氣 哲學, 동양철학

[스크랩] 의식(意識: Consciousness)

장백산-1 2011. 1. 23. 19:20

의식(意識, Consciousness)  

I. 의식이란?

- 意識은 생각, 마음, 정신, 영혼 등과 섞여 별 구분 없이 사용되고 있는데, 주로 학문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용어라 할 수 있다. 먼저 불교의 유식설을 살펴봄으로써 의식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가 가능할 것임.

- 불교의 唯識說에서는 인간의 정신활동 영역을 前五識과 後三識의 8가지로 구분하고, 전오식은 인간의 오감(眼耳鼻舌身)으로 알게 되는 정보로서 육신에 종속된 정보의 수용과 해석을 의미한다. 후삼식은 다음과 같다. 

제6식 -- 의식(意識): 주로 이성적인 측면의 생각을 의미
            (예: 언어의 사용과 이해, 기억의 사용, 판단, 주의집중 등)
제7식 -- 말나식(末那識): 감정, 본능, 정서 등에 가까운 것
             (인간의 모든 생리적인 욕구나 생존의 본능에 바탕을 둔 것.)
제8식 -- 아뢰야식(阿賴耶識): 최초로 등장한 생물체인 단세포 생물로부터 인간 에 이르기까지 수십억년의 진화와 오랜 세월동안 윤회를 반복한 모든 삶의 경험이 기억으로 저장된 정보의 창고.

- 이경숙은 "마음의 여행"에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야기하는 의식은 육체적 감각과 직 접 관련된 불교의 전오식을 제외하고 후삼식에 해당하는 불교의 제6식,7식, 그리고 8식 을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함.


II. 우리의 마음 - 작은 창조주

옛부터 선도수련에서는 우리 인간을 정(精), 기(氣), 신(神) 세 부분으로 구성된 존재로 인식하고, 이 중에서 기는 바로 우리의 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전해져 내려 왔다. 이것 은 우리 마음이 바로 우주 만물을 움직이는 생명의 에너지인 기(氣)라는 것으로서 우리 마음이 모든 것을 창조한다는 뜻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동양적 가르침과는 대조적으 로 뉴톤 물리학과 데카르트 철학으로 대변되는 근대과학은 마음의 물질에 대한 영향을 무시해 왔었는데, 20세기 이후 우리의 마음이 물질에 영향을 미치고 변화를 가져오게 할 수 있다는 과학적 증거들이 축적되고 있다. 이 장에서는 서구에서 진행된 연구들에서 입증되기 시작한 의식의 영향에 대하여 살펴본다. 

"한 사람이 동굴에 홀로 앉아 있어도 그의 생각은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준다. 삶을 돕기 위해 행해지는 행동과 결정은 자신뿐만 아니라 모든 삶에 도움을 준다. 우리가 만드는 물결은 결국 우리에게 돌아온다. 한 때 형이상학적인 것으로만 치부되었던 이러한 이야기는 이제 과학적인 사실로 굳어지고 있다 (데이비드 호킨스, p. 143)"

1. 의식의 물질에의 영향

- 주사위 던지기 실험
듀크대학교 Louisa Rhine 등은 주사위가 떨어지는 동안 정신적 의지에 영향을 받는지를 연구 1935년-87년까지 발표된 52명의 연구자, 73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의도한 쪽으로의 적중율이 51.2%으로서 의지의 영향을 입증하는 것으로 나 타나고 있는데, 우연히 이러한 결과가 나왔을 확률은 10억대 1에 불과함. 

- RNG실험 (전자식 동전던지기)
Prinston 대학의 로저 넬슨과 딘 라딘의 메타분석

1959-87년에 총 68명이 152개 논문으로 발표한 연구결과 (총 832개 실험)를 분 석한 결과, 의도한 쪽으로의 적중율이 51%로서 의지의 영향을 입증하는 것으 로 나타나고 있는데, 우연히 이러한 결과가 나왔을 확률은 1조대 1에 불과함. 


