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중생 목숨 살리는 어진 마음 가져야 한다

장백산-1 2020. 8. 5. 15:31

중생 목숨 살리는 어진 마음 가져야 한다 / 청담 스님

마음은 산(生) 것이지, 죽은(死) 것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마음은 생명 없는 허공(虛空)도 아니고,
마음은 또한 생명이 아닌 무기물질(無機物質)도 아닌 것이다. 물질(物質)도 허공(虛空)도 아닌 
마음은 우주(宇宙)의 생명(生命)입니다. 그러므로 물질(物質)도 허공(虛空)도 아닌 마음을 우주
(宇宙)의 생명(生命)이라 부르는 것조차 마음을 크게 그르치는 말입니다.

그런데 이 마음도 마음 아닌 마음, 이것이 곧 인생 보완의 진면목, 본래면목입니다. 이것만이 나 
자신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 마음 이전엔 아무것도 존재할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이 마음을 
성품(性品)이다, 도(道)다, 이(理)다, 영(靈)이다, 신(神)이다, 생명(生命)이다, 정신(精神)이다, 
반야(般若)다, 열반(涅槃)이다, 보리(菩提)다, 깨달음(覺)이다, 부처(佛)이다, 보살이다, 진리다, 
여여(如如)다, 원각(圓覺)이다, 법화(法華)다, 화엄(華嚴)이다 등의 여러 가지 망령된 생각으로 
규정짓고, 유물, 유신, 유심,과학, 철학, 종교를 논하면서 사람들의 인생을 현혹하고 있습니다.

마음은 영원불멸(永遠不滅), 불생불멸(不生不滅)하는 실제(實際)이며, 절대자유의 생명(生命)이며, 
우주의 핵심이며, 온누리의 진리이며, 천지조화의 본체이며,신의 섭리이며, 문화창조의 운동력입니다.
그리고 인생도 인류문화 창조도 모두 마음의 환각(幻覺), 환영(幻影), 환상(幻想)으로 꿈 속의 꿈에 
불과한 것입니다. 이 엄청난 꿈 가운데서 정말로 꿈이 아닌 것은 오직 마음 아닌 마음인 이 ‘나’뿐
입니다.

이러한 영원불멸의 자기자신을 망각한 이유는 나라고 여기는 몸이 지수화풍(地水火風), 네 가지 
원소로 이루어졌다가 흩어져 없어진다는 이치를 망각하고 이 육신만이 자기자신이라고 착각한 
까닭으로 인해, 이 결과로 영겁토록 생(生)과 사(死)의 고통(苦痛), 즉 괴로움의 윤회(輪廻)에서 
벗어날 길이 없고 인과의 사슬을 끊지 못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마음도 아닌 마음인 이 나, 허공도 물질도 아닌 이 실제의 나를 찾았을 때 불안과 공포에서 
벗어나는 인류 구제의 길이 있는 것입니다. 오늘날 인류는 정신세계를 외면하고 물질 과학의 비약적 
발전으로 인하여 극단적인 유물사상(唯物思想)에 현혹되고 매몰되어 자아상실이나 자기부재라는
불행한 현실, 삶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붓다께서는 오계(五戒)의 첫번째에 ‘산 목숨을 죽이지 말라(불살생/不殺生)’ 하셨습니다. 예전 말씀
에도 ‘하늘의 대덕은 살리는 것(天德地之大日生)이요, 사람의 대덕은 어진 것(人類之至德日仁)’이라 
하였으니, 사람으로서 어질지 않으면 사람의 가치가 없고, 사람의 가치가 없으면 삼재에 참례하지 
못할 것이니, 어떻게 사람의 어진 마음을 보존하고 성숙하게 할 것일까요.

사람들이 원하는 여러 가지, 즉 편하려거든 방생하고, 즐거우려면 방생하고, 부귀하려거든 방생하고,
무병하려거든 방생하고, 장수하려거든 방생해야 합니다. 뭇 중생의 목숨을 살리는 것이 가장 어진 
마음이고, 어진 마음을 가진 사람에게는 여러 가지 원하는 바가 자연 성취되는 법입니다.

지금 시대는 예전과 달라서 사람과 사람끼리도 서로 죽이고 죽고 하는데 동물을 사랑하고 살리려는 
것은 지나칠 일이 아니냐고 하시는 분도 있습니다. 하지만 동물을 먼저 사랑하고 살리기 시작하면
자연히 어진 마음이 차츰 자라날 뿐 아니라 서로서로 권하여서 사람마다 어진 마음을 가지게 된다면
전 세계가 인간극락으로 변화할 수 있습니다.

