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회를 끊을 힘 지닌 사람이 요지경 세상 두려우랴
요즘 더위가 과거에 비해 혹심해 금년 안거는 아주 힘이 들었습니다.
이 더위에 여러분들 이렇게 법문 들으러 오시는걸 보니 신심이 장하십니다.
불교 법문을 많이 듣다보면 중첩되는 부분도 많고 혹 같은 내용이라도
말씀하시는 분에 따라 말이 굉장히 다른 경우가 많죠.
하지만 모든 분들이 共通的으로 말씀하시는 한 가지는 ‘一心’입니다.
佛敎는 모든 것이 마음에 달려 있으니 ‘마음의 노는 모양새를 알라’는 것이지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크게 두 가지 부류가 있습니다.
하나는 萬事를 神에게 의탁하면서 ‘神이 알아서 해주겠지’ 하고 믿는 부류이고,
다른 한 부류는 ‘모든 것이 八字’라고 생각하면서 業報 타령을 하는 사람입니다.
이 두 가지는 佛敎, 正法의 입장에서 보면 모두 올바른 길이 아닙니다.
佛敎는 無神論입니다. 神을 믿지 않습니다. 또 佛敎는 運命論, 八字論이 아닙니다.
불교는 因果應報를 중시하기 때문에 오늘 現在의 이 마음을 어떻게 먹어서, 말하고,
生覺하고, 行動하고 사느냐가 더욱 중요합니다. 오늘 했던 言 行이 내일의 結果로 나타나고
나쁜 業報로 인해 나쁜 運命, 宿命을 받았더라도 좋은 善業으로 고칠 수 있다는 것이 佛敎의
가르침입니다. 운명· 팔자론은 佛敎 아니다. 그렇기에 佛敎가 어렵습니다 나중에 알고 보면 쉽지만.
佛敎의 단점은 너무 어렵기도 하고 또 너무 쉽기도 하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佛敎를 어렵다고 하는 사람에게 佛敎 책을 몇 권이나 봤냐고 하면 하나도 안 봤다고 합니다.
또 공부를 어느 정도 했다는 사람들은 見性成佛하기가 아침에 세수하다 코 만지기만큼 쉽다고 합니다.
그러니 여러분은 수십 年간 佛敎를 믿었으니 道通을 했어도 몇 번은 하셨어야 합니다.
그런데 여러분은 스스로가 못 깨달았다고 생각합니다. 여러분은 못 깨달은 것이 아니라
스스로가 부처인 自己를 부처라고 認定하지 않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이미 다 부처예요.
覺性體인 부처 그 自體인데 自己가 부처인 事實을 스스로 認定 안할 뿐이에요.
스스로가 부처임을 認定하지 아는 바탕에는 煩惱를 本質로 삼고 살아온 習性 때문이기도 하지만,
내가 어떻게 감히 부처이고 보살인가, 나는 그저 業報가 두터운 衆生일 뿐이다 하면서 認定 안 할 뿐...
어찌 생각해보면 석가모니부처님도 煩惱가 많다고 볼 수 있습니다. 煩惱가 많기로는 부처님 같이
煩惱 妄想이 많은 분이 없고 欲心 많기로도 부처님 같이 욕심 많은 분이 없습니다.
일체 중생을 다 제도하겠다, 이 얼마나 欲心이 많으십니까. 그러니 여러분이 煩惱 있고 없고, 欲心
적고 많고의 문제보다 그것을 극복하여 깨달으신 부처님처럼, 여러분이 스스로 煩惱를 극복할 수
있는 自己 自身이 부처라고 믿지 않는 限 永遠히 成佛할 수가 없습니다.
남에게 부드러운 말 한마디 하고 내가 아끼는 것이라도 보시하는 마음이 모두 부처이고 보살의 마음
인데 말입니다. 내 가족의 화목을 위해서 봉사하고 보시하는 것이 모두 부처님 마음이고 그 자리가
열반과 해탈로 가는 자리입니다. 이렇게 작은 행동을 한 가지 두 가지 실천하다보면 불교가 아주
쉬워집니다. 너도 부처고 나도 부처라고 認定하고 나면 부처가 부처를 죽일 수 있겠습니까?
해칠 수 있습니까? 침탈하는 행위를 할 수 있습니까?
그러니 여러분, ‘나는 부처다’라는 말을 하루에 일곱 번 씩만 하세요.
그럼 나쁜 일을 하다가도 내가 부처인데 이럴 수 있나, 이런 일을 할 수 있나 하며 그만하게 됩니다.
