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체(魄), 마음(魂)과 의식(靈)
人間의 構成을 보면
物質的인 部分이 육체(魄)이며,
精神의 核心을 이루고 있는 부분이 意識(靈)이다.
힌두교에서 아트만(Atman)이라 칭하기도 한다 .
그리고 兩者의 部分的인 性狀을 가지고 있는 것이 마음(魂)이다.
육체(魄)는 人間의 物質的 機能을 담당하며
감각기관을 通하여 외부 물질적 세계와 交流 및 連結을 主導한다.
한편 의식(靈)은 人間의 源泉的 生命力이며 본성(本性)이다.
그리고 意識은 宇宙意識(하느님)과 교류하고(靈交)
다른 靈的 世界와도 직관(靈的感覺)을 通해 교류한다.
마음(魂)은 肉體와 意識을 連結시키고
사고(思考), 지성(知性), 감정(感情), 의지(意志) 등과 같은 精神活動에 關與한다.
외부세계의 刺戟이 肉體의 感覺器管을 通해 神經界에 傳해지고
중추신경(뇌)의 전위(電位)의 변화를 통해 발생된 電磁波가
마음에너지 層을 자극하여 記憶의 再生, 思考, 判斷, 決定 등의 마음의 活動을 誘發시킨다.
이 마음의 作用은 그 마음에너지 層에서 끝날 수도 있으나 一般的인 境偶는 意識에까지 傳達된다.
그러나 이런 過程을 通해 우리가 認識하는 內容들은 事實上 對相의 참 모습이 될 수 없다.
肉體와 마음이라는 中間 通路를 거치는 동안 情報가 變質되기 때문이다.
纖細하지 못한 肉體의 機能은 個體에 따라 그 섬세성에 差異가 있을 뿐 아니라
한 個體에서도 그때그때의 狀態에 따라 수시로 變化된다.
또한 마음에너지 層에서는 經驗을 通해 記憶된 情報를 基準으로 새로 들어온 情報를 判斷한다.
그러나 個人 마다 經驗이 다르고, 한 個人이라 하더라도 以前 經驗 當時의 環境이나
肉體 및 마음의 狀態가 現在와 差異가 있기 때문에
同一한 事物에 對한 情報일지라도 똑같은 情報가 안될 수도 있다.
한편 마음의 活動은 外部의 刺戟 없이도 可能하다.
內的인 어떤 要因에 依해 사고(思考)가 일어나고 그것이 始發이 되어
마음의 모든 作用들이 活性化되기도 한다.
이 內的 要因 中 어떤 것은 의식(靈)의 作用에 依한 것일 수도 있다.
生命의 源泉이 되는 의식(靈)은 과연 어디에서 온 것일까?
이는 科學的인 方法으론 아직까지 알 수 없는 일이나
여러 宗敎들에서는 그 源泉을 하느님, 브라흐마(Brahma), 공(空), 도(道), 신(神) 등으로 부른다.
또는 우주의식(宇宙意識)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앞으로 여기에서는 宇宙意識이란 표현으로 그 生命의 源泉을 대신하기로 한다.
宇宙意識은 宇宙에 存在하는 모든 것의 本質이라 말할 수 있다.
모든 事物이 그 宇宙意識에서 由來하기 때문이다.
宇宙만유(萬有)의 本質은 宇宙意識 그 自體이므로 宇宙意識이 宇宙萬有를 認識한다는 것은 不可能하다.
그것은 마치 눈이 그 눈을 보지 못하는 것과 같다. 또한 人體의 免疫體界가 異物質이 들어오면 그것을
認識하나 人體와 同質의 物質이 들어오면 그것을 認識하지 못하는 것과 같다.
나는 나를 알 수 없다. 認識을 위해선 差異가 必要하나 나는 나와 같은 것이기 때문에
自己를 認識하는 것이 不可能한 것이다.
宇宙意識도 自己 自身인 宇宙萬有를 認識할 수 없는 것은 그래서 當然한 理致다.
그러나 우리의 意識은 宇宙意識에서 分離된 個體意識이다.
더구나 그 意識은 肉體와 마음이라는 두꺼운 障碍物로 宇宙意識이나 다른 事物로부터 遮斷되어 있다.
그래서 다른 事物을 認識하는 것이 可能한 것이다.
그렇지만 만약 이 障碍物(육체, 마음)이 除去된다면 모든 것이 '하나'로 認識되거나
自己 自身으로 느껴지고, 더욱 더 淨化되면 宇宙意識과 '하나'가 되어 認識조차 할 수 없을 것이다.
覺性狀態 , 깨달은 者의 境地 , 涅槃에든 境地가 바로 이런 것일 것이다.
붓다와 같은 肉體를 지닌 각자(覺者)는 覺性된 意識의 能力으로
마음을 自由自在하게 支配할 수 있는 境地이다.
