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제일분, 부처님의 평범한 일상
금강경 제일분, 부처님의 평범한 일상
金剛經 제1분에서는 부처님의 하루 일과를 묘사하고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1250인과 함께 계시다가 공양 때가 되자 집집마다 차례로 탁발을 하시고 돌아와 공양을 하시는 평범한 장면이지요.
가만히 그 광경을 그려보라. 1250인이라는 대식구가 저마다 보리수나무 아래 차분히 명상에 들어 있다. 공양 때가 되니 부처님과 모든 비구스님들께서 가사를 수하고 발우를 들고는 줄지어 마을로 향한다.
1250인이라는 스님들이 걷고 있지만 그 걸음 걸음에는 한없는 고요와 침묵만이 향기롭게 대열을 감싸고 있다. 고요히 탁발을 하시고는 다시금 本來 자리로 돌아오셔서 저마다의 자리에 앉아 供養을 할 것이다.
부처님의 시자 아난은 항상 그림자처럼 부처님 옆에 서 있다. 부처님에 대한 지켜봄이 있었기에 우리가 보았을 때 시시콜콜해 보이는 이런 사소한 일상까지 아난존자는 經典에서 소중하게 말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들의 하루는 어떠한가. 아침 자명종 소리에 일어나자마자 精神없이 씻고 화장하고 대충 밥 먹고, 후다닥 뛰쳐나가 회사로 학교로 간다. 精神없이 하루가 가고 저녁 때 동료들과 한 잔 하고 집에 들어와서는 쓰러지듯 잠이 들곤 한다. 다 이렇지는 않겠지만 精神없이 마음을 챙기지 못하고 사는 것은 이와 다를 게 없을 것이다.
反面에 부처님의 하루 일과는 모든 瞬間瞬間이 그대로 修行이라고 할 수 있다. 어느 한 가지 사소하고 덜 중요한 일이 없이 모든 일과가 그대로 소중한 깨어있는 意識의 行이다. 밥 먹는 그 사소한 일상이 밥 먹는 瞬間 世上에서 가장 所重한 깨달음의 瞬間이 되는 것이다. 밥 빨리 먹고 나서 坐禪에 들기 위한 過程이 아니라, 오직 밥 먹는 그것이 그대로 目的이다. 밥 먹는 瞬間 온전히 밥만 먹는 것이다. 밥 먹으며 다른 生覺, 미래를 계획, 과거 기억을 하지 않고 번잡하지 않게, 오직 밥만 드실 뿐인 것이다.
每 瞬間瞬間 몸과 마음이 온전히 지금 여기에 있다. 每 瞬間 지금 여기에 到着해 있다. 다른 目的地를 向해 달려가지 않는다. 그러니 到着하려고 애쓸 일도 없고, 깨달으려고 애쓸 것도 없고, 이 괴로운 세상 잘 살아 보려고 애쓸 것도 없이 每 瞬間瞬間 이미 到着해 일을 마친 것일 뿐이다. 그러니 마음이 더없이 平和롭고 香氣로울 수 있는 것이다. 그런 낱낱의 모든 움직임이 그대로 坐禪이고 意識이 깨어있음이다. 바로 지금 여기 이 瞬間 이 자리가 우리들이 그렇게 찾아 나섰던 窮極의 瞬間인 것이다.
바로 지금 여기 이 瞬間, 自身의 마음을 돌아보라. 늘 어딘가를 向해 달려가려 하고, 무엇인가 目的 達成을 위해 애쓰고, 끝이 보이지 않는 欲望과 執着의 사슬에 묵여서 한 時도 滿足하지 못하며, 한 시도 到着의 平和로움을 맛보지 못하고 있지는 않은가.
마조스님께서는 ‘平常心이 道’라는 말씀하셨고, 많은 禪師 스님들께서는 이러한 金剛經 제일분을 두고 깨달음 最高의 瞬間이며 最上의 說法이라 하셨다. 다시 말해 똑같은 일상이라도 그 일상이 깨달음의 瞬間이 될 것인가, 아니면 어리석은 衆生들의 平凡한 일과가 될 것인가 하는 데는 重要한 差異가 있다. 똑같은 일상이라도 온전히 지금 이 瞬間에 100% 存在하게 된다면 그것은 그대로 깨달음의 瞬間과 같은 것이다.
바로 지금 여기 내 앞에 놓여있는 바로 이 瞬間이야말로 내가 그토록 到着하고자 成就하고자 했던 그 모든 것들이 이루어진 最上의 瞬間이다.
차를 운전하고 있는 지금 이 순간, 밥상을 차리는 지금 이 순간, 라디오를 듣는 지금 이 순간, 그 모든 지금 이 순간을 별 볼 일 없이 시시하게 보낸다면 그 때 당신의 삶은 生氣를 잃고 시들어 갈 것이다. 눈 앞에 피어난 이 平凡하지만 非凡한 지금 여기 이 瞬間에 발 딛고 서 있는 것이야말로 立處皆眞 照顧脚下의 禪을 實踐하는 唯一한 길이다.
BBS 불교방송 라디오 '법상스님의 목탁소리'(평일 07:50~08:00) 방송중에서 |
'법상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쉽게 닦아가는 생활수행법 (0) | 2015.01.07 |
---|---|
내 생각을 남에게 주입하지 말라. (0) | 2015.01.07 |
새해가 시작되는 이유 (0) | 2015.01.07 |
마음이 모든 것을 이룬다 (0) | 2015.01.07 |
밑바닥 인생, 이제 지겹습니다 (0) | 2015.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