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계발과 마음공부

無智亦無得

장백산-1 2012. 12. 31. 12:47

 

 

 

반야심경(般若心經) 40-무지역무득(無智亦無得)|12.-반야심경(般若心經)
뽀얀 | 조회 6 |추천 0 |2010.01.13. 20:38 http://cafe.daum.net/sejon/389m/299 

 

무지역무득(無智亦無得)

 

위에서 『반야심경』은
일체 현상계에 나타나는 모든 존재를 모두 否定하고 있으며,
이어서 그 現狀界를 조견(照見)했을 때 나타나는 眞理인
사성제와 십이연기까지도 차례로 부정하고 있다고 하였습니다.

이러한 부정의 논리를 통해서 空의 世界를 드러내는 理由는,
智慧, 卽, 般若波羅蜜을 體得하기 위함이며,
그 智慧에 依持해서 모든 菩薩은
一切의 苦厄에서 벗어나 涅槃이라는 깨달음을 얻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章에서는 우리가 마지막까지 가지고 있던,
더 以上 否定해서는 안 될 것으로 여긴
‘根本’에 對한 부분까지 모두를 否定하게 됩니다.

다시 말해, 여기에서는 더 이상 부정해서는 안될

智慧, 卽, 般若波羅蜜과  그 智慧를 通해 얻어지는

깨달음, 卽 涅槃까지 모두를 否定해 버리고 있는 것입니다.

바로 여기에서 『반야심경』이
부정의 논리를 통해 空의 세계를 드러내는
마지막 部分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지혜(慧)란
우리가 現狀界의 照見을 通해 얻을 수 있는 깨달음의 眼目이며,
얻을 것[得]이란
그 바른 智慧에 依해서 얻게 되는

깨달음의 世界, 卽, 解脫이며, 涅槃입니다.

즉, 이와 같은 두 가지는
부처님 가르침의 核心이며,
最後의 目標인데도 불구하고 이 모두를 否定해 버리는 것입니다.

結局, 우리는 깨달음에 이르기 위해
智慧를 닦아 나가는 것입니다.
卽, 깨달음의 彼岸으로 가기 위해
苦海[괴로움의 바다]를  건너는 배의 이름이 ‘智慧’인 것입니다.

그러나, 깨달음으로 건너가는 길이 智慧라고 하니,
모두가 이 智慧에 執着을 해 버립니다.
智慧를 증득하는 것에만  얽매이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반야심경에서는
이 智慧조차도 否定해 버립니다.
깨달음으로 引導하는 배이며,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이 智慧라고 했을 때
分明  智慧조차도 깨달음에 이르는 方便에 불과한 것입니다.

꿈을 꾸고 있다가
이것이 꿈인 것을 올바로 알아[智慧] 꿈을 깼다고 했을 때,
꿈을 깨고 나면 꿈을 깨는 最上의 열쇠인 智慧마저도

없어지게 되는 것은 當然한 理致인 것입니다.

이렇게 말을 하니 우리가 바라 볼 것은 오직

깨달음, 卽 涅槃의 기쁨뿐이라고 生覺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무득(無得)이라고 하여
반야심경에서는 窮極의 깨달음마저도 否定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얻을 것이 없다는 것이지요.

이렇게 깨달음에 이르는 智慧와
窮極의 깨달음까지도 모두 否定하고 있다는 것은
이 모두가 空의 世界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意味합니다.

즉  思想은
現狀界의 本質이기도 하면서 同時에 理想世界  卽 解脫, 涅槃의 本質이기도 한 것입니다.

一切가 空이라면 그것으로 그만이지
그 속에 智慧가 있다던가 解脫은 있다라고 할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一切가 空이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반야심경은
어느 것에도 執着하지 않을 것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입니다.
심지어 智慧나 涅槃(깨달음)에도
執着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