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공공기관 구조조정

인천공항공사의 민영화, 2MB의 조카에게 넘겨?????

장백산-1 2008. 8. 18. 19:57
인천공항공사 민영화, 조카 위해 준비?????? (펌)
번호 157010  글쓴이 영종도  조회 965  누리 469 (469/0)  등록일 2008-8-18 16:51 대문 11 추천

인천국제공항은...

민영화하면 오히려 경쟁력이 떨어지는데도

‘매각 시나리오’ 착착 진행, 제2의 론스타 우려하는 목소리도

 

1. 3년 연속 세계 최우수 베스트 공항으로 기록 중

2. 민영화의 천국 미국도 공항은 국영

3. 민영화되면 여객 이용료 폭등

4.지분 매각 그리고...

http://h21.hani.co.kr/section-021164000/2008/08/021164000200808180724056.html

 

 

인천공항, 3년연속 세계 최우수공항 선정


인천국제공항이 세계 최우수 공항으로 3년연속 선정됐다.

국토해양부는 국제공항협회(ACI)가 매년 실시하는 세계 공항서비스평가에서 사상 처음으로 3년 연속 세계 최우수 공항으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고 2일 밝혔다.

또 '아시아-태평양 최고공항', '중대형 최고공항', '아시아-태평양 이용객이 선정한 최고공항' 등 인천공항이 속한 4개수상부문을 모두 석권했다.

특히 세부 34개 평가분야 중 30개 분야에서 1위, 나머지 4개 분야에서도 2위를 차지해 특정분야에서만 두각을 나타낸 것이 아니라 평가 전 분야에 걸쳐 세계최고의 성적을 얻은 것이 특징이다.

국토부는 댈러스(美), 히드로(英), 창이(싱가폴), 나리타(日), 두바이(UAE) 등 외국 일류공항과의 서비스 경쟁을 통해 이루어낸 결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분석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인천국제공항 개항 이후 지속적인 정책적 지원으로 출입국시간 단축, 친절도 향상, 편의시설 개선 등 모든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뤘다"며 "취항을 희망하는 항공사 및 해외관광객이 증가해 동북아 허브공항의 위상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인천공항은 전략국과의 적극적인 항공자유화 정책을 추진해 국제 노선수 297개, 국제선 운항횟수 주당 2402회 등 세계 각국을 보다 편리하게 오고갈 수 있는 항공 네트워크를 구축했으며 인천공항~김포공항간 공항철도를 개통하는 등 교통망 확충도 꾸준히 추진되고 있다.

----------------------------------------------

인천국제공항 출입국심사 "ASQ" 평가 3년 연속 세계 1위
명실공이 세계 최우수 서비스공항으로 자리매김


중국 상하이에서 개최된 국제공항협회의 2007 세계 공항서비스 평가 시상식에서 인천공항출입국관리사무소는 출국심사와 입국심사 부문에서 세계 1위의 영광을 안았다. 사진은 수상식에서 영예의 트로피를 받고 있는 인천공항출입국관리사무소 민광식 소장.

지난 4월 1일 중국 상하이에서 개최된 국제공항협회(ACI, Airports Council International)의 2007 세계 공항서비스 평가 시상식에서 인천국제공항이 사상 처음으로 3년 연속 세계 최우수 서비스공항 수상의 영광을 차지하였다.

국제공항협회가 세계 99개 주요국제공항을 대상으로 34개 분야(7개 서비스 분야, 27개 시설·운영분야)에 걸쳐 실시한 평가에서 인천국제공항은 여권 및 비자심사와 출입국 절차 신속성 등 30개 분야에서 1위를 차지하였으며, 출국심사와 입국심사 부문에서는 각각 세계 1위의 영광을 안았다.

또한 13개 수상부문 가운데 종합부문격인 ‘세계 최우수공항’을 비롯해 ‘아시아-태평양 최고 공항’, ‘중대형공항 최고 공항’(연간 이용객 2천500만~4천만 명), ‘아시아-태평양 이용객이 선정한 우수 공항’ 등 4개 부문을 석권하였다.

2005년과 2006년에 이어 연속 세계 최우수 공항상을 차지한 인천국제공항은 3년 연속 수상으로 명실공이 세계 최우수 서비스공항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런 공항을 왜???????????????

 


원문 주소 - http://www.seoprise.com/board/view.php?table=seoprise_11&uid=157010



이지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