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무엇인가
Who Am I? (Nan Yar?)
나는 누구인가?
As all living desire to be happy always without misery, as in the case of everyone
there is observed supreme love for on e's self, and as happiness alone is the cause
for love in order to gain that happiness which is one's nature and which is experienced
in the state of deep sleep where there is no mind, one should know one's self.
For that, the path of knowledge, the inquiry of the form "Who am I?", is the principal
means.
모든 살아있는 존재들은 항상 불행 없이 행복하기를 바라고, 개개의 존재들에게서 자기자신, 즉 에고의식에
대한 지고의 사랑이 관찰되는데, 행복하기를 바라는 것이야말로 그들이 자신을 사랑하는 이유(동기)이므로,
마음이 사라진 깊은 잠의 상태에서 체험되는 자신의 성품인 그 행복을 얻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을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자기 자신을 알려고 한다면, 지혜(知慧)의 길, 즉 '나는 누구인가?' 하는
물음이 주된 수행 방법이 되어야 합니다.
1. Who Am I?
나는 누구입니까?
The gross body which is composed of the seven humors (dhatus), I am not;
일곱 가지 기질(구성요소,dhatus)들로 이루어진 이 조잡한 몸(the gross body)은 자기 자신이 아닙니다.
the five cognitive sense organs viz. the senses of hearing, touch, sight, taste, and smell,
which apprehend their respective objects, viz. sound, touch, colour, taste, and odor, I am not;
귀, 눈, 혀, 코, 피부를 통해서 소리를 듣고, 모양을 보고, 맛을 보고, 냄새를 맡고 초감을 느끼는
인식, 다섯 가지 인지(認知) 감각기관은 내가 아닙니다.
the five cognitive sense-organs, viz. the organs of speech, locomotion, grasping,
excretion, and procreation, which have as their respective functions speaking, moving,
grasping, excreting, and enjoying, I am not;
말하고 움직이고 붙잡고 배설하고 즐기는 개개의 감각기능들에 응하여 말을 하고, (몸을) 이동하고,
(사물을) 붙잡고, 배설하고, 생식(生殖)하는 다섯 가지 운동 감각기관도 내가 아닙니다.
the five vital airs, prana, etc., which perform respectively the five functions of
in-breathing, etc., I am not; 호흡 등의 다섯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프라나(prana)등의 다섯 가지
기운(氣,vital airs)들도 내가 아닙니다.
even the mind which thinks, I am not; the nescience too,
which is endowed on ly with the residual impressions of objects,
and in which there are no objects and no functioning's, I am not.
심지어는 생각을 하는 마음까지도 내가 아니며, 오직 어떤 대상들에 대한 잔류 인상
(residual impressions, 기억의 형태로 마음에 남아 있는 인상)만 지니고 있을 뿐, 거기에 대상들도 없고
그 대상들에 대한 상관 관계도 없는, 무의식(無記,nescience, 모든 인식과 감각이 상실된 의식 상태)
또한 내가 아닙니다.
역주)
구성요소(dhatus) : 뼈(骨,bone), 살(肉,flesh), 피(血, blood)와 정(精,semem) 지방(脂,fat) 골수
(髓,marrow) 림프(乳鳥,chyle)등 7가지를 말한다. 프라나(prana)외의 다른 4가지 기(氣) : apana,
byana, samana, udana로 각각 배설(생식), 순환, 소화 및 정신작용을 담당한다.
2. If I am none of these, then who am I?
만일 그런 것들이 다 내가 아니라면 나는 누구입니까?
After negating all of the above-mentioned as 'not this', 'not this', t
hat Awareness which alone remains - that I am.
앞에서 언급한 모든 것들을 '이것도 아니다', '저것도 아니다'라고
부정한 뒤에 홀로 남는, '나는 있다(I am)'라고 하는 자각(自覺)이 나입니다.
3. What is the nature of Awareness?
그 자각(自覺)의 본질은 무엇입니까?
The nature of Awareness is existence-consciousness-bliss.
자각(自覺)의 본질은 존재-의식-지고의 행복입니다.
4. When will the realization of the Self be gained?
언제 진정한 자기 자신에 대한 깨달음 터득됩니까?
When the world which is what-is-seen has been removed,
there will be realization of the Self which is the seer.
보이는 대상(what-is-seen)인 이 현상세계가 사라졌을 때,
보는 자(the seer)인 진정한 자신을 깨닫게 될 수 있습니다.
5. Will there not be realization of the Self even while the world is there (taken as real)?
현상세계를 (실재라고 여겨) 현상세계가 있는 동안에는 진정한 자아를 인식할 수 없습니까?
