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의 뿌리 역사를 찾아서!!!

484년전 자격루에 이름 새겨진 제작자 4명 이름 드러나

장백산-1 2020. 4. 22. 10:58

MBC

484년전 자격루에 이름 새겨진 제작자 4명 이름 드러나

양효경 snowdrop@mbc.co.kr 입력 2020.04.22 10:07 수정 2020.04.22 10:45


조선 중종 31년, 1536년에 완성된 물시계 '자격루' 항아리에 새긴 제작자 12명 이름 중 그동안 온전히 확인되지 않은 4명의 정체가 보존처리를 통해 드러났습니다.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국보 제229호 '자격루' 보존처리로 새롭게 확인한 사실을 공개했습니다.

자격루는 물이 증가하고 감소하는 양으로 시간을 측정하는 장치로 조선시대 국가 표준 시계 역할을 했으며, 조선 과학기술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과학 문화재로 평가됩니다.

세종 16년인 1434년 임금의 지시로 장영실이 정해진 시간에 종·징·북이 저절로 울리는 물시계를 제작했으나 없어졌고, 중종 대에 다시 만든 시계 중 쇠구슬이 굴러 조화를 이루던 부분은 사라지고 물통들만 현존합니다.

오늘날 전하는 자격루 부품은 물을 보내는 청동 항아리인 파수호 3점과 물을 받는 청동 항아리인 수수호 2점으로, 창경궁 보루각에 있다가 일제강점기에 덕수궁 광명문으로 옮겨졌습니다.

자격루 보존처리는 광명문 원위치 이전과 맞물려 2018년 8월 시작됐습니다.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표면에 있는 오염물을 제거하고 재질을 강화하는 보존처리를 진행해 수수호 왼쪽 상단에 양각으로 새긴 제작자 명문 중 마모돼 읽지 못한 글자를 판독했습니다.

이를 통해 이공장, 안현, 김수성, 채무적 등 4명이 자격루 제작에 참여했음을 알아냈는데, 기존에 이공장의 '장'(檣)은 '색'(穡), 김수성의 '성'(性)은 '주'(注)로 잘못 알려졌습니다.

안현의 '현'(玹)은 '진'(珍)으로 전해졌고, 채무적의 '무'와 '적' 글자는 해독하지 못했습니다.

센터는 자격루 제작 당시 이공장은 사복시정, 안현은 사헌부 집의, 김수성은 사헌부 장령, 채무적은 장악원 주부였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조선왕조실록', '국조인물고', '문과방목' 등에는 안현, 김수성, 채무적이 천문 전문가로서 중요한 임무를 수행했다는 기록이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수수호 명문으로 파악한 나머지 제작자 8명은 영의정 김근사와 좌의정 김안로를 비롯해 유보, 최세절, 박한, 신보상, 강연세, 인광필입니다.

아울러 수수호 표면에 새긴 승천하는 용과 구름 문양의 제작 기법도 확인했는데, 항아리를 만든 뒤 정교하게 조각한 용과 구름을 차례로 덧붙였고, 밀랍 주조 기법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파수호에 제작 시기를 새긴 명문 '가정병신육월 일조'(嘉靖丙申六月 日造)의 성분이 은이라는 점도 드러났는데, 센터는 보존처리를 통해 부식으로 인해 검게 변한 은을 본래 빛깔로 되돌렸습니다.

보존처리를 마친 자격루는 조선 왕실 유물을 집중적으로 다루는 국립고궁박물관으로 옮겨 전시될 예정입니다.

양효경 기자 (snowdrop@m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