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 출범

[단독] "14명 구금" 방첩사 간부 자필 진술… 홍장원 메모와 '대부분 일치'

장백산-1 2025. 2. 7. 20:56

[단독] "14명 구금" 방첩사 간부 자필진술…홍장원 메모와 '대부분 일치'

유선의 기자 입력 2025. 2. 7. 18:55


[앵커]

"정치인 체포 지시는 없었다" 윤석열 대통령이 탄핵 심판에서 이 주장을 밀어붙이려 합니다. 명백한 탄핵 사유라는 걸 스스로도 잘 아는 겁니다. 그래서 주로 공격하는 게 체포 지시를 받았다고 일관되게 증언해 온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과 곽종근 전 특수전 사령관입니다. 윤 대통령은 아예 자신이 탄핵 소추된 게 두 사람의 "공작" 때문이라고까지 주장합니다.

 

하지만 JTBC가 이중 홍 전 차장에게 14명 체포 대상 명단을 불러줬다는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의 부하가 한 진술을 확인했습니다. 방첩사 간부의 진술인데 정치인을 '호송 후 구금'하란 임무를 분명히 부여받았고, 그 대상 명단도 받았다는 겁니다. 이 명단 속 숫자가 홍 전 차장이 들었다는 딱 그 14명인데, 면면도 거의 일치했습니다.

 

첫 소식, 유선의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이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과 통화한 뒤 기록한 메모입니다.

이재명, 우원식, 한동훈 등 정치인, 법조인들의 이름과 14명이라는 글씨도 보입니다.

JTBC가 검찰 특수단과 군검찰 등을 취재한 결과, 여 전 사령관의 부하인 구민회 방첩사 수사조정과장이 계엄 당일, 이와 사실상 같은 지시를 받았었다는 내용의 자필진술서를 검찰에 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구 과장은 12·3 내란사태 당일 밤 11시 4분쯤 김대우 방첩사 수사단장에게 임무를 부여 받았다면서 경찰에는 호송차를, 조사본부에는 구금시설을 확인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했습니다.

 

또 호송 및 구금 명단은 14명으로 이재명, 우원식, 한동훈, 조해주, 조국 등이었다고 적었습니다.

이어 이들을 인수받아 호송 후 구금시설로 이동한다는 임무를 하달받았다고 자필 진술했습니다.

 

구 과장은 또 "4일 새벽 0시 25분에 신모 소령이 소속된 1조가 출발했고, 최모 소령이 소속된 2조부터 순차적으로 출발했다"고도 진술했습니다.

 

'1조, 2조 축차 검거 후 방첩사 구금시설에 감금 조사'라고도 써 있는 홍 전 차장의 메모의 내용과 일치할 뿐 아니라 최소 2개 조가 실제 출동까지 했다는 겁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헌법재판소에 출석해 홍 전 차장이 '탄핵 공작'을 벌인 거라고 공격했습니다.

 

[탄핵심판 6차 변론 (어제) : 12월 6일 바로 이 홍장원의 공작과 특전사령관의 김병주TV 출연부터 내란 프레임과 탄핵 공작이 저는 시작된 것으로 보여지고요.]

 

하지만 12·3 내란 사태 당일 방첩사에서 직접 지시를 받은 구 과장의 자필 진술로 윤 대통령의 '공작설'은 힘을 잃게 됐습니다.



[영상취재 김영묵 박재현 / 영상편집 최다희 / 영상디자인 신재훈]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