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상집 개
지금까지 인류를 위해 살았던 많은 사람들 중에 사람들이 본받고 있는 인물들은 누구일까?
그런 인물들이 있다면 그저 마음속으로 그런 인물들을 존경하는 정도에 지나지 않을지 모른다.
정말 존경한다면 그들과 같은 인물이 되고자 노력해야 한다.
《공자가어(孔子家語)》라는 책에는 공자(孔子)를 ‘초상집 개’라고 한 표현이 있다.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인 공자(孔子)를 ‘초상집 개’라고 이렇게 황당하게 표현했다니 도대체 이해가
가지 않을 것이다. ‘초상집 개’라고한 이야기 전말은 이렇다.
공자가 제자들과 길을 가다가 제자들을 잃고 혼자 성문 밖에 서성거리고 있었는데 그 때 마침
어떤 사람이 공자(孔子)의 그 모습을 보고는 공자의 제자인 자공에게 “마치 초상집 개와 같은
모습을 한 어떤 사람이 성문 밖에 서 있다”고 말해줬다.
자공은 들은 말 그대로 공자에게 말했다. 그런데 공자는 자신이 초상집 개 같이 생겼다는 그 말을
듣고 화를 내기는커녕 오히려 즐거운 표정으로 “초상집 개처럼 생겼다고 말한 것은 참 그럴듯하구나”
라고 자공에게 대답했다.
공자의 모습을 보고 ‘초상집 개의 모습과 같다’고 표현한 것은 누가 들어도 기분 나쁜 말이었다.
그러나 공자는 이에 대해 화를 내기보다 오히려 그같은 표현을 너그럽게 인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공자의 모습을 보고 왜 초상집 개라고 표현했을까? 초상이 난 집의 개의 모습을 상상해보자. 초상이
난 집에는 어떤 사람이 죽었기 때문에 상주들이 슬픔에 빠져 통곡하고 있을 것이고, 조문객들이
줄지어 초상집을 다녀갈 것이다. 게다가 장례를 돕는 많은 친척들과 이웃들이 분주히 오갈 것이다.
그런 와중에 초상이 난 집에서 기르던 개는 누가 챙길 것인가? 황망한 와중에 아무도 개에게 밥을
챙겨주거나 돌보는 사람이 없을 것은 자명하다. 결국 굶주린 개는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기웃거리고
먹을 것을 찾았을 것이다.
공자는 세상과 사람들을 구제하기 위해 쉬지않고 부지런히 이 나라 저 나라를 돌아다니고 있었지만
아무도 공자를 거들떠보지도 않고 돕지도 않고 등용하지도 않았다. 그래도 공자는 자신의 이상을
펼치기 위해 포기하지 않고 군주들을 찾아다녔다. 이런 모습이 바로 초상집 개의 모습과 같은 것이다.
일반 사람들이 만일 자신이 초상집 개와 같다는 이런 말을 들었다면 화를 냈을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공자는 너그러운 마음으로 자신에 대해 가장 적절하게 표현한 것이라며 웃어넘겼다. 사람들의 삶이
무르익어 성숙해지기 위해서는 나만을 위하는 삶에서 벗어나 많은 사람들과 함께 행복한 세상에 사는
방법을 강구하고 실천해야 한다.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가면서 많은 사람들의 먼 미래를 위해 도모
할 줄 안다면, 공자와 같은 상갓집 개가 돼도 좋다는 생각이 어리석은 생각일까?
인류가 생긴 인류역사 이래 많은 사람들이 초상집 개처럼 살면서 세상을 아름답게 만들었다. 지금에
우리가 누리는 이 모든 행복은 아마 초상집 개처럼 살았던 그런 사람들이 존재했던 덕분일 것이다.
그래서 초상집 개처럼 살았던 그들을 추앙하고 존경하며 심지어 신앙처럼 믿기도 하는 것이 아닐까.
하지만 사람들은 거기서 한 단계 더 올라가려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 나도 성현들 그들처럼 되거나
그들이 살았던 삶을 살려는 생각을 가지고 행동으로 옮기는 일이 그들을 추앙하는 이유가 아닐까?
손진우 / 성균관 관장
'삶의 향기 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 자체가 자연(自然)입니다. (0) | 2020.12.18 |
---|---|
뭐든 비워야 좋습니다 (0) | 2020.12.18 |
가득차면 조용하다. (0) | 2020.12.16 |
겨울 성자 (0) | 2020.12.16 |
지금부터는 덤으로 사는 인생이다 (0) | 2020.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