2. 의식과 생명체와의 상호작용

(1) 마음의 치유력

○ 플라시보 효과 (placebo effect)

- 플라시보란 의료효과 혹은 의약품의 진정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제로 신체에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으면서 행하는 위장의술을 이야기함. 

- 지난 50년 동안 플라시보효과는 전세계적으로 수백 번의 연구를 통하여 광범위 하게 조사되었고, 플라시보 치료를 받은 사람의 평균 35%가 상당한 효과를 보 였다. 플라시보 치료에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입증된 병에는 협심증, 편두통, 알레르기 열병, 일반감기, 여드름, 천식, 사마귀, 다양한 통증, 구토증, 배멀미, 위궤양, 우울증, 초조와 같은 정신과적 증후군, 류머티즘, 퇴행성 관절염, 당뇨 병, 암 등이 포함됨.

- 플라시보는 진통제의 54%효과, 모르핀의 56%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짐. 

- 반면, 마음의 작용으로 진짜 약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음.

(실험)
피험자 20명을 한 방에 각각 10명씩 두 방에 배치한 방에는 9명에게 활력을 주는 암페타민 나머지 1명에는 플라시보인 수면제 를 복용하게 하였고, 다른 방에는 반대로 9명에게 수면제 나머지 1명에는 암 페타민을 투여함.

==> 첫 번째 방에서 플라시보인 수면제를 먹은 사람은 더욱 활기찬 모습이었 고 두 번째 방에서 암페타민을 먹은 사람은 깊은 잠에 빠짐. 

- 의약품의 부작용 실험에도 플라시보 효과가 나타나는데, 즉 플라시보를 먹은 사 람들이 부작용 증세를 보임.

- 술 취하고 싶은 사람이 플라시보(가짜 알코홀)를 마시면 실제로 취함.

○ 심상화 기법

- 심상화 기법이란 환자들이 어떤 상상을 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치유를 돕는 기법. 
예를 들어, 암환자의 경우 백혈구들이 힘을 얻어 암세포들을 물리치는 상상을 계속 하게 하는 것 등을 말함.

- 많은 연구들이 심상화 기법의 효과를 인정하고 있으며, 최근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암치료의 대체요법으로서 네 번째로 많이 활용되는 것으로 밝혀짐 (p. 124)

- 마음 속에 상상한 것이 실제로 일어난다는 증거

(실험1) 텍사스대학교 건강과학센타 연구책임자이며 심리학자 진 액터버그(Jeanne Achterberg) 한 그룹의 대학생들에게는 백혈구 중 가장 많은 종류인 뉴트로필이라는 세포를 상상하게 하고 다른 그룹에게는 특수한 백혈구인 T-cell을 상상하는 방법을 훈 련시켰음. 
==> 상상한 세포의 증가는 현저한 반면 다른 세포의 변화는 없었음.

(실험2) 소련의 정상급 운동선수 훈련
(1)그룹은 연습시간에 100% 훈련만 
(2)그룹은 75% 훈련, 25%는 운동시합에서 성과를 이루는 모습을 상상
(3)그룹은 50% 훈련, 50% 상상
(4)그룹은 25% 훈련, 75% 상상
==> 80년 뉴욕의 동계올림픽에서의 경기력 측정결과 경기력 향상 순위는 
(4), (3), (2), (1) 그룹의 순 이었음.

(실험3) 호주의 심리학자 앨런 리차드슨(Alan Richardson)
농구선수에게 자유투 연습을 시킴 
첫 번째 그룹은 하루 20분 자유투 연습,
두 번째 그룹은 연습을 하지 않았고,
세 번째 그룹은 연숩 않고 대신 20분씩 심상화만 시킴.
==> 두 번째 그룹은 기량 향상 없었고, 첫 번째 세 번째 그룹은 각각 24%와 23%의 향상이 기록됨.

○ 이 외에도 몸과 마음의 연관성은 다음과 같은 사실로도 밝혀지고 있음.

