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odinfo.kr/image/board_img01.jpg) |
1 |
SOD 연대기 |
연세중앙내과 |
2009.09.11 |
432 |
http://www.sodinfo.kr/02_sod/sod_02_2.html?idx=1
![](http://sodinfo.kr/image/btn_link.jpg)
SOD 프로파일
영어식 이름 : SOD (Super Oxide Dismutase: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
한국식 이름 : 활성산소 해독효소
생년월일: 모든 생물의 탄생과 함께 존재하기 시작함, 인류의 탄생과도 함께함
직업 : 활성산소 해체(해독)
활성산소와 SOD의 대결 역사
연대기 |
활성산소 |
SOD |
1950년대 |
- 미국 듀크대학 생화학자 프리드비히 교수 등에 의해서 본격 연구 시작 |
1960년대 |
- SOD와 함께 동반 노출됨 |
- 알라바마대학 생화학자 맥코드 교수가
- 쥐 실험으로 SOD발생기전 및 작용방식을 증명,
- SOD 존재를 발표함 |
1970년대 |
- 활성산소가 암 유발에 영향력을
- 행사한다는 연구결과들이 나옴
- 일본 연구진이 활성산소가 당뇨병,
- 혈류 장애, 백내장 등에 활성산소
- 과산화지질이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 결과를 냄
- 미국의 복서 박사가 어린이 중증
- 빈혈을 일으키는 ‘글루타치온
- 결핍증’이라는 병명 발표
- (활성산소 증가가 영향) |
- 약 10여년 간 생화학자들에 의해 존재 자체에
- 대한 연구 계속됨
- 활성산소가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에 대해 속속
- 밝혀짐에 따라 SOD의 연구에 박차를 가해야
-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기 시작
- 과학, 의학, 농학 등등 여러 분야 연구진이 SOD
- 연구에 뛰어들기 시작
|
1980년대 |
- 활성산소로 야기되는 질병에 대한
- 연구가 본격적화 됨 |
- 활성산소에 대응하는 SOD를 활용하여 질병을
- 치료하는 방법들에 대한 연구열이 높아짐 |
1990년대 |
- 질병의 90%가 생채내 과잉
- 활성산소와 과산화지질에 의해
- 생긴다는 지견이 일반화 됨 |
- 80년대부터 90년대까지 난치병 환자들에게
- 적용하는 SOD 주사 치료제 등이 쓰임 |
2000년대 |
- 활성산소와SOD의 개념과 이들의 상호작용 등에 대한 의학 정보가 일반인들에게도
- 널리 퍼짐
- 활성산소 대항을 위한 SOD성분의 건강기능식품 개발에 박차가 가해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