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국가 · 다문화 사회

인도의 카스트 제도

장백산-1 2010. 1. 1. 19:09

사성()·계급·등급·족보 등으로 번역되지만 어느것도 딱 들어맞는 말은 아니다. 카스트라는 말은 포르투갈어 카스타(casta:혈액의 순수성 보존을 위한 사회적 이라는 뜻)가 인도-유럽계() 언어로 전화한 것으로, 인도의 바르나(varna) 즉 ‘색()’, 나아가서는 피부의 색을 나타내는 말에 해당한다.

카스트의 성립은 아리아인()의 일부가 인도에 침입한 것은 대략 BC 1300년 전후 무렵이다. 이 침입을 당하여 선주민()인 문다인() ·드라비다인은 아리아인의 지배를 받게 되어

다사라고 하는 노예의 위치에 놓이고 말았다

다사는 이란어의 다하에 해당하는데, 고대 이란에는 제승() ·무사() ·농민 ·공장()의 네 다하가 있었다. 아리아인이 침입했을 때만 해도 인도에는 아리아인의 일반 자유민과 선주민의 두 사회구분(신분 또는 계층), 즉 두 바르나가 생겼을 뿐이다. 그런데 이란의 네 다하가 이
인도의 신분제도에 영향을 미친 듯하다.

 

마침내 아리아인은 바라문교 문화를 완성하고, 그후 많은 변천을 거쳐 사제자()와 무사가 분화했으며, 선주민은 오직 육체노동이나 잡역에만 종사하게 되었다. 이것이 바라문 또는 브라만(Brahman:사제자) ·크샤트리아(Kshatrya:무사) ·바이샤(Vaisya:농민 ·상인 등의 서민), 피정복민()으로 이루어진 수드라(Sudra:노예)의 네 바르나, 즉 카스트로 나타났다.

 

수드라를 제외한 세 카스트는 종교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는 이유로 드비자()라고도 한다. 네 카스트는 존귀한 자와 비천한 자라는 고저()의 서열을 나타내고 있어, 보다 높은 카스트에 속한 사람은 보다 낮은 카스트에 속한 사람의 곁에만 가도 더럽혀진다고 할 정도로 본다. 낮은 카스트에 속한 사람은 부정시()되었고, 따라서 각 카스트는 직업을 세습하였으며, 카스트 상호간의 통혼()은 금지되었다.

 

또한 이 네 카스트 밑의 불가촉민(:언터처블 ·하리잔)을 아웃 카스트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카스트제()라고 할 때는 불가촉민도 포함된다. 사람들은 누구나 이 카스트 중의 어느 하나에 자동적으로 귀속되게 마련이며, 대대로 이 카스트에서 벗어날 수 없는 것이 원칙으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