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자유는?
붓다는 변하지 않는 영원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말한다. 이 세상 모든 것은 비영속적이고 항상 변하고 있다. 무상(無常)의 이치 이것을 이해하게 되면 그대는 해방을 얻게 될 것이다.
그러나 명심하라. 사람들이 해방에 대해 이야기할 때, 그들은 자아(自我), 즉 가짜 나를 위한 해방을 이야기한다. 붓다가 해방을 말할 때, 붓다는 자아(自我)로부터의 해방을 말한다. 그리고 자아로부터의 해방은 대단히 진보적이자 급진적이다. 붓다가 말하는 해방은 그대가 해방되는 것이 아니라, 자아로부터 해방되어 자유로워지는 것이다.
붓다가 진정한 자유라고 말하는 유일한 자유는 그대의 자아가 해방이 되는 것이 아니라 자아로부터 해방이 되는 자유이다. 자아라는 가짜 나로부터 행방이 되어 자유롭지 않으면, 그대의 마음은 계속 장난을 칠 것이다. 마음은 새로운 캔버스에 새로운 욕망들을 그려 넣을 것이다. 그러면 그대는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다. 그대는 캔버스를 갈아치울 수 있다. 세상에서 나와 사원(寺院)으로 들어가 앉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그렇게 해서는 그대는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다. 그대의 마음은 천국과 낙원이라는 분별심에 대한 똑같은 욕망들을 투영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장난을 치는 마음을 들여다보라. 마음이 그리는 욕망들을 지켜보라. 깨어서 마음이 그려대는 욕망들을 관찰하라. 나는 그대에게 반복해서 이 말을 상기시켜주어야 할 것이다. 나는 불교의 언어가 아닌 일반언어로 말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붓다가 ‘깨어있게 되어라.’라고 말할 때, 그 말은 ‘깨어있음이 되어라.’라는 뜻이다. 깨어있는 자는 아무도 없고, 오직 깨어있음만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렇다, 그대가 '깨어있음이 되면' 그대는 다시 태어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그대가 자신이 이 세상에 실제로 존재한다는 관념을 갖고 살아가면, 그대는 그러한 관념의 연속체로 남을 것이다. 그러나 그대가 자아라는 개념을 떨어버린다면, 그 자아라는 관념의 연속체는 사라진다. 내가 있다고 여기는 생각, 자아라는 관념은 사라져버린다. 그것이 바로 해방 해탈 열반의 뜻이다. 그대가 등불을 끄면 불꽃이 꺼져 사라지는 것처럼, 그대가 자신의 욕망하는 마음, 분별 망상 번뇌에서 벗어나면 모든 불행과 윤회와 고통은 끝이 난다. 갑자기 자아라는 개념은 사라져버리고 오직 깨어있음만 존재한다.
하지만 그것이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은 아니다. 그렇지 않다면 무신론자와 붓다 사이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을 것이다. 붓다가 말하는 오직 깨어있음만 존재한다는 그 말엔 엄청난 차이가 있다. 붓다는 그대가 분별심 분별상인 생각이나 마음의 작용을 멈추면 생전 처음으로 그대의 실체가 드러난다고 말한다. 그러나 붓다는 그대의 실체, 진짜 나 그것에 아무런 이름을 붙이지 않는다. 그것에 이름을 붙이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것에 이름을 붙이는 것은 가짜 나, 자아를 만족시키는 일이기 때문이다. 자아가 존재한다고 말하는 것은, 오직 깨어있음만 존재하는 그것에게 진실하지 않게 된다는 뜻이다. 붓다는 오직 깨어있음만 존재하는 그것에 대해 절대적으로 침묵하고 고요를 지킨다. 붓다는 오직 깨어있음만 존재하는 그것을 경험하는 방법을 알려주지만, 그것 주변에 맴돌며 철학을 만들어내는 일 따위는 하지 않는다.
오쇼의 <운명이란 무엇인가> 중에서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든 것이 불타고 있다 (0) | 2018.05.08 |
---|---|
지금 여기 있는 그대로 진실한 모습이다 (0) | 2018.05.07 |
법신(法身) 보신(報身) 화신(化身)의 삼신(三身)도 결국은 참이 아니다。 (0) | 2018.05.03 |
삶과 죽음 (0) | 2018.05.01 |
사람에게 가장 큰 일 (0) | 2018.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