보살은 일체경계에도 걸림없어 석가모니 부처님의 계행(戒行)을 하나도 깨트리지 않고 잘 지키는 
도인을 ‘순행보살(順行菩薩)’이라 하고, 계행을 낱낱이 다 파계하는 그런 보살을 ‘역행보살(逆行菩薩)’
이라 합니다. ‘순행보살(順行菩薩)’이나 ‘역행보살(逆行菩薩)’이나 문수보살, 부처님하고 비등한 등각
보살(等覺菩薩)입니다. 다 같은 등각보살인데 문수보살은 ‘순행보살’이고, 보현보살은 ‘역행보살’입니다.

중국에서 있었던 이야기입니다. 어떤 스님이 문수보살을 친견하려고 오대산에 들어갔습니다. 오대산에 
문수보살, 보현보살, 지장보살이 화현(化現)하여 계시다고 하였기 때문입니다. 이 스님은 백일기도를 
목표로 백일 동안 먹을 양식을 마련해서 가는데 한 걸음 걷고 절을 하고, 또 한 걸음 걷고 절을 하는 
정성으로 수천 리를 찾아갔습니다. 이 스님은 지성으로 백일기도를 했고, 문수보살 친견의 원을 세웠는
데도 꿈에 현몽이 한 번도 없었습니다. 이 스님은, “아마 내가 정성이 부족해서 그런가 보다.”하고 생각
하여 다시 마을에 내려가서 석 달 먹을 양식을 탁발해 백일기도를 다시 올려야겠다는 결심을 했습니다.

그래서 얼마쯤 마응로 내려왔는데 어떤 영감이 밭 가는 쟁기를 큰 암소에 메워 가지고 올라오더니 스님 
곁으로 와서 어디 갔다 오는지, 무슨 기도를 했는지에 대해 묻고 나서 스님에게 한 가지 부탁을 하는 것
이었습니다. 그 영감은 스님에게 편지를 하나 주면서 어디를 지나가다가 큰 객줏집 대문 안에 돼지키우
는 우리가 있는데, 거기에 큰 암돼지가 새끼를 낳아 놓고 있을 테니, 그 돼지우리에 이 편지를 던져 주었
으면 좋겠다는 부탁이었습니다. 이를 허락한 스님은 그 객줏집의 돼지우리에 찾아가 영감이 시키는 대로
편지를 우리 안에 집어 던져 넣었더니 어미 돼지가 벌떡 일어나서 그 편지를 집어 삼켜 버렸습니다. 그러자 
그 어미 암돼지는 그 자리에서 죽어버렸습니다.

그 광경을 함께 보고 있던 동네 사람들이 그 스님의 멱살을 잡고는 “중이 돼지고기 먹고 싶으면 좀 달라고 
할 것이지 죄없는 새끼까지 스물 다섯 마리 돼지를 다 죽여 놓는다”고 야단이었습니다. 객줏집 주인은 
마침내 포도청에 고발을 해서 스님이 잡혀 들어가는 사태까지 벌어졌고, 이에 스님은 편지에 관한 내력을 
모두 이야기했습니다. 사또는 편지에 독약이 묻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서 돼지의 배를 갈라 그 편지를 
읽었습니다.

편지에는 “너무 오래 축생세계에 머물러 있는 게 아닐세. 중생세계에 오래 머물고 있다가는 잘못 ‘마음
자리’를 여읠까 두렵네. 문수보살로부터 보현보살에게” 라고 씌여져 있었습니다. 앞에 소를 몰고 가던 
영감은 문수보살이고, 암돼지는 보현보살이었습니다. 보현보살이 만행역행을 한다고 암돼지가 되어서 
모성애로 돼지새끼들에게 젖을 먹이고 누워 있었던 것인데 보현보살은 이런 역행을 하면서 그 가운데 
공부를 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보현보살에게 문수보살이 충고를 한 것이고, 문수보살을 친견하려고 
백일기도를 한 스님에게 화현으로 보인 것이며, 후세의 공부하는 사람들을 위해 경계한 것입니다.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각과 마음  (0) 2020.08.08
잘 산다는 말의 의미는 뭘까요?  (0) 2020.08.05
“현실화(물질화)”  (0) 2020.08.03
마음의 본체의 능력  (0) 2020.08.02
마음을 부리는 주인이 되어라  (0) 2020.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