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에 끄달리지 말라
|
불교를 처음 공부하는 사람들 중에, ‘境界’가 무엇인지를 묻는 이들이 더러 있다. 스님들의 법문을
듣다 보면 늘 ‘境界에 끄달리지 말라’는 말을 듣는데, 그 境界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궁금해한다.
境界란 바로 六根 즉, 여섯 개의 감감각기관의 감각대상인 六境을 의미하는 것이다. 육근 즉, 눈귀
코혀몸뜻이라는 우리의 감각기능들이 各各의 對相인 色聲香味觸法을 상대로 감각활동을 하는데,
각각의 감각기능들은 그 對相을 感知하면서 그 對相 즉, 境界에 집착해서 끄달리게 되는 것이다.
눈으로 무언가를 볼 때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고, 보기 싫은 것, 보고 싶은 것으로 나누어 놓고,
보고 싶은 것이나 보기 좋은 것은 더 많이 보려고 애쓰고, 보기 싫은 것은 고개를 돌리거나 보지
않으려고 도망치기도 하는 것이다. 눈에 보이는 대상 즉, 경계 때문에 마음이 외부의 경계 즉,
대상에 집착해서 그 대상에 끄달려 가는 것이다.
귀에 들리는 소리도 마찬가지다. 칭찬하는 소리를 듣고 싶은데 비난하는 소리를 듣게 되면 마음이
괴롭다. 외부의 소리라는 對相 즉, 境界에 마음이 집착해서 마음이 그 경계 대상에 끄달려 휘둘리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인간은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코로 냄새 맡고, 혀로 맛 보고, 몸으로 느끼는
감촉, 마음으로 생각하는 대상 등, 모든 외부의 대상에 마음이 집착해서 끄달리고, 휘둘리게 된다.
事實 人間에게 感知되는 외부의 모든 對相, 즉 여섯가지 境界(六境)은 그 自體로는 中立的이다.
좋은 것도 아니고 나쁜 것도 아니다. 다만 내 欲望, 貪欲, 欲求, 意圖, 意志 등이 中立的인 外部
對相을 좋은 것, 나쁜 것이라고 分別할 뿐인 것이다. 바람이 심하게 불거나, 비가 올 때 우리의
감각기능은 그 바람이나 비의 감촉을 느끼며 싫어하거나 찝찝하게 느끼기도 하지만, 또 어떤
사람은 바람 부는 날씨를 좋아하거나, 비 맞으며 걷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게 마련이다.
청국장의 맛과 향기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지만, 처음 경험해 본 외국인들이라면 도저히 맡기 힘든
냄새거나 맛일 수도 있는 것이다. 이처럼 六根에 感知되는 外部 모든 對相 境界들은 그것 自體로는
어떤 分別도 없는 中立이지만, 人間이 각자의 欲望과 分別心으로 인해 외부 대상이 좋으니 싫으니
분리 분별해서 그 분별 분리된 마음에 마음이 집착해서 그 집착하는 마음에 휘둘리는 것이다.
그러니 인간이 외부의 어떤 대상 경계로 인해 괴롭다고 할 때 사실은 외부 경계 때문에 괴로운 것이
아니라 내 마음이 여섯 경계를 실체화하여 분별심을 일으킴으로써 생겨난 괴로움일 뿐이다. 즉 모든
괴로움은 내 마음이 스스로 만든 것이다. 그러니 외부 대상 경계에 휘둘리는 마음 또한 내 마음이 스
스로 만든 마음이니, 결국 외부 대상 경계에 끄달리지 않는 마음 또한 내 마음에 달린 일이다.
외부 여섯 가지 대상 경계는 그저 지금 여기 있는 그대로의 如如한 中立的 對相 境界일 뿐임을 分明하게
記憶하라. 그 中立的인 대상 경계에 내 마음이 各各의 分別心을 일으키는 것일 뿐이다. 바로 이렇듯 六根
이 六境을 相對하면서 일으키는 分別心을 六識(외부 대상 경계를 분별하는 여섯 가지 의식 마음)이라 한
다. 識, 즉 알음알이, 分別心, 分別意識이 생겨나는 것이다. 바로 이 分別心, 즉 六識, 여섯가지 의식이 삶
의 모든 問題를 만들어낸 장본인이었던 것이다.
그러니 外部의 그 어떤 逆境界가 있다 하더라도, 그것은 事實 외부에서 온 역경계가 아니라, 내 안의 마음
즉 六識이라는 分別心이 만들어낸 虛像의 對相 境界인 것이다. 이 세상 모든 것은 이처럼 分別하는 마음이
그려 낸 虛像 즉, 꿈 헛깨비 신기루 물거품 그림자 같은 것이다. 이를 唯識論에서는 萬法唯識이라고 한다.
그래서 불교는 ‘경계에 끄달리지 말라’고 늘 말한다. 마음 外部에 實體的인 좋고 싫은 대상 境界가 있다고
속지 말라는 것이다. 이 세상 모든 것이 오직 마음의 作用일 뿐인 것임을 깨달으면 인간은 萬物의 主人이
될 수 있다.
[BBS 불교방송 라디오 평일 오전 7:50 '법상스님의 목탁소리' 중에서]
'법상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중도의 의미 (0) | 2015.10.28 |
---|---|
중도적 삶에는 지족과 수용이 있다 (0) | 2015.10.27 |
망상 번뇌는 어떻게 생겨날까? (0) | 2015.10.19 |
[금강경 녹취] 제6분 정신희유분 (第 六分 正信希有分)|영상법문 녹취 (0) | 2015.10.16 |
배울 것 없는 한가한 도인 (0) | 2015.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