에 빠져
있다면 희망의 싹이 자라지 못해 불행한 일이 자꾸 일어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반면에 그러나 "불가능은 없다" , "할 수 있다" , "될 수 있다" , "이길 수 있다" , "좋은 일이 자꾸 생길
것이다"등의 긍정적인 생각이 당신의 마음속에 늘 채워지면 그 잠재의식이 좋은 일을 계속 불러일으
키고, 마치 자석처럼 작용해서 행운의 기회를 끌어당겨 잡을 수 있게 해줄 것이다.
왜냐 하면 당신의 잠재의식(속마음)은 씨앗이 싹트고 자라는 토양과 같아서 마음 밭에 씨앗이 뿌려
지면 당신의 마음 밭은 그 씨앗을 애지중지 키울 것이기 때문이다. 부정적인 생각은 당신의 잠재의식
속에서 계속 부정적. 파괴적으로 작용하고, 긍정적인 생각은 건설적. 생산적으로 작용해서 선택된
생각에 부응하는 외적인 경험으로 싹을 틔우고 키우게 된다.
잠재의식이란 의식처럼 시비 분별 비교 판단 해석, 선택, 결정 등을 하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당신이
생각하는 것이 좋은가 나쁜가, 또는 옳은가 그른가를 검토할 수 없다. 당신의 잠재의식은 오직 당신의
생각이나 암시에 따라서만 반응을 나타낼 수 있을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이 훌륭하게 성장하기 위해서 잊지 말아야 할 것은 항상 의식적인 마음가짐,
즉 좋은 마음의 씨앗을 잘 골라서 좋은 마음의 씨앗만을 잠재의식에 심는 일이다. 또한 나쁜 씨앗은
잠재의식에 절대 뿌리를 내리지 못하도록 부정적인 생각을 단호하게 물리쳐야 한다.
심리학의 권위자인 미국인 윌리엄 제임스 박사는 "인간의 잠재의식속에는 세계도 움직일 수 있는
힘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므로 잠재의식에 긍정적인 암시를 뿌리고 가꿔서 건강과 성공, 행복을
누릴 수 있도록 하자.
- 류한평 심리학 박사
출처 : 새로운 나 만들기 p155 (정신세계사)
'삶의 향기 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흐르는 시간에 대한 두려움 (0) | 2020.11.09 |
---|---|
칠불통계게송(七佛通戒偈頌) (0) | 2020.11.08 |
너그럽게 사는 법 (0) | 2020.11.07 |
언제나 함께하는 본성 (0) | 2020.11.06 |
한계를 모르는 사람들의 행동 (0) | 2020.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