각자(覺者)가 무심(無心,중생심이 없는 상태)狀態에서 죽음을 맞게 되면
意識(靈)만이 肉體에서 떠나가게 되므로 純粹한 意識이 된다.
이 純粹한 意識은 宇宙意識과 同質이어서 그대로 宇宙意識과 '하나'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宇宙意識과 합일(合一)된 意識狀態를 涅槃(nirvana)이라 한다.
이런 觀點으로 본다면 깨달음에도 여러 次元이 있을 것 같다.
그중 涅槃狀態의 意識이 最上으로 마지막 次元 일 것이다.
意識이 아직 認識者로 남아 있으면서 事物의 眞面目을 있는 그대로 여여(如如)하게 볼 수 있는 정도의
깨달음, 비이중성(非二重性)을 成就하여 萬有가 하나이며 나 역시 그들과 하나라는 것을 理解하게 된 段階, 인식자(認識者)마저 사라져 존재성(存在性)만이 남게 된 段階,
더 나아가 존재성(存在性)마저 사라지고 비존재성(非存在性)을 成就한 段階가 있을 수 있을 것 같다.
우리의 意識이 肉體나 마음의 經路를 거치지 않고 外部의 刺戟(狀況)을 直接 받아들여
意識 自體의 에너지 變化를 通해 認識할 때 事物을 여여(如如)하게 볼 수 있는 것이고, 이 여여(如如)한
事物을 通해 모든 事物의 진면목(眞面目)이 다 같다는 事實을 理解하면 一元性을 成就하게 된다.
더 나아가서 意識이 宇宙意識과 합일(合一)狀態가 되면, 만유(萬有)의 本質이 宇宙意識과 하나이기 때문에
認識의 對相이 사라져 아무것도 認識하지 못하게 된다.즉 공(空)으로 느끼게 된다. 이런 狀態가 공(空)이다.
이때는 理論上으론 認識者(宇宙意識)만 있고 認識의 對相은 없는 狀態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이 存在性만 있는 狀態이다.
그러나 認識者가 自身의 存在를 느낄 수 있는 것은 認識할 수 있는 對相이 있을 때만 可能하다.
認識할 對相이 없을 때는 自身의 存在性을 느낄 수 없다.
그래서 事實上 存在性만 남은 狀態는 非存在性의 狀態와 같을 것이다.
이 狀態가 열반(涅槃, nirvana)이다.
그렇다면 輪回하는 영혼(靈魂)과 涅槃에 들 수 있는 영(靈)의 差異는 무엇일까?
두 경우 다 이미 肉體를 벗어난 狀態이므로 肉體的 干涉은 生覺할 수 없다.
生命體가 죽음을 맞이할 때 物質的인 部分은 그대로 남고 非物質的인 部分만이 肉體에서 離脫된다.
의식(靈)과 마음(魂)은 非物質인 에너지일 것이다. 그래서 이 두 부분만 육체에서 이탈하게 된다.
우리는 이것을 영혼(靈魂)이라 부르고 있다.
깨달은 자는 無心狀態(覺性狀態)에서 죽기 때문에 意識만 이탈되고,
범인(凡人)은 意識과 마음이 함께 이탈하게 된다.
그래서 嚴密하게 표현하면 각자(覺者)의 死後 靈魂은 영(靈)이라 하고,
범인(凡人)의 것은 영혼(靈魂)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각자(覺者)의 靈은 純粹한 의식(意識)이어서
本來의 宇宙意識과 同質이므로 그대로 宇宙意識에 融合되어 버린다.
그러나 범인(凡人)의 靈魂은 意識에너지가 마음 에너지로 汚染된 狀態이므로
宇宙意識과 同質일 수 없어 宇宙意識과의 融合이 不可能하다.
그래서 여러 가지 與件이 갖추어 지면 다시 肉體에 깃들게 된다.
우리는 전자(前者)를 열반(涅槃)에 든다고 하고 후자(後者)를 輪回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렇게 分離된 의식(意識)인 人間이 나왔던 곳인 우주의식(宇宙意識)속으로
다시 돌아가는 것이 涅槃에 드는 것이다.
輪回의 目的이 靈的進化, 卽 순수한 의식(靈)으로 돌아가는 데 있다는 意味에서 본다면
우리 삶은 다시 집으로 돌아가기 위한 旅程이라고 말할 수 있다.
- 석헌/허경용 -
-마음공부와 자기계발을 넘어서-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누구인가!> 라마나 마하리쉬 (0) | 2013.04.05 |
---|---|
음양세상은 항상 불완전하다 (0) | 2013.04.05 |
本來無一物 本來無生死 (0) | 2013.04.04 |
[스크랩] [표지이야기]김미경식 힐링 끝나는가 (0) | 2013.04.03 |
自燈明 法燈明 (0) | 2013.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