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댈 필요가 없는 존재
우리가 편안하게 머물러 전적으로 기댈 수 있는 것이 있을까? 사람에, 사랑에, 돈에, 명예에 기댈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그것들은 영원한 것들이 아니다. 언젠가는 반드시 사라져버릴 것
들이다. 소멸될 것들에 기대어 집착하고 머물고자 하는 마음은 괴로움을 미리 준비해 두는 것과 같다.
그럼에도 우리는 영원히 머물러 영원히 안주할 대상을 찾아 나선다. 내 집, 내 배우자, 내 돈, 내 땅을
찾는다. 사실 집과 땅이야 내 것이 아님은 당연하고, 남편이나 아내도 서류 한 장이면 남남이 되지 않
는가. 전적으로 영원한 ‘내 것’은 이 세상 어디에도 없다. 내 곁에서 영원히 나를 지켜줄 수 있는 것은
이 세상 어디에도 없다.
가족이라 할지라도 너무 과도하게 의지할 필요는 없다. 우리 모두는 저 永遠에서 잠시 이곳으로 여행을
떠나와서 이 한 생의 동반자로 잠시 걷기를 약속했을 뿐, 根源에서는 모두 혼자일 수밖에 없다. 本然의
자리에서 우리는 이 우주를 여행하는 나그네일 뿐이다. 나그네는 여행길에서 만난 벗들과 잠시 어울려
외로움을 달래고 잠시 같은 길을 걷기도 하지만, 영원히 함께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가족을 영원한 ‘내 가족’이라고 여겨, 전적으로 의지하거나 기대려고 할 필요가 없는 이유다. 부모님에게
20여 년 의지하면서 살겠지만, 어느 순간 부모로부터 독립을 해야만 한다. 부모의 길과는 전혀 다른 나는
나만이 가야할 독자적인 내 삶의 길이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부모도 자식이 어릴 때처럼 부모 말을
잘 듣고 따라줄거라고 여기며 부모의 길을 자식에게 강요해서도 안 된다. 자녀는 ‘내 자식’인 것이 아니라,
삶이라는 연극 속에서 잠시 ‘자식’이라는 역할을 함께 하는 이번 생의 길벗일 뿐이다. 자식들은 그들만의
삶의 길이 있고 그 길에는 아무리 부모라 할지라도 함부로 끼어들어서는 안 된다. 자녀를 내 뜻대로 맞게
키우려고 과도하게 구속시킬 것도 없다. 그들은 독자적인 자신의 삶이 있고, 자기만의 여행 스케줄이 있다.
사람들은 누구나 그 누구로부터도 간섭받지 않고 자기 자신의 길을 걸어가야만 하는 저 너머에서 온 永遠
의 存在이기 때문이다.
누구의 자식, 누구의 아들, 누구의 아내, 누구의 남편, 회사의 사장, 사원, 이런 것들은 아주 잠시 주어진
삶이라는 연극 속에서의 역할일 뿐, 영원한 것이 아니다. 그런 것들에게 잠시 동안은 의지하고 살 수는
있을지 몰라도, 영원히 기대어 의지할 수 있는 대상은 이 세상 어디에도 없다. 어딘가에, 누군가에게 의지
하여 영원히 安心하고 安住하고 살 수 있는 대상을 찾아 나서는 행위 자체가 절대로 불가능한 일을 찾아
나서는 것이다.
안심하고 머물러 안주할 곳을 찾기 보다는, 이 우주를 여행하는 철저한 나그네가 되라. 삶에서 펼쳐지는
그 모든 力動的인 變化 可能性의 파도를 서핑하듯 타고 다니라. 變化하는 삶이란 얼마나 아름다운가. 머
물러 있을 때라도, 그것이 ‘잠시’임을 잊지 말라. 永遠한 내 집은 없다. 오히려 머물지 않으면 宇宙全切가
내 집이다. 끊임없이 파동하는 에너지정보체 즉, 의식체인 당신은 特定한 한 명의 個別性의 存在가 아니
라 당신이 곧 宇宙이고, 그 本然의 자리에서는 너와 나의 區分이 무의미해 지기 때문이다.
安住하는 순간, 머물러 집착하는 순간, 우리는 개별성의 小我的 存在로 制限되어 거기에 갇히고 만다. 의지
하는 순간, 의지할 대상이 있어야만 安心할 수 있는 비좁은 존재로 限定되는 것이다. 사실 根源에서 우리는
어디에도 의지하지 않고, 그 어디에도 기대지 않으면서도 홀로 우뚝 선 존재로 설 수 있는 宇宙的인 存在임
을 명심하라. 내가 기댈 대상을 필요로 하지 않을 때, 나는 기댈 필요가 없는 존재가 되는 것이다. 이 세상
모든 因緣들과 자연스럽게 어울려 살되, 과도하게 머물러 집착하고 의존하지 않을 때 오고 감에 걸림이 없는
자유롭고 자연스러운 本然의 存在가 된다.
-법상스님-
'법상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0분 장엄정토분> 淨土를 莊嚴하다 (0) | 2016.04.28 |
---|---|
화두를 통한 견성의 구조 (0) | 2016.04.27 |
오직 변화라는 흐름만이 있을 뿐. (0) | 2016.04.24 |
이뭣고? 바로 이것 일 뿐! (0) | 2016.04.22 |
깨달음이라는 相도 없다 (0) | 2016.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