이 불교가 너무 어렵고, 또 너무 쉬워서 걱정인데 그러다 보니 正法과 멀어져서 運命論者가 되거나
祈福 佛敎로 치우치곤 합니다. 그러면 幸福과 智慧와 壽命과 福德을 바깥으로 구하는 사람이 됩니다.
복덕과 지혜와 수명을 구하고 生과 死의 輪廻를 끊어버릴 수 있는 어마어마한 힘과 智慧 光明이
내 부처 내 속에 있는데 말입니다.
儒佛仙 모두 ‘心性論’으로 通해 불교 뿐 아니라 동양 종교의 가르침은 딱 두 마디로 通합니다.
유교나 도교나 불교 모두가 共通的으로 하는 말이 심성(心性)입니다.
유불선 삼교가 모두 心性論에서 벗어나지 않습니다.
유교는 ‘尊心養性’ 마음을 받들어서 성품을 길러라,
도교는 ‘修心鍊性’ 마음을 닦아서 성품을 단련시켜라,
불교는 ‘明心見性’ 마음을 밝혀서 성품을 보아라입니다.
卽, 心性의 놀음(眞空妙有의 놀이)을 알라는 것입니다.
이 世上 萬事 人間事 다 億千萬事가 全部 心性의 問題예요.
本來 착한 心性대로만 살면 그게 부처입니다.
왜 그러냐. 석가모니부처님 말씀으로는 眞如自性, 마음의 本質이 淸淨한 眞如라 하셨습니다.
그러나 그 眞如自性 자리라는 것이 固定不變하는 獨立的인 實體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眞如自性은 텅~비어 모양 始終 方位 성품 흔적 느낌이 없고, 붙잡을 수 없고, 얻을 수 없고,
구해서 구할 수 없는 것이지만 있기는 있는 것입니다. 바람이 안 잡힌다고 해서 없는 것 아니잖아요.
眞如自性이라는 것이 그와 같은 것인데 그 자리에 있는 것이 體(본바탕)와 用(작용)인 心과 性 입니다.
성(性)의 本質, 본바탕은 텃밭과 같아서 그 곳에 씨앗을 뿌리면 무엇이든 자라날 수 있습니다.
심(心 마음)은 性이라는 본바탕 위에 떠서 아지랑이처럼 이리저리 變化하는 것입니다.
잠시 동안 일어나고 사라지는 마음(心)이 數萬 數千가지 입니다. 이것을 生滅心이라 합니다.
하지만 그 無數한 마음 중에도 또 本質을 이루는 마음이 있습니다. 本性이 그런 마음입니다.
여러분들은 언제나 그 本性 자리만 알면 됩니다. 교리 하나도 몰라도 착한 本性대로만 살면
그 本性 속에 佛法으로 말하면 眞如自性 속에 엄청난 福德과 功德과 倫理道德이 다 갖춰져 있습니다.
本性, 佛性, 眞如自性 그 자리는 온갖 가지 功德과 福德이고 智慧이며 영원한 光明입니다.
그럼 다른 종교는 마음을 닦아라, 받들어라 했는데 우리 불교는 ‘마음을 밝혀서 性稟을 보라’고 합니다.
이리 왔다 저리 갔다, 나타났다 사라졌다 하는 이런 마음(心)을 밝혀서 性稟을 보라고 합니다.
性稟을 보는 것, 永遠히 不生不滅한 生命의 本質, 本性, 佛性, 그 자리를 보는 것이 見性成佛입니다.
그 자리를 잘 보면 마음이 아무리 아지랑이처럼 搖動치고 世上이 요지경 같이 變하더라도 흔들리지
않습니다. 明心見性을 하면 善과 惡을 區分하고 무엇이 眞理인지 알고 무엇이 永遠한 것이고
永遠하지 않은 것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이 힘든 世上, 汚濁惡世를 어떻게 살아야 올바르게 살고, 불자답게 사는가.
달마대사가 네 가지 방법을 말씀하셨습니다.
첫째는 보원행(報寃行)이라. 남에게서 억울한 소리를 듣거나 본의 아니게 원망을 듣게 됐을 때라도
원망으로 갚지 마라는 말입니다. 내게 오는 모든 일은 세상에서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일이므로
그동안 닦은 수행으로 헤쳐 나가야 합니다. 그러려면 원망하는 마음을 쌓지 말아야 합니다.
