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과 깨달음의 비유
불교를 깨달음의 종교라고 한다. 그러나 정작 깨달음을 확인하고 나면, 깨달음이라는 것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한다. 그저 지금 여기 있는 이대로가 그대로 진실된 실상이지, 지금 여기 있는 이대로가 아닌 더 성스럽거나 더 위대한 그 어떤 별다른 깨달음은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반야심경에서는 색즉시공이라고 하여, 색이 그대로 공이지, 따로 공의 세계가 있는 것이 아님을 설하며, 무지역무득이라고 하여 지혜도 없고 얻을 것도 없다고 설하고 있다. 또한 이무소득고라고 하여 이 불법은 얻을 바가 없다고 설한다.
사람들이 건강할 때는 그저 하루 하루를 멀쩡하게 그냥 살면 되는 것이지, 건강한 사람들이 매일 아침 일어나 건강한 자신을 보면서 신기해하고, 기뻐하는 것은 아니다. 그냥 하루 하루를 건강한 몸으로 그냥 살 뿐이다. 이처럼 건강할 때는 건강하다는 상이 없다. 그러나 몸이 아픈 사람에게는 건강이라는 감사하고도 놀라운 경계가 따로 있다고 여겨져 건강을 찾는다.
시한부 인생을 선고받은 말기 암 환자라고 해 보자. 그 사람은 건강한 사람이 너무나도 부러울 것이다. 자신도 건강해 질 수만 있다면 무엇이든 다 시도해보려고 할 것이다. 눈에 실명이 온 사람의 경우라면, 두 눈이 멀쩡한 사람이 얼마나 선망의 대상일까. 이처럼 아픔이 찾아오면 그 때 아픔이 없는 건강을 찾는다. 즉, 아플 때, 문제가 생겼을 때는 건강이라는 경계가 따로 있는 것처럼 여겨지는 것이다.
불교도 이와 같다. 불교에서 깨달음이라는 것은 곧 건강한 상태, 아무런 문제가 없는 상태를 말한다. 그러나 깨달은 자는 이미 건강하기 때문에, 따로 건강한 상태, 깨달음의 상태라고 할 만한 무언가가 따로 있다고 여기지 않는다. 그저 건강한 몸과 마음을 가지고 그저 하루 하루를 건강하게 살 뿐이다.
그러나 건강에 문제가 생긴 사람, 병이 생긴 사람에게는 건강이 지상 최대의 목표가 된다. 그래서 의사는 병이 생긴 사람에게 빨리 나을 수 있도록 ‘건강’이라는 멸성제, 즉 병이 사라진 상태가 가능함을 보여준다. 그래서 아픈 사람은 건강이라는 멸성제를 만들어, 그것을 목표로 열심히 병을 치료하는 것이다. 즉 도성제를 실천하는 것이다.
깨달은 자에게는 병이 없으니, 즉 괴로움이 없으니, 고성제가 없고, 병의 원인을 구하거나, 병이 없는 건강한 이상세계를 꿈꿀 것도 없고, 병을 치료하는 방법이 필요한 것도 아니다. 즉 고집멸도라는 사성제가 다 필요 없는 것이다. 이것이 반야심경의 ‘무고집멸도’의 의미다.
병든 자에게는 병이 완치가 된 상태가 놀라운 환희의 순간일 것이다. 예를 들어 눈이 멀어 아무 것도 보지 못하던 사람이, 수술을 잘 마쳐서, 결국 멀쩡한 두 눈으로 세상을 볼 수 있다면 그는 엄청난 환희심을 느낄 것이다. 그것이 바로 견성이다. 성품을 보는 순간, 모든 문제가 해결되기 때문에 환희심과 깨달음의 체험 같은 것이 찾아온다. 그러나 실명된 사람이 처음에는 환희심으로 볼 수 있다는 사실에 기쁘겠지만, 시간이 지나면 당연하게 느껴지듯, 견성의 체험도 처음 잠깐의 환희심은 있겠지만, 환희심은 왔다가 사라지는 하나의 경계일 뿐, 도리어 그 이후의 평범하고 당연하게 아무 문제 없이 하루하루를 사는 것이 진정한 깨달음의 삶이다.
깨달음을 어떤 특정한 경계로 착각하지 말라. 깨달음이라는 별따른 경계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깨달음을 깨달음 이전과 다른 특별한 경계로 여긴다면, 그것은 깨달음 이전과 이후를 둘로 나누는 분별심일 뿐이다. 그래서 깨달음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다만 병이 있는 사람을 위한 치료약, 즉 응병여약의 방편의 가르침이 있을 뿐이다. 병이 사라지면 저절로 병 없는 건강함이 드러나 현실에서 그저 평범하게 사는 것일 뿐이다. 평상심이 곧 도인 것이다.
[불교방송 라디오 '법상스님의 목탁소리'(07:52~08:00) 중에서] 글쓴이 : 법상
'법상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도의 의미(초기 불교의 수행) (0) | 2024.06.07 |
---|---|
어떻게 보살은 청정한 불국토를 수행합니까? (1) | 2024.06.07 |
당신이 곧 무한한 우주이며 무한한 법신 부처님의 불국토입니다 (1) | 2024.06.06 |
항상 보리좌에 앉아 계시네 (0) | 2024.06.05 |
일체유심조가 뜻하는 3 가지 (0) | 2024.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