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道) <마음>이란? ① - 지유 스님[[知有哲柱]]
- 무엇이 자기 <마음>인가?
불법(佛法)은 본래 ‘자기(自己)’의 모습을 말함이요. 본래 자기의 모습을 보도록 가르침이 불교이다.
사람들이 왜 본래 자기의 모습을 보아야 하는가? 본래 자기의 모습을 ‘봄’으로서 일상의 모든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기 때문이다. 본래 자기의 모습이란, 곧 도(道) <마음>을 말한다.
어느 누구고 마음이 없는 사람 있어요? ‘마음’이 어떠하기에 마음을 ‘봄’으로서 모든 문제가 근본적
으로 해결되는가? ‘마음’은 모든 것, 우주삼라만상의 근원이요, 우주삼라만상, 일체 모든 것은 마음으
로부터 시작되고 마음으로 돌아간다 (일체유심조 一切唯心造 ).
과거, 현재, 미래라는 삼세(三世)의 무한한 시간(무량겁 無量劫)과 동서남북 사유상하(시방 十方)의
무한한 공간과, 유무, 대소, 장단, 피차(彼此)의 무한대 분별상 차별상과 희비고락 등 무한한 감정의
일어남과 사라짐, 이 모든 것이 ‘한마음’ 에서 일어나고 사라지는 허깨비이니 ‘마음’은 이 모든 것을
초월하여 일체 모든 것의 근본이 된다. <마음 ≒ 造物主> 마음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마음’이란
도대체 어떤 것인가? 일상생활에서 눈을 통해서 대상을 보고, 귀를 통해서 소리를 듣고, 코를 통해서
냄새를 맡고, 혀를 통해서 맛을 보고, 피부를 통해서 촉감을 느끼고, 좋고 나쁜 것을 분별해 알며,
온갖 생각(識)을 할 줄 아는 놈(者), 다시 말하자면 의식작용의 '본체'를 이름 하여 ‘마음’이라 한 것이다.
의식작용의 본체(本體)인 ‘마음’은 모양(形像)이 없고 물체가 아니니, 눈으로 볼 수 없고 손으로 잡을
수도 없다. 마음은 의식작용<생각> 일체가 끊어진 곳이니 도무 지 생각으로는 미칠 수가 없다.
모양도 없고 물체도 아니고 생각도 아닌 곳에 <차면 찬줄 알고 뜨거우면 뜨거운 줄 아는> 영지(靈知)
가 뚜렷(소소영영 昭昭靈靈)하니, 이 영지(靈知)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영원한 본래 자기’의 참 모
습이다. 소리가 나면 소리를 아는 게 있잖아요.
수도(修道) <공부>란? 수도는 도를 닦는다는 말이니, 이 ‘마음’을 다른 말로 도(道)라고도 한다.
그렇다면 과연 무엇이 도(道)이며, 깨달음(覺)은 무엇을 깨친다는 것인가? 참선 염불 다라니 관법 화
두에도 간화선 묵조선 또 다른 종교들도 있다. 결국 무엇을 얻기 위해 마음공부를 하는가? 무엇이
'마음' <본래 자기의 모습>인가? 마음을 닦으려면 우선 '마음'이란 어떤 것인지 마음의 정체
를 분명히 알아야 할 것이다.
시제법공상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 시고 공중무색
是諸法空相 不生不滅 不垢不淨 不增不減 是故 空中無色
마음은 영원히 불생불멸 부증불감 생로병사와 관계가 없다. 중생은 자기 생각에 사로잡혀<차폐 遮蔽
마음이 가려져> 있기 때문에 근원을 보지 못하고 만다. 어떤 공부를 하던지 일단 마음<자기>을 확인
하고 나서 공부를 해야 할 것이다. 그릇을 닦는데 닦을 그릇이 어떤 것인지도 모르고 아무 돌멩이나
잡고 닦으면 그릇을 닦았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마음의 정체를 바로 알지 못하고 자기 나름대로 헤아려 생각<환상>을 마음인 줄 알고 닦고 있으면,
마음을 닦는 것이 아니라 도리어 마음을 어둡게 하는 결과가 될 것이다. 무엇이 '자기' (마음)인가?
좌선을 하고 있다면 벽을 보고 있는 놈, 소리가 나면 듣고 아는 놈, 냄새를 맡아 아는 놈, 장맛이 짠
줄 아는 놈이 찾고자 하는 본래 자기의 모습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마음을 알 수 있는가 ? 알고자
하는 자체, 지금 여기 이 순간 이 자리의 나가 바로 마음이다.