지금 내가 착하게 살고 보시하고 수행하며 살더라도 어려움을 겪는 것은 과거 숙세 인연에 쌓은
業報 때문입니다. 그러나 알고 보면 業報나 스트레스는 本來 空한 것입니다.
둘째는 수연행(隨緣行)이라. 따를 수(隨) 인연 연(緣), 모든 것을 因緣을 따라 하라는 말입니다.
오늘 여러분이 받은 業의 果報는 지난날 여러분이 지은 因과 緣에 따른 果報입니다.
緣과 내 業이 어울려서 結果(果報)를 만들어내니 그 苦樂을 순수하게 받으라는 뜻입니다.
緣起의 法則을 안 내가 참으라는 것입니다. 그것이 智혜입니다.
緣이 사라지면 다시 無(空)로 돌아가고 또 거기서 緣이 因이 되고 因이 또 緣을 부르고 해서
因緣 果報가 되풀이되는 理致(輪廻)를 알아 좋고 나쁨을 모두 떠날 수 있어야 합니다.
깨달은 사람한테는 그것도 空이기에 필요 없긴 하지만. 매일 나를 바꾸는게 因果應報입니다.
그 다음이 무소구행(無所求行), 댓가를 구하는 바가 없이 선행을 하면서 세상을 살라 입니다.
좋은 일을 하더라도 대가를 받을 것이라 기대 하지 말고 행하라는 말입니다. 대가를 바라는 마음,
貪欲과 執着은 계속 業을 쌓기 때문에 아무리 공덕을 베풀어도 소용이 없습니다.
공덕 복덕을 베풀더라도 永遠히 不生不滅한 根本, 本性 그 자리에 앉아서 이 세상 모든 것이 空함을
알고 베풀어야지, 空한 그 理致를 모르고 代價를 바라서는 안 됩니다.
宇宙萬物은 空하여 恒常함이 없으니(無常) 탐욕과 執着함이 없어야 三毒에서 벗어납니다.
그 다음은 칭법행(稱法行)이라. 그럼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善-惡, 是-非, 美-醜, 生-死, 공덕 복덕을 다 떠나서 내 本來의 마음, 性稟의 根本자리, 本性, 佛性,
不生不滅, 不增不減, 不垢不淨, 永遠한 眞如自性의 자리에 앉아서 살라는 말씀입니다. 마음 속에서
億千萬事가 떠오르고 일어날 때라도 그 자리를 지키고 살아야 합니다.
그 자리에 三寶도 들어있고 智慧 光明도 들어있고 宇宙法界도 모두모두 다 들어있습니다.
生死 功德 是非 分別등 二元性의 世界를 떠난 그 자리를 알면 무엇이 두렵고 어렵겠습니까.
하지만 眞如自性 자리, 本性 자리 그 자리가 實在한다고 錯覺하면 결코 안 됩니다.
그 자리 그것을 잡으려하고 보려고 하면 또 없습니다. 하지만 分明하게 있습니다.
그 理致를 깨달아야 합니다. 성정(性情)의 이치를 보고 觀함을 삶의 法으로 삼아야 합니다.
참된 性稟의 이치를 보고 觀察하는 수행의 자세로 사세요. 그 本性(眞如自性) 자리에서 온갖 가지
생각 마음이 일어나고 사라짐을 觀察하여 물리치고 法에 充滿해 있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모든 相은, 모든 善惡 是非는 다 無常한 것입니다. 그것이 잘 안돼서 業이 쌓이면 다시 참회하고
수행하고 그래서 業을 消滅하고 이렇게 일생동안 살다보면 큰 惡業을 안 짓고 나중엔 작은 惡業도
짓지 않고 그렇게 살다보면 죽을 때쯤 돼서는 眞如自性자리, 本性자리로 돌아가게 될 것입니다.
業因緣 果報(因果應報)란 내가 어디 가서 무엇이 되어 태어날 것인가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날마다 무엇이 되어가고 있는가를 제대로 아는 것입니다. 어느 날 갑자기 ‘탁’ 하고
내가 무엇이 되는 結果(果報)를 받는 것이 因果應報가 아닙니다. 여러분 모두 因果應報의 法則을
잘 알아서 하루하루 열심히 즐겁게 수행하며 사시길 바랍니다.
- 지선스님 -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수보살 (0) | 2015.07.02 |
---|---|
본성을 보는 방법 (0) | 2015.07.01 |
一乘思想이란? (0) | 2015.06.30 |
'나'는 없습니다(무아) (0) | 2015.06.30 |
진정한 친구 (0) | 2015.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