있는 그대로가 '나'다 / 숭산 스님
춘래초자생(春來草自生) 봄이 오면 풀은 저절로 자라나는 것이고
청산자부동(靑山自不動) 청산은 스스로 움직이지 않는 것이며
백운자거래(白雲自去來) 흰 구름은 저절로 이리저리 흘러가는 것이다.
봄이 오면 풀은 저절로 나므로 중생이 다가오면 그의 근기를 따라 대접하고, 청산은 동요가 없으므로
마음은 동요가 없다. 동요 없는 마음이 바람을 만나면 흰 구름처럼 인연따라 동서로 윤회한다. 지난
세월에서는 가고 싶지 않은 곳에 억지로 끌려 다녔고, 나고 싶지 않은 곳에도 억지로 태어나서 살고
싶지 않은 삶을 살았는데, 이제는 그 입을 마음대로 놀리고 다니면서 삼계의 귀한 손님 노릇을 한다.
굴리느냐 구르느냐, 그대들은 어떤 인생을 살고 있는가?
마장동 도살장에 가보면 수많은 소들이 “음매 음매” 소리를 지르고 눈물을 흘리며 도살장에 들어온다.
평생 여물죽을 먹고 논과 밭을 다니며 갖은 고통을 겪었던 소들이 이제 마지막 몸 바칠 곳을 향해 걸음
걸음 들어오는 것이다. 그들 중에 어떤 소는 매를 맞을 필요도 없이 대담하게 제발로 걸어 들어가 기꺼이
목숨을 바친다. 죽지 않으려 몸부림 쳐도 죽지 않는 것이 아닌데 죽는다는 마음, 그것 하나 때문에 공포의
눈물이 육신을 적신다. 소의 가련한 인생, 돌아보아야 할 일이다.
과연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 문자에 눈이 팔리고, 지식에 눈이 팔리고, 이름에 눈이 팔리고,
재산에 눈이 팔리고, 명예에 목을 매는 인생을 사는 사람들은 분별(分別) 차별(差別) 속에서 죽어간다.
그래서 조주스님은 불법(佛法)에 대해 묻는 사람에게 차나 마시고 가라고 하였다.
“스님, 부처(佛)가 무엇입니까?” “차나 마시고 가게(끽다거, 喫茶去).”
“스님, 마음(心)이 무엇입니까?” “차나 한 잔 마시고 가게.”
“스님, 도(道)가 무엇입니까?” “차나 한 잔 마시고 가게.”
혹은 불법(佛法)에 대해 물을 때마다, “그대의 발 밑을 내려다보라” 고 하였던 것이다.
조주스님의 말은 네 앞도 모르는 놈이 부처(佛), 마음(心, 도(道)는 알아 무엇하며, 불성(佛性)을 알아서
뭘 하려는 것이냐는 라는 말이다. 돌아볼 일이다, 나의 발 밑을. 인생은 어디로부터 와서 어느 곳으로
가느냐 하는 문제는 동서고금 모든 사람들의 화두다. 고인 가운데 고려 시대 나옹 스님의 누님이 있었다.
동생인 나옹스님에게 염불(念佛)을 배우고 난 후 스스로 시를 읊으니 다음과 같다.
공수래공수거시인생(空手來空手去是人生)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가는 인생이여
생종하처래(生從何處來) 태어날 때는 어느 곳으로부터 왔고
사향하처거(死向何處去) 죽어서는 어느 곳으로 가는가
생야일편부운기(生也一片浮雲起) 태어나는 것은 한 조각 구름이 일어나는 것과 같고
사야일편부운멸(死也一片浮雲滅) 죽는 것은 한 조각 구름이 사라지는 것과 같네
부운자체본무실(浮雲自體本無實) 하늘에 떠 흘러가는 구름은 본래 실체가 없나니
생사거래역여연(生死去來亦如然 태어남과 죽음, 가고 오는 모든 것도 이와 같도다
독유일물상독로(獨有一物常獨露) 유독 한 물건이 있어 항상 홀로 드러나 빛을 발하니
담연불수어생사(湛然不隨於生死) 고요하고 스스로 그러하여 생사를 초월해 있다네.
참으로 멋들어진 시다. 나는 것을 한탄하는 것도 아니고, 죽는 것을 슬퍼하는 것도 아니고,
오고 가는 모든 것들을 있는 그대로 보고 또한 있는 그대로 보는 중에 생사 없는 이치를 보았다.
그렇다면 우리가 이 시를 보고 잘 된 시다, 못 된 시다 분별해서 평가할 것이 아니라 이 시 속에
들어 있는 문제 하나를 풀지 않으면 안 된다.
‘유독 한 물건이 있어 항상 홀로 드러나 빛을 발하니 그것은 생사를 따르지 않는다.’ 하였는데
‘생사를 따르지 않는, 즉 태어나고 죽는 것을 초월한 담연한 한 물건이란 무엇인가.’ 라는 것이다.
한 물건 이것을 아는 사람은 뜬구름을 원망하지 않으리라. 태어남 죽음, 오고 감, 만나고 헤어짐을
기약하지 않으리라. 기약이 없는 세계에 나아가려면 바로 한 물건 그것을 보라. 그것을 보는 자가
곧 부처(佛)이니라.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다움과 법다움 (0) | 2020.07.14 |
---|---|
감각의 창을 열어라 (0) | 2020.07.12 |
진정한 주인 (0) | 2020.07.11 |
무변허공(無邊虛空) 각소현발(覺所顯發) (0) | 2020.07.10 |
응무소주(應無所住) (0) | 2020.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