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03월 27일 (목) 20:48 세계일보
돈다발 파문…김재학 피살…한나라, 과반확보 비상
원내 과반의석 확보를 향한 여권의 4·9총선 가도에 비상이 걸렸다. 민심 이반을 자극하는 돌발 악재가 꼬리를 물고 있는 까닭에서다.
총선 후보등록 개시일인 지난 25일에는 강원 정선에 출마한 한나라당 김택기 전 후보의 '돈다발 파문'이 터졌다. 선거전 기선 제압에 나서야 할 초반부터 분위기가 고약해진 것이다. 자칫하면 '차떼기 정당'의 악몽이 되살아날 수 있는 상황이다. 이튿날인 26일엔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보존회장 김재학씨가 피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에 대한 '동정론'을 불러일으킬 만한 사안이다. 이는 영남권에서 바람을 타고 있는 한나라당 탈당파 중심의 '친박연대' 후보들에게 호재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 한귀영 연구실장은 27일 "김재학씨 피살사건은 영남권 친박연대 후보에겐 직접적인 도움을 줄 뿐 아니라 수도권 판세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 전 대표를 좋아하는 유권자가 한나라당에 등을 돌리면 수천표에서 당락이 갈리는 수도권 싸움에선 결정적 변수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권 핵심부가 전망한 한나라당의 총선 의석수는 150석 안팎인 것으로 알려진다. 50석 안팎의 경합지에서 절반의 승률을 거둔다는 전제에서다. 승률이 5할대가 넘어야 과반 달성이 가능한 셈이다. 그러나 이런 셈법은 피살사건 발생 전 계산된 것이다. 수치의 하향조정이 뒤따를 수 있다는 얘기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안 그래도 여건이 좋지 않은데, 그런 예기치 않은 사건까지 터져 걱정"이라며 "이번 사건에 일단 정치적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게 그나마 다행"이라고 말했다.
27일 북한이 개성공단 남북경제협력협의사무소에 상주하는 남측 요원 일부를 철수시킨 '사건'도 예사롭지 않다는 관측이 정치권 안팎에서 나온다. 우리 정부의 대응과 이에 따른 북한의 반작용이 어떻게 흘러갈지가 유동적이어서, 총선에 미칠 파급효과는 불확실하다. 여권은 당분간 예상되는 남북관계 경색이 표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총선에서 168석(국회 전 상임위에서 과반) 이상을 기대하던 한나라당이 150석도 장담하지 못하는 어려운 처지에 빠진 데는 돌발악재에 앞서 여권의 잇따른 실책으로 선거구도가 불리하게 구축된 게 근인(根因)으로 작용한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대통령직인수위의 과욕과 '내각 인선 파동'에다 한나라당의 공천 파문과 탈당 사태, 권력투쟁이 맞물리면서 여권에 대한 민심이반이 급속히 이뤄진 게 사실이다. 이 때문에 '잃어버린 10년'에 대한 심판문제가 대선에 이어 총선까지 이슈화되지 못하고, 대신 출범 한 달을 맞은 '이명박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가 도마에 올랐다는 지적이다. 한나라당의 한 관계자는 "물갈이 폭이 역대 최대였으나, 개혁이 아닌 계파싸움으로 비쳐진 게 컸다"며 "이 대통령의 언행과 국정운영 스타일, 청와대 정무기능도 문제"라고 토로했다.
허범구 기자 hbk1004@segye.com
.
총선 후보등록 개시일인 지난 25일에는 강원 정선에 출마한 한나라당 김택기 전 후보의 '돈다발 파문'이 터졌다. 선거전 기선 제압에 나서야 할 초반부터 분위기가 고약해진 것이다. 자칫하면 '차떼기 정당'의 악몽이 되살아날 수 있는 상황이다. 이튿날인 26일엔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보존회장 김재학씨가 피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에 대한 '동정론'을 불러일으킬 만한 사안이다. 이는 영남권에서 바람을 타고 있는 한나라당 탈당파 중심의 '친박연대' 후보들에게 호재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 한귀영 연구실장은 27일 "김재학씨 피살사건은 영남권 친박연대 후보에겐 직접적인 도움을 줄 뿐 아니라 수도권 판세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 전 대표를 좋아하는 유권자가 한나라당에 등을 돌리면 수천표에서 당락이 갈리는 수도권 싸움에선 결정적 변수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권 핵심부가 전망한 한나라당의 총선 의석수는 150석 안팎인 것으로 알려진다. 50석 안팎의 경합지에서 절반의 승률을 거둔다는 전제에서다. 승률이 5할대가 넘어야 과반 달성이 가능한 셈이다. 그러나 이런 셈법은 피살사건 발생 전 계산된 것이다. 수치의 하향조정이 뒤따를 수 있다는 얘기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안 그래도 여건이 좋지 않은데, 그런 예기치 않은 사건까지 터져 걱정"이라며 "이번 사건에 일단 정치적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게 그나마 다행"이라고 말했다.
27일 북한이 개성공단 남북경제협력협의사무소에 상주하는 남측 요원 일부를 철수시킨 '사건'도 예사롭지 않다는 관측이 정치권 안팎에서 나온다. 우리 정부의 대응과 이에 따른 북한의 반작용이 어떻게 흘러갈지가 유동적이어서, 총선에 미칠 파급효과는 불확실하다. 여권은 당분간 예상되는 남북관계 경색이 표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총선에서 168석(국회 전 상임위에서 과반) 이상을 기대하던 한나라당이 150석도 장담하지 못하는 어려운 처지에 빠진 데는 돌발악재에 앞서 여권의 잇따른 실책으로 선거구도가 불리하게 구축된 게 근인(根因)으로 작용한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대통령직인수위의 과욕과 '내각 인선 파동'에다 한나라당의 공천 파문과 탈당 사태, 권력투쟁이 맞물리면서 여권에 대한 민심이반이 급속히 이뤄진 게 사실이다. 이 때문에 '잃어버린 10년'에 대한 심판문제가 대선에 이어 총선까지 이슈화되지 못하고, 대신 출범 한 달을 맞은 '이명박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가 도마에 올랐다는 지적이다. 한나라당의 한 관계자는 "물갈이 폭이 역대 최대였으나, 개혁이 아닌 계파싸움으로 비쳐진 게 컸다"며 "이 대통령의 언행과 국정운영 스타일, 청와대 정무기능도 문제"라고 토로했다.
허범구 기자 hbk1004@segy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