알고자 하는 ‘생각’이 일어날 때, 그 생각을 쫓아가면 끝이 없다. 아무리 알아보려 애를 쓰고, 몸부림
치고, 생각을 많이 해보아도 점점 더 어지럽고 복잡하고 수고로울 뿐이다. <이것은 소를 타고 소를
찾는 격이다(기우멱우 騎牛覓牛). 그러니 생각을 쫓지 말고 생각하는 자체를 돌이켜보아야 한다.
<회광반조 廻光返照>
생각하는 자체를 돌이켜 보면 그 생각의 실체를 찾을 수가 없다. 생각의 실체를 찾을 수 없는 그 곳에
생각이 아닌 신령스럽게 아는 놈 영지(靈知)가, 또렷(소소영영 昭昭靈靈)하지 않은가! 신령스럽게 아
는 이 영지가 모든 의식작용의 본체<본래주인>이며 그것을 이름지어 ‘마음’이라 부르는 것이다. 생각
을 돌이켜서 생각 아닌 영지(靈知)를 보니, 이 영지는 이제서야 비로소 얻은 것이 아니라, 지금 여기
있는 이대로 본래 부처였던 것이다. <본래성불>
다만 마음속의<깨달아야 되겠다> 생각에 사로잡혀그 생각에 집착해 있는 바람에, 생각 아닌 밝고 밝
은 소소영한 영지, 본래마음을 그동안 미처 보지 못했던 것뿐이다. 마음속의 생각에 집착하고 있는
것을 환상, 허깨비(幻相)이라 하겠다. <생각의 실체가 있다면 가져와 보라. 생각은 허깨비 그림자이
지 실체가 없다>. 환상에 가로막혀 생각<환>이 아닌 마음을 못 본 것이니, 마음속의 환상을 탁 놓아
버리면, 본래마음, 진심은 저절로 드러나는 것이다.
환상은 생겼다 사라지는 것이라 허망하나, 진심은 영원불멸이며 진실(眞實)이다. 이 진심(眞心)이 바
로 본래 자기의 참된 모습이요, 부처(Buddha 佛陀 깨달은 자)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마음속에 집착
하고 있던 생각(幻)을 놓아 버리고 진심(眞心)을 보니, 이 ‘마음’은 단 한 번도 생겨난 일도 없고, 죽은
적도 없었다.<無始無終 不生不滅 >
났다, 죽었다 하는 것은 마음속의 ‘생각’이 생겨나고(생) 멸(滅)한 것뿐이다. 생각은 천만번 일어나고
멸하더라도, ‘마음’은 생각을 따라 생겨나거나 사라지는 일이 없으니 생사와 관계가 없는 것이다. 생
각을 돌이켜서 생각 아닌 마음을 보면 ‘마음’에는 일체 망념의 흔적을 찾아 볼 수가 없다. 일체상이
끊어졌으니 공적(空寂)이요, 공적한 가운데에 신령스럽게 아는 영지(靈知) <차면 찬줄 알고 더우면
더운 줄 아는 것>가 있으니, 이것을 “진공묘유(眞空妙有)”또는 “공적영지(空寂靈知)”라 한다.
공적영지(空寂靈知)의 마음은 텅~비어 지극히 고요하면서도 신령(神靈)스럽다. 이 공적영지는 어지
러운 곳이 아니니 공적(空寂)이라 하고, 감각 지각을 할 수 없는 목석과 다르기에 영지(靈知)라 한 것
이다. 맑고 고요하고 영지한 마음속에 한 생각 <파도>이 일어나 그 생각을 쫓고 집착하는 바람에, 본래
공적영지(空寂靈知)한 거울과 같은 마음을 잊어버리고, 생각은 다음 생각으로 계속 이어지고 많아지니
마음은 점점 산란해져, 어지러운 생각이 ‘영지(靈知)’를 가리니 점점 어두워진 것이다. 어지러우니 불
안하고, 어두우니 어리석은 것이다. 그 불안에서 벗어나겠다고 이 생각 저 생각으로 발버둥친<취사
분별 取捨分別>것이 더욱 마음<靈知>을 어지럽게 했으니, 점점 더 어두워져 공적영지(空寂靈知)했던
마음이 혼침과 산란으로 변한 것이다.
