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장은 소멸이 될까? 아니면 끝내 받아야만 할까?
내가 지은 업에 대한 과보를 빨리 받든 늦게 받든, 내가 지은 업에 개한 과보는 반드시 받아야만 한다. 내가 지은 업은 저절로 그냥 없어지지는 않는다. 그래서 『법구경』에서는 ‘하늘에도 바다에도 산중 동굴에도 사람이 지은 악업에서 벗어날 수 있는 장소는 아무 곳도 없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교에서는 ‘업장소멸’이라는 말이 사용되고 있다. 수행을 하고 복을 지으면 업장이 소멸한다는 의미다. 업은 분명히 받아야만 없어진다고 했는데 업장이 소멸할 수 있다는 것은 도대체 어떻게 가능한 것일까?
석가모니 부처는 업을 ‘소금물의 비유’로 설명한다. 악업을 아주 짠 소금물이라고 봤을 때, 악업을 한 컵만큼 지은 사람은 한 컵의 소금물을 마셔야 한다. 그 진한 소금물 한 컵을 다 마시려니 얼마나 고통스러운가? 하지만 다른 방법이 있다. 매우 큰 냄비에 한 컵의 소금물을 넣고 온갖 양념과 두부, 채소를 넣어 맛있는 찌개로 끓여서 배고플 때마다 먹는다면, 분명 그 소금물은 다 먹은 것이지만, 맛있게 먹을 수도 있다.
이것과 마찬가지다. A라는 업을 지었다고 하더라도 A라는 과보를 기계적으로 받는 것이 아니라, 업을 지은 이후에 얼마나 선을 행하고 복을 지으며 살았느냐, 얼마나 수행을 하고 살았느냐에 따라 복의 그릇은 달라진다. 복과 지혜를 증장하면 악업을 고스란히 받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복과 지혜라는 두 가지 요소가 바로 우리의 그릇을 크게 해주기 때문이다. 그랬을 때 오히려 전혀 다르게 받을 수도 있다. 받기는 받되 다른 방식으로 받는 것이다. 따라서 이것을 정확히 ‘업장소멸’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그와 동등한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과거에 지은 업을 놓아버리라고 하는 것이다. 과거에 지은 업에 얽매여서, 지금 이 순간 여기 이 자리를 죄의식과 괴로운 마음으로 살 필요가 없다. 과거에 지은 아무리 큰 죄가 있었어도, 지금 여기 현재에 업을 바꿀 수 있는 것이다. 매 순간 더 복을 짓고, 선을 행하며, 지혜를 닦을 때 더 이상 과거에 지은 업은 없다. 지금 이 순간 여기 이 자리라는 현재 속으로 용해되는 것이다. 그래서 불교에서는 늘 과거나 미래가 아닌, 지금 여기 이 순간 이 자리라 눈앞의 현실이 전부라고 설한다.
업보에서 ‘업’은 행위, 원인을 지은 행위이고, ‘보(報)’라는 것은 지은 행위에 대한 반대급부를 받는 것을 의미한다. ‘보’는 ‘다르게 익어간다’는 뜻이다. 다시 말해서 업을 지었는데 결과(보)는 다르게 익어가는 것이다. 무엇에 따라서 다르게 익어갈까? 업을 지은 것은 과거이지만, 지금 여기 현재라는 순간 순간에 어떤 복을 짓고, 어떤 선을 쌓으며, 얼마만큼 지혜로워 졌느냐에 따라 매 순간 보는 다르게 익어간다.
이 말을 달리 표현하면, 우리의 인생은 업에 따라 인생이 좌우되는 운명론이나 숙명론에 따라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매 순간 우리의 삶은 새롭게 쓰여지고 있으며, 지금 여기 이 순간 이 자리를 어떻게 사느냐에 따라 계속해서 변화됨을 의미한다. 또한 그 어떤 과거에 지은 업장, 죄업에서도 놓여날 수 있으며, 그같은 힘은 곧 지금 여기 현재에 있음을 뜻한다.
글쓴이:법상
'법상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제의현의 선어록] 선의 시크릿 (0) | 2025.03.30 |
---|---|
대승경전의 일종인 반야심경 (0) | 2025.03.29 |
제대로 복수하는 법 (0) | 2025.03.25 |
[법구경/쿳다까 니까야] (0) | 2025.03.25 |
원수에 대한 복수(윤회)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