가. 최면요법을 통하여 각종 통증 및 사마귀, 간질, 신경성 피부염 등 치유
나. 암 진단후 환자에게 발병 사실을 알리면 죽음이 앞당겨진다.
다. MPD(Multiple Personality Disorder) 환자들은 다른 인격체로 변할 때 생리적인
상태까지 동시에 변함.
라. 강력한 형태의 신념은 영적인 신앙을 통하여 표현되는데, 이 결과 카톨릭에서의 성흔발현(聖痕發顯)현상이 나타남. 
(예) 아시시의 성 프란시스 (St. Francis of Assisi) 바이에른의 테레제 노이만(Therese Neumann. 1962년 사망) 이탈리아의 파드레 피오(Padre Pio, 1968년 사망)

3. 의식의 장(場)

- 초월명상(TM)의 창시자 요기 Maharishi Mahesh
"스트레스를 받는 개인의 의식은 전체의식에 스트레스를 분위기를 조성함으로써 계를 구성하는 전체 구성원들의 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 의식장(意識場) 변화 
(실험)
딘 라딘(Dean Radin)은 집단적 동조성이 형성된다고 생각되는 시점의 "질서도" 를 RNG를 사용하여 측정.

8가지 빅 이벤트 (event) 전후의 RNG 수치 측정 (pp. 285-299)
(예) 1. 정신과 의사인 Stanislav Grof의 Holotropic Breathwork - 12명 참가
2. 95년 3월의 67회 아카데미상 수상식 (10억 시청자)
3. 95년 10월의 O.J. Simpson의 재판판결 (5억 시청자) 등

==> 집단의 주의력이 집중되는 시간대의 RNG 반응이 다르게 나타남.
==> 집단의 의식에서 발생한 변동과 현상계의 질서도의 변화 사이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

4. 의식의 특징 (Dean Radin)

가. 개인의식은 개인을 초월한 영역으로 확장되어 마치 양자장과 같은 특성을 발휘함 으로써 어떠한 사건이 발생할 수 있는 확률에 영향을 미친다.

나. 의식은 그 세기에 비례하여 계에 질서를 부여한다. 
     "생명체가 지니고 있는 가장 놀라운 재능은 자신에게 적합한 환경으로부터 질서 를 만들어서 이를 취할 수 있는 능력이다 (양자 물리학자 Erwin Schrodinger)"

다. 개인에게 있어서 의식의 세기는 매순간 변하며 주의력의 집중을 통하여 증가된다. 라. 개인이 모여 집단을 이루게 되면 집단의식이 생겨난다. 집단이 어떠한 사물이나 사건에 주의력을 집중하는 경우 집단의식은 더욱 강해져서 집단 내부의 동조성을 이끌어낸다.
마. 집단 동조성은 참가하는 인원수, 평균적 집중력, 기타 심리학적, 생리학적, 환경적 요인들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바. 모든 물리계는 질서를 형성함으로써 의식장에 응답한다. 의식장이 강해지고 동조 성이 높아질 수록 물리계의 질서 정도도 뚜렷하게 상승한다.


III. 의식수준 (데이비드 호킨스, "의식혁명 (Power vs. Force)

1. 의식수준의 의미 

- 의식의 작용과 의식수준

우리에게 어떤 마음이 생긴다 혹은 어떤 마음을 먹는다는 것은 우리의 마음이 엄청난 양의 자료들과 그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결정을 내린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우리의 지각을 뛰어넘는 엄청난 속도 즉 순식간에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 결정은 근본적으로 우리가 접해 있는 에너지 즉 끌개(attractors)패턴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지는데, 의식수준이란 우리가 접해 있는 우주에너지의 수준을 이야기한다. 

- 의식수준의 작용과 의미 (pp.225-226)

의식수준은 우리가 바라보는 것을 판단하고 결정하며 피동적인 관찰자로서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세상을 결정한다. 다시 말해서, 사람들의 의식수준에 따라 동일한 것을 보고 느끼는 바는 천차만별이다.

우리의 의식은 여러 층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고, 따라서 이런 삶의 조건 속에서는 이런 의식 수준이었던 사람이 다른 삶의 조건에서는 전혀 다른 의식 수준일 수 있다. 그러므로, 여기서의 의식수준은 개인의 총체적인 의식수준을 이야기하고 이는 다양한 여러 층의 수준을 종합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호킨스박사는 20여년 동안의 연구를 통해 사람들의 견해나 진술 또는 관념들의 진실성을 1에서 1000 까지의 수치로 측정하는 방안을 고안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인간의식의 spectrum을 분석하였다. 


