不守自性隨緣成 (불수자성수연성)
自性을 지키지 않고 因緣따라 이루네
變化가 自性입니다. 變化와 不動, 이것과 저것이 어울려 있는 한 場이 空性의 場, 무자성(無自性)의 場입니다.
空性의 장(場), 수연(隨緣)의 텅~빈 모습
지금까지 다섯 게송의 내용을 설명하면서 이미 이 게송의 內容을 包含시키고 있었습니다만
이 대목에서 한번 말씀드리겠습니다.
부처님께서 선언하신 緣起實相의 뜻은 '이것이 있음으로 저것이 있고, 이것이 生함으로 저것이 生하며,
이것이 없음으로 저것이 없고, 이것이 滅함으로 저것이 滅한다[此有故彼有 此生故彼生 此無故彼無 此滅故彼滅]'는
대목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衆生들과 事物들의 이와 같은 自己 나툼은 相互依存關係의 條件만큼이나 多樣한 얼굴로 나타납니다.
時空은 變化의 모습으로 우리 앞에 있지만, 時空 밖에 있는 不動도 變化의 裏面이나 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變化 그 自體가 事實은 不動이기에 變化가 있을 수 있다고도 말씀 드렸습니다.
'인연을 따른다[隨緣]'고 할 수 있습니다. 단 變化의 因緣을 따름이란 多樣한 이것과 저것의 相互關係 속의
條件變化를 뜻하고 있는데, 이것과 저것의 根本實相이 無常 無我이기 때문입니다.
知覺作用은 自己對相을 一定한 틀 속에 가두고서 아는 것인 데 反하여, 이것과 저것의 無常 無我라는 뜻은
좌선삼매(坐禪三昧)를 通해서 바로 알아차리는 삶의 根據는 단 한 瞬間도 知覺된 內容처럼 停止된 것이
아니라는 말입니다.
사람과 事物들을 停止된 모습으로 파악하고 一定한 틀을 通해서 認識하면서 갖게 되는 我相이 꿈과 같고 물거품과 같음을 깊은 洞察로 如實히 알게 된 것입니다. 이 아상이 끊어진 자리에서 무아와 무상인 시공의 본디 모습을 알게 되니 이를 연기법(緣起法), 공(空), 진여(眞如)라고 부릅니다.
相互關係 속에서 各己 스스로를 끊임 없이 變化하고 있음을 말합니다. 變化하기 때문에 지킬 自性이 없습니다.
온갖 法들의 變化와 이를 가리키는 '變化'라는 말은 相互矛盾입니다. 왜냐하면 말은 變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知覺과 言語는 限定되고 停止된 時空의 領域만을 알아차리고 表現할 뿐, 삶의 實相을 理解하는 것이 아니라
知覺과 言語의 再生産만을 합니다. 더구나 變化란 恒常 不動 그 自體의 變化이기 때문에 더더욱 言語나 生覺으로는 알 수 있는 對相이 아닙니다.
텅~빈 모습으로 存在하는 것과 같은 모습을 자성(自性)으로 여겨서는 안됩니다. 因緣條件을 따르는 것으로
無自性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이것과 저것이 어울려 있는 한 場面만이 空性의 場, 無自性의 場이기 때문입니다.
捕捉하여 이야기하는 緣起의 兩面인 相入과 相卽의 相互關係 設定을 豫告하고 있는 대목이기도 합니다.
因緣을 따른[隨緣] 텅~빈 모습이 모든 法의 實在이며 個體인 同時에 全體를 나투고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