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공부./ 반조返照.(80.................../무불
부처님은 우리들에게 무엇을 가르치시 는가.? 부처님은 人生을 가르치시는 분이다. 도업(道業)을 이룬 모든 善知識께서도 우리들에게 人生을 가르치신다.
하고 많은 大學이 많지만 人生을 가르치는 곳은 없다. 職場을 잃으면 失業者라 한다. 道業-,부처님 法을 소홀히하면 人生의 失業者가 된다.
소가 물를 마시면 牛乳가 되고. 뱀이 물을 마시면 毒이 되듯이. 智慧롭게 배우면 깨달음을 이루고. 어리석게 배우면 生死에 허덕이게 된다.
부처님 工夫는 마음을 닦는 工夫다. 아침마다 거울을 보듯이 날마다 自己本性의 거울을 보라는 말씀이다. 자기마음을 「返照」 하지 않으면 自己本性의 거울에 때가 끼어 自己모습을 잘 볼 수가 없다. 外形的인 몸의 形象에 치우쳐 自己 本 모습을 보지 못하는 어리석은 人生失業者가 되지 말라.
멀리서 보면 잘 보이지만, 가까이서 보면 잘 보이지 않는다. 사람이 醜한것은 주름살을 감추고 나이를 속이려는 마음 때문이다. 심(心)은- 교활한 예술가와 같다. 의(意)는 -교활한 내시와 같다.
虛妄한 意識境界에 醉하여 妄靈된 老妄을 드러내며 自己를 속인다. 치장으로 가린다고 젊어지는것이 아닌줄 다 아는 事實이 아닌가.?
阿賴耶 識 - 대단히 微細한 마음의 움직임 마음의 微細한 思量하기 힘든 意識을 말한다. 末那 識 - '나'라는 自慢. 欲求.에 執着하고 뿌리깊은 我執으로 끈임없는 分別心으로 性稟을 삼는다.
능가경 게송에 藏識은- 「心.」이라 이름하고. 思量은 -「意」.라 이름하여 能히 모든 境界를 了別함을 「識」.이라 이름한다 心. 意. 識.- 사람은 마음과 뜻,.알음알이로 살아가는 生覺하는 갈대이다.
生覺하는 갈대. 原因이 變하면 果報가 바야흐로 成熟되어진다. 果報가 生길 때는 原因이 變하고. 때를 달리하면 原因의 時期를 變하게 만든다. 種類를 달리 해서 原因의 性質을 고쳐 果報가 原因에게 報答하게 한다.
밝은 거울에 는 언제나 더러움과 깨끗함이 함께 나타난다. 비록 더러움과 깨끗함이 比較 되지만 . 거울 그 自體는 더렵혀 지거나, 깨끗해 지는 것이 아니다.
여기서 우리가 알아야 할 分明한 事實은 만약에 거울 그 自體가 더럽거나 濁하면 그 어떤 物件도 비출수가 없다는 事實이다. 그와같이 우리들의 本性은 거울과 같다는 부처님이 發見하신 「佛性人間」은 人類의 敎訓이다. 거울에 事物이 비출 수 있는 것은 거울의 본 바탕은 깨끗하기 때문이란 것이다.
불교, 부처님의 가르침은 거울을 닦는 훈습이다. 人生의 네가지 迷惑, 貪慾 ,어리석음.我見.我慢.이다. 탐욕의 때를 닦고, 어리석음의 먼지를 털어내고, 밖으로 나타내는 形象에 치우치지 않으며. 自身만 對接 받으려는 心뽀를 씻어내는 것이다.
一切 萬法은 因緣 따라 生겨나고 消滅한다.
-무불스님 향불회-
|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4. 부처는 무의미한 행동을 하지 않는다 (0) | 2013.04.17 |
---|---|
眞如는 우리 自身의 本性이다. (0) | 2013.04.17 |
언제 이 미혹함을 떨쳐버릴 수 있겠습니까? (0) | 2013.04.17 |
[스크랩] 인연따라 나타나는 법성/법륜스님 (0) | 2013.04.16 |
證智所知非餘境 / 諸法實相 /諸法空相 (0) | 2013.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