- 의식수준의 의미 (예) 

(상황) 어떤 부자동네의 한 화려한 저택 모퉁이에 한 남루한 노인이 서 있음.
이에 대해 의식 수준별 느낌은?

의식수준 주요 특징 전형적 느낌 
-----------------------------------------------
20 수치심 노인을 더럽고 구역질나며 창피한 존재로 간주 
30 죄의식 노인이 그런 처지에 빠진 건 당연하다고 생각
50 절망 노인을 자포자기한 사람으로 간주
75 슬픔 노인을 비극적이고 친구 하나 없는 고독한 사람으로 간주
100 두려움 위협적인 존재, 사회악. 경찰에 연락이 필요하다고 생각.
125 욕망 골치거리로 간주. 왜 사람들이 도와주지 않는지 회의.
150 분노 폭행을 당할 것 같은 불안, 어쩔 수 없는 상황에 분개
175 자만심 노인을 후안무취의 인간으로 간주
200 용기 노인에게 필요한 것은 일자리와 거처라고 생각
250 중용 노인이 우리를 괴롭히지는 않는다고 생각
310 자발성 용기를 북돋워 줄 생각, 지역봉사단체에 참여할 마음이 생김
350 포용 어떤 이해하지 못하는 이유 때문에 저렇게 되었다는 생각
400 이성 경제 사회 모순의 부산물로 생각, 연구의 대상으로 생각
500 사랑 친근하고 신경을 써 주고 싶은 사람 
540 기쁨
600 평화 노인은 우리들 자신의 잠시동안의 표현이라고 생각 
700-1000 깨달음
------------------------------------------

- 인간 인식패턴의 다양성 ==> 다양한 의식수준==> "진실"이란 상황의 진실 이외에는 존재할 수 없으며 어떤 특별한 관점에서만 진실일 뿐임. (p. 31) ==> 분별하지 말 것 (붓다)

2. 의식수준의 측정

(1) 측정원리: 운동역학 (kinesiology)에 의함.

"인간의 육체는 생명에 도움을 주는 것과 그렇지 않는 것의 미묘한 차이를 멋지게 분 별할 수 있다 (데이빗 호킨스, p.41)"

○ George Goodheart
- 몸에 좋은 영양물질에 의한 자극에는 근육의 힘이 증가하는 반면 인체에 해로운 물질에 의한 자극에는 근육의 힘이 감소한다는 사실을 발견. 
(인공감미료 vs. 천연 영양식품)
* 오무라 요시야키 박사의 O-Ring Test와 같은 원리

○ John Diamond
- 물질적인 자극뿐만 아니라 감정적이고 지적인 자극에도 근육이 강화되거나 약화 된다는 사실을 발견. (미소는 근육을 강화시키고 '나는 너를 미워한다'는 말은 근육을 약화시킴)
- 모든 사람들에게 예외없이 두루 적용된다는 것.
- 특별히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내용인데도 어떤 그림은 모든 사람들의 근육을 강화시켰고 다른 그림은 근육을 약화시켰음. 
- 모든 크래식음악과 대부분의 팝송이 강한 반응을 보인 반면 hard rock 이나 heavy metal은 약화시킴. 
- 공개된 허위사실을 들으면 약화, 증명된 진실에는 강화

(운동역학 실험방법)
- 시험자와 피험자 2 사람이 필요.
- 피험자는 먼저 아무런 생각없이 수평으로 왼팔을 벌려 바닥과 평행상태를 유지한 채 서고, 시험자는 피험자를 마주 보고 서서 오른손을 피험자의 왼쪽 손목 위에 놓는다. 시험자는 피험자에게 그의 왼팔을 누를테니 온 힘을 다해 저항하라고 말 한 뒤, 고른 힘으로 확실하게 빨리 누름으로서 저항의 강도를 느낀다. 
- 다음에는 실험의 종류에 따라 피험자로 하여금 무엇을 집중해서 생각하게 하거나
혹은 어떤 실험대상 물건을 몸에 부착한 상태에서 피험자의 왼팔을 눌러 저항의 강도를 느낌.
- 몸에 좋은 것은 저항하는 힘이 오히려 강화되고 나쁜 것은 매우 약화되어 보통의 경우 그 차이를 확연히 구분할 수 있음. 

