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촛불집회 직전 '남북 전역 계엄령' 준비한 朴정부, 왜
박태인 입력 2018.09.03. 03:00 수정 2018.09.03. 07:00
북한 급변사태 대비 vs 촛불 대응 계엄령 초안 논란
그러나 합수단은 '희망 계획'과 기무사의 계엄령 검토와의 연관성은 낮은 것으로 보고 있다. '희망 계획'이 논의됐던 시점이 '최순실 태블릿PC'가 보도되고 첫 촛불 집회가 시작된 2016년 10월 29일보다 이전이기 때문이다. 합수단 관계자는 "청와대에서 희망계획이 논의되던 시점은 2016년 9월부터 10월 초·중순 사이였다"고 말했다.
━
'북한 붕괴론' 믿었던 박근혜 정부, 급변사태 대비했나
실제 박근혜 정부는 '희망 계획'이 논의되던 해인 2016년 북한 정권의 붕괴 가능성을 공개적으로 거론하며 공세적인 대북 정책을 펼쳤다. 같은 해 1월 6일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당시 박근혜 대통령은 강도 높은 대북 압박 정책으로 돌아섰다. 이후 북한 정찰총국 대좌(대령)와 태영호 전 주영 북한 공사 등 북한 고위급 인사의 연이은 탈북 행렬이 이어졌다.
2016년 8월 열린 국가안보회의(NSC)에서 박 전 대통령은 "최근 북한 주요 인사의 탈북과 망명이 이어지는 등 심각한 균열 조짐을 보이면서 체제 동요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수위 높은 발언을 했다. 두 달 뒤인 제68주년 국군의날 행사에선 이례적으로 북한 주민에게 "언제든 대한민국의 자유로운 터전으로 오시길 바란다"며 공개 탈북을 권유했다.
윤덕민 전 국립외교원장은 "국제적인 제재를 받고 있던 김정은 정권에 대한 공격적인 대북 정책을 펼친 것"이라고 해석했다. 북한 노동신문은 "동족 대결과 적대의 독기를 쏟아내고 있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박태인 기자 park.taein@joongang.co.kr
'박근혜 정부 출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무사, 박근혜 통치권 보필 위해 세월호 민간인 불법 감청 · 사찰" (0) | 2018.11.06 |
---|---|
"김관진 지시로 계엄령 검토" 장교 진술… 소환조사 계획 (0) | 2018.09.15 |
조현천 전 기무사령관, 탄핵정국서 靑 수시 출입 확인 (0) | 2018.08.28 |
박근혜 청와대, '촛불' 초기부터 계엄령 검토했다 (0) | 2018.08.28 |
함승희 주말에도 비서관 불러내 '서래마을 데이트 비용' 결제 시켜 (0) | 2018.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