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만족하는 삶
석가모니 부처님이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
" 『수행자들이여, 욕심이 많은 사람은 많은 이익을 추구하기 때문에 따라서 분별 망상 번뇌도 많지만, 욕심이 적은 사람은 많은 이익을 추구하지 않기 때문에 분별 망상 번뇌 근심 걱정도 적습니다. 욕심을 적게 하기 위해서 힘써 마음을 청정하게 닦아야 하지만, 마음 청정하게 하는 그것이 온갖 공덕을 낳게 함에 있어서 더 말할 것이 있겠습니까.
욕심이 적은 사람은 남의 마음을 사기 위해 그 사람에게 아첨하지 않고 모든 감각기관에 이끌리지 않습니다. 또 욕심을 버리려는 사람은 마음이 편안해서 아무 근심 걱정 두려움이 없고, 하는 일에 마음의 여유가 생겨서 사는데 부족함이 없습니다. 그래서 욕심을 버리는 사람은 열반(涅槃)의 경지에 들게 되니 이것을 일러 '소욕(少欲)'이라 합니다.
만약 모든 번뇌 망상 분별 근심 걱정 고뇌를 벗어버리고자 한다면 마땅히 만족할 줄 알아야 합니다. 스스로 넉넉함을 아는 것은 부유하고 즐거우며 안온합니다. 그런 사람은 비록 맨땅 위에 누워 있을지라도 편안하고 즐겁지만, 스스로 만족할 줄 모르는 사람은 설사 천상세계에 있을지라도 그곳에 만족하지 않을 것입니다.
스스로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가난 한 듯하지만 사실은 부유합니다. 이것을 가리켜 지족(知足)이라 합니다. 』"
----- -- ---- ---
위의 말씀을 읽으면 읽을수록 너무나도 진한 감동이 밀려옵니다. 이것이 진정한 행복(幸福)이려니...
지금 이 순간 여기 이 자리에 펼쳐진 있는 그대로의 나의 모습에 한없이 감사할 줄 아는 사람의 마음은 너무 행복(幸福)할 것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보다 많은 것을 원하고, 보다 풍족한 사람을 부러워하며, 끊임없이 무언가를 갈구하며 살아갑니다. 사람들은 원하는 바가 채워졌을 때 행복(幸福)해 하며 부처님 하느님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가집니다. 원하는 바가 이루어지지 않았 을 때 사람들은 불행(不幸)을 느끼며 부처님 하느님을 원망합니다.
지금 이 순간 여기 이 자리에서 행복을 느낄 수 있어야 진정한 수행자라 할 수 있습니다. 조금만 더... 조금만 더... 조금 더 충족된 후에 느낄 행복(幸福)은 진정한 행복(幸福)이 될 수 없습니다. 그같은 행복(幸福)은 욕망(欲望)의 충족에 의해 얻은 순간적인 행복(幸福)이기에 진실한 행복(幸福)이 아닙니다.
이익을 추구하는 마음이 많은 사람은 욕심이 많은 그만큼 많은 이익을 추구하는 마음으로 인해 번뇌 망상 분별 고뇌 근심 걱정도 많아집니다. 그러나 이익을 추구하는 욕심(欲心)이 적은 사람은 욕심이 적은 그만큼 번뇌 망상 분별 고뇌 근심 걱정에서 자유(自由)로와 질수 있습니다. 욕심(欲心)이 적은 마음에서 무한(無限)한 공덕(功德)이 생겨나온다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말씀을 현실세상에서 실감할 수 없음이 안타깝습니다.
욕심(欲心)이 적은 사람은 바로 지금 이 순간 여기 이 자리에서 내게 주어진 있는 그대로의 현실의 나에게 만족하며 무한한 감사를 느끼게 됩니다. 법우님께서 원하는 삶의 목표(目標), 원하는 삶의 가치(價値)는 무엇입니까. 돈, 권력, 지위, 명예, 사회적 영향력 등등의... 이런 것들이라면 삶의 목표 달성은 죽을 때 까지고 언제까지고 이룰 수 없습니다
그러나 지금 이 순간 여기 이 자리에 주어진 현실세상에 감사할 수 있는, 만족할 수 있는 그런 수행자의 마음에서 삶의 목표를 찾고자 한다면 이미 그 마음이 부처(佛)가 계신 곳입니다.
스스로 만족하는 삶, 스스로 만족할 수 있는 마음을 꾸준하게 연습해가는 것이 생활 속 수행입니다. 바로 지금! 바로 이 순간, 바로 여기, 바로 이 자리, 바로 이 곳!에 행복(幸福)이 있습니다. 행복(幸福)은 이미 내 안에 있습니다.
2009.04.09 글쓴이 : 법상
'법상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깨달음 (0) | 2021.03.31 |
---|---|
평상시의 마음(心)이 도(道)다. (0) | 2021.03.30 |
마음이 그대로 우주삼라만상만물의 근원이다. (0) | 2021.03.30 |
'이것' (0) | 2021.03.30 |
일체의 분별을 떠나 세상과 하나가 되라. (0) | 2021.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