(2) David Hawkins의 측정

- 측정원리

인간 개개인의 마음은 거대한 데이타베이스에 연결된 컴퓨터 터미널과 같다. 이 거대한 데이타베이스는 인류의 의식 그 자체이고, 우리 자신의 의식은 모든 인류의 공통된 의식에 뿌리를 둔 데이타베이스의 개인적인 표현일 뿐이다. 데이터베이스가 담고 있는 무한한 정보는 이 세상 어느 곳 어느 때라도 누구에게나 주어지고 시간과 공간, 그리고 한정된 개인의 의식세계를 초월한다. 따라서, 우리 모두는 이 데이터 베이스에 담겨 있는 무한한 정보를 적절한 방법으로 얻을 수 있고, John Diamond 박사의 근육반응을 통한 측정이 그 한가지 방법임. 

- 의식수준의 측정

예를 들어, 누구누구의 의식수준은 200 이상이다, 300 이상이다 하는 생각에 근육의 힘이 강화되면 그 정보가 맞다는 것이고 반대로 근육의 힘이 쭉 빠지면 그 정보가 틀리다는 것을 의미함. 이런 방법으로 어떤 개인의 정확한 의식수준 수치를 찾아 낼 수 있음. 

- 의식수준과 에너지의 크기

의식수준은 실제적인 에너지의 크기와 관련되어 있는데, 0-1000 사이로 측정되는 수치는 그 에너지의 크기에 대수값 (log)을 취하여 산출된 것임. 따라서, 각 의식수준별 크기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음. 

1000의 한 개인은 전 인구의 부정적 에너지를 상쇄. 
700의 한 개인은 200 이하의 7000만명을 상쇄
600의 한 개인은 200 이하의 1000만명을 상쇄
500의 한 개인은 200 이하의 75만명을 상쇄
400의 한 개인은 200 이하의 40만명을 상쇄
300의 한 개인은 200 이하의 9만명을 상쇄

200은 내재된 진실된 힘 (power)과 눈에 보이는 억지의 힘(force)의 분기점
500은 깨달음의 세계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 
200 미만 --> 살아남기, 파괴적인 삶. (전 인류의 85%)
200 이상 --> 건설적인 삶 (전 인류의 15%)
500 이상은 전 인류의 0.4%
600 이상은 1000만명당 1명 .
700 이상 현재 12명
1000 (Avatar: 대각한 사람)
크리슈나(Krishna), 석가모니 부처님, 예수 그리스도

- 전 인류의 의식수준은 몇 세기 동안 190에 머물렀으나 1980년대 중반에 갑자기 204 로 향상되었다고 함. 

- 각 종교별 의식레벨

그리스도교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 1000
2세기경 예수의 가르침에 대한 실행 수준 930
6세기경 540
11세기경(십자군 시대) 이후 498 
불교
석가모니 가르침 1000 
6세기경 가르침의 실행 수준 900
소승불교 850
대승불교 950
선불교 600
힌두교
크리슈나의 가르침 1000
현대의 힌두교 850
유태교
아브라함의 가르침 985
모세시대 770
현대의 유태교 499
구약성경 475
이슬람교
마호메트의 의식수준 540
코란 570
현대 fundamentalist 130