There will not be.
현상세계가 실재라고 여기는 한 진정한 자아를 깨달을 수 없습니다.
6. Why?
왜 그러합니까?
The seer and the object seen are like the rope and the snake.
Just as the knowledge of the rope which is the substrate will not arise
unless the false knowledge of the illusory serpent goes,
so the realization of the Self which is the substrate will not be gained
unless the belief that the world is real is removed.
보는 자(진정한 자아)와 보이는 대상(현상계)은 밧줄과 뱀의 비유와 같습니다.
실재하지 않는 뱀에 대한 그릇된 인식이 사라지지 않는 한 실체인 밧줄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생길 수 없듯이, 현상계가 실재한다고 믿는 분별심이 사라지지 않는 한 실체인 진정한 자아를
깨달을 수 없습니다.
7. When will the world which is the object seen be removed?
보이는 대상으로서의 현상세계는 언제 사라지게 됩니까?
When the mind, which is cause of all cognitions and all actions becomes quiescent,
the world will disappear.
모든 인식과 모든 행위를 일으키는 원인(主體)인 마음이 침묵하게 되면 현상세계는 사라집니다.
8. What is the nature of the mind?
그렇다면 마음의 본질은 무엇입니까?
What is called 'mind' is a wondrous power residing in the Self.
It causes all thoughts to arise. Apart from thoughts, there is no such thing as mind.
Therefore, thought is the nature of mind.
소위 마음이라고 불리는 것은 진정한 자아 속에 자리잡고 있는 하나의 불가사의한 힘입니다.
그 마음이 모든 생각을 일어나게 하는 원인입니다. 생각과 별개로 존재하는 마음은 없습니다.
그러므로 생각이 곧 마음의 본질입니다.
Apart from thoughts, there is no independent entity called the world.
In deep sleep there are no thoughts, and there is no world.
In the states of waking and dream, there are thoughts, and there is a world also.
Just as the spider emits the thread (of the web) out of itself and again withdraws it
into itself, likewise the mind projects the world out of itself and again resolves it
into itself. When the mind comes out of the Self, the world appears.
Therefore, when the world appears (to be real), the Self does not appear;
and when the Self appears (shines) the world does not appear.
생각들과 떨어져서는 현상세계라고 부르는 독립된 개체로서의 이 세상 모든 것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깊이 잠든 세계에서는 아무런 생각도 없고, 따라서 이 세상이라고 불리는 현상세계도 없습니다.
깨어 있을 때와 꿈속에서는 갖가지 생각들이 있고 따라서 이 세상이라 불리는 현상세계계도 있습니다.
그것은 마치 거미가 몸밖으로 거미줄을 내었다가 거미줄을 다시 몸 안으로 거두어들이듯,
마음 역시 마음으로부터 현상세계를 투영했다가 다시 그 현상세계를 마음 속으로 거둬드립니다.
마음이 진정한 자아로부터 분리되어 나왔을 때 이 세상이라는 현상세계가 투영되어 나타납니다.
그러므로 이 세상이라 부르는 현상세계가 나타날 때(이 세상이 실재하는 것 처럼 보일 때)는
진정한 자아는 드러나지 않고, 진정한 자아가 나타날 때(진정한 자신이 빛을 발산할 때)는
이 세상이라 부르는 현상세계는 드러나지 않습니다.
When one persistently inquires into the nature of the mind, the mind will end leaving
the Self (as the residue). What is referred to as the Self is the Atman. The mind always
exists only in dependence on something gross; it cannot stay alone.
It is the mind that is called the subtle body or the soul (jiva).
누가 마음의 본질을 끈질기게 탐구해 들어가면 마음은 진정한 자아만을 잔류자 모양 남겨놓고 소멸
해 버립니다. 여기서 잔류자 처럼 남는 진정한 자아는 아트만(Atman)입니다. 마음은 항상 무엇인가
조잡한 것에 의존함으로서만 존재할 수 있으며 홀로 존재할 수가 없습니다. 우리가 소위 미묘한 본체
또는 영혼이라는 이름으로 부르는 그것이 마음입니다.
-마하리쉬- (이어서 계속)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리(眞理)라는 이름이 가리키는 이것의 다른 이름들 (0) | 2017.03.14 |
---|---|
성지(聖地, The Holy Land) (0) | 2017.03.14 |
치유하지 못하는 병은 없다. (0) | 2017.03.13 |
단 하나뿐인 세상 (0) | 2017.03.12 |
이 세상, 현상세계, 현실세계, 삶, 인생이란? (0) | 2017.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