3. 의식수준 측정의 의미

"우주는 잊는다는 것을 모른다. . . . 우주의 모든 것은 특정한 파장의 에너지를 발산하고, 이 에너지 패턴은 영구히 존재하며 그 원리를 아는 사람들에 의해 읽혀 질 수 있다. 모든 언어, 행동, 생각은 영원한 기록으로 남게 되고 저절로 알려지게 된다. 거기에는 어떠한 비밀도 없고 아무 것도 숨겨 질 수 없다. 우리의 영혼은 모두가 볼 수 있도록 시간 안에서 벌거벗은 채로 서 있다. 우리 모두는 결국 저마다 우주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하고 남들에게 준 모든 고통과 아픔은 우리에게로 고스란히 되돌아온다 (호킨스, pp. 142-143)" 

"우주에는 행운이나 우연적인 사고가 존재하지 않는다. 모든 것은 다른 모든 것과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아무도 우주로부터 제외되어 있지 않다 (p.185)." 


4. 의식수준의 고양

의식의 진보에 있어서 가장 큰 장애물은 우리의 마음에 대하여 잘 알지 못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마음을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의식수준을 높일 수 있다. 마음을 관찰하게 되면 저마다 자신의 경험만이 정확한 것이라고 비밀스럽게 느끼고 있는 것 즉 자만심을 버리고 겸손해지기 시작한다. 이 때부터 앎의 성숙이 시작된다. 겸허한 마음이 되어야 비로소 자신을 비웃는 능력이 생기고 마음의 노예에서 벗어나 주인다워 질 수 있다. 

"인생의 위기의 좋은 점은 그것이 높은 의식수준으로 가는 통로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인생이란 배움의 터전이라는 생각을 받아들이기만 한다면 삶은 우리의 진정한 스승이 된다. 삶의 고통스러운 교훈들을 겸허하게 받아들여 성장과 발전의 디딤돌로 삼지 않는다면 우리의 삶은 낭비되는 것이다."

5. 에너지 수준과 질병

높은 에너지와 결합되면 건강이 오고 낮은 에너지와 결합되면 질병이 초래된다. 높은 에너지 패턴은 인간을 강화시키고 낮은 에너지 패턴은 약화시킨다. 이것은 인간의 중추신경이 생을 돕는 것과 생을 파괴하는 패턴의 차이를 구분하는 예민한 판단능력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높은 에너지와 접하게 되면 중추신경은 뇌의 엔돌핀 분비를 촉진시켜 모든 기관을 튼튼하게 하지만, 낮은 에너지와 접하게 되면 아드레날린을 분비하게 되어 면역반응을 억누르고 장기들을 약화시킨다. 

몸과 마음의 통로는 곧바로 뚫려 있어 개인의 생각이나 감정에 따라 육체는 순간순간 반응하고 바뀌게 된다. 일반적으로 정신과 육체의 건강은 긍정적인 태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고 정신과 육체의 질병은 노여움, 시기, 적대감, 자기연민, 공포와 같은 부정적인 태도와 관계가 있다. 세상을 부정적으로 보는 마음이 지배적이게 되면 신체의 여러 장기로 이어지는 에너지의 흐름에 미세한 변화가 생기고, 이것이 반복되면 전자의 이동, 신경 호르몬의 균형 상태, 영양상태 등으로 이어지는 복합적인 기능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한가지 혹은 여러 가지의 질병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질병이란 마음의 작용이 무엇인가 잘못되고 있다는 증거이다. 

전통의학에서 스트레스는 인간의 수많은 질병과 병변의 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모든 스트레스는 개인의 태도에 의하여 내면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것은 인생의 사건들이 아니라 그 사건들에 대한 우리 마음이다.


** 본 글은 다음의 책자를 주로 참조하였음.
1. 딘 라딘 (Dean Radin), 의식의 세계 (The Conscious Universe), 유상구, 전재용 옮김, 1999, 양문 
2. 마이클 텔보트 (Michael Talbot, 홀로그램 우주 (Holographic Universe), 이균형옮김, 1999, 정신세계사
3. 이경숙, 마음의 여행 (과학으로 풀어 본 삶, 죽음, 영혼), 1999, 정신세계사
4. 호킨스 (David Hawkins), 의식혁명 (Power vs. Force), 김종수 역, 한문화, 1997.


(출처/만갑이네 글판세상)

출처 : 생활 · 운동 자연치유 연구소
글쓴이 : 이현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