제가 하는 말 알아듣습니까?.. 제가 지금 어렵게 말하고 있습니까?..영어나 무슨 문자를 쓰지 않고
듣기 쉬운 우리말로 한다고 하는데 이해가 됩니까?. 혼침과 산란 속에 짓고 있는 생각이 생사가 되어
인과(因果)를 되풀이하니 과거, 현재, 미래라는 시간이 되고, 나와 남의 차별로 동서남북, 상하<十方
世界>의 공간이 되어, 무수한 생사에 윤회하게 된 것이다. 무한한 생사에 윤회하고 있는 중에, 좋은
일도 있고 나쁜 일도 있고, 좋을 때는 복이라 하여 즐거워하며, 나쁠 때는 재앙이라 하여 괴로워하는
희노애락 길흉화복의 온갖 일들이 있었다.
이 좋고 궂은 일들이 어디로부터 왔는가 하면, 이미 지나간 과거 숙세(宿世)에 자기가 지은 행업(業)
이 원인이 되어 지금의 자기에게 나타난 것이며, 또 현재 자기가 짓는 행이 또미래의 과(果)로 나타나
는 것이니, 이는 누구로부터 받거나 다른 곳에서 온 것이 아니다. 이를 인과응보(因果應報)라고 한다
. 밭에 콩을 심으면 콩이 나고, 팥을 심으면 팥이 나듯이 자기가 지은 것을 자기가 받는 것이니, 좋지
않은 환경을 만났다 할지라도 원망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자포자기 해서도 안 될 것이다.
지금의 자기(自己)는 과거에 지은 업의 결과(果)이며, 동시에 미래의 원인(因)이니, ‘지금 여기’(當下)
가 가장 소중한 시간과 공간이라 하겠다. <역천겁이 불고 선만세이장금 歷千劫而不古 亘萬歲而長今>
아무리 역경에 놓여있다 할지라도 지금에 노력하여 선(善)에 힘쓴다면 미래의 선은 약속된 것이며,
또한 현재 최선의 환경이 과거 선인에 의해얻었다 할 지라도 인연(因緣)이 다하면 없어지고 마니 돌
이켜 보면 무상한 것이다.
금강경 마지막 말씀<제 32분 응화비진분 應化非眞分> 에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보시를 했더라도
보시했다는 생각에 사로잡히지 말라>. 수보리야! 만약 어떤 사람이 한없는 삼천대천세게에 칠보로
가득히 보시를 했다고해도 어떤 선남자 선여인이 보살심을 내어 이 경이나 사구게를 받아 지니고 읽
고 외어 다른 사람을 위해 풀이하여 준다면 그 복덕이 훨씬 뛰어난 것이다. 어떤 생각에도 사로잡히
지 말고, 여여한 그대로 동요치 말지니라 <不取於相 如如不動>. 어째서 그러한가? 일체현상계의 유
위법은, 꿈이요 환이요 거품이요 그림자와 같으며 아침이슬과 같고 번갯불과 같으니, 응당 이렇게 일
체현상계의 유위법을 관찰해야 하느니라 <一切有爲法 如夢幻泡影 如露亦如電 應作如是觀>.
이 세상 모든 것을 이렇게 관찰해 본다면 좋은 환경에 혜택받았다고 들뜰 것도 없고, 최악의 밑바닥
에 떨어졌다고 해서 슬프고, 괴로워할 것도 없는 것이다. 얻고 잃는 것은 인연(因緣)에 맡기고, 마음
에 동요함이 없으면 그 마음이 바로 도(道)에 계합(契合)한다고 한다.
마음속의 생각에 집착하여 쫓고, 쫓은 것이 생사가 되어 선도 되고, 악도 되어 그 과보를 받아 인과가
계속 되풀이되니, 한없이 생사에 윤회한 것이다. 생사를 윤회하다 보니 사량분별의 허망함과 인생의
무상함을 느끼게 되어 영원불멸을 구해 보겠다고 몸부림쳐보나, 수고만 할 뿐, 생사에 아무런 효과가
없는 것이다. 한없이 애를 쓰고 노력하는데도 왜 그런가? 그것은 생사의 원인을 몰랐기 때문이다.
과거의 석가모니불(Gautama Siddhrtha)도 이 생사문제 때문에 출가하여,생사의 탈출구를 사방으로 찾
으시다가 그것이 헛된 일이며 생사의 원인은 마음에 있다는 것을 알고 ‘마음’을 깨달아 해결한 것이
다. 여기에서 ‘마음’ 이란 무엇입니까? 이름이 마음이지 그것은 ‘나’ 자신 아닙니까? 여기에 모인 사람
중 지금 ‘마음’없는 사람, 《나》없는 사람이 있습니까? 그러니 바깥으로 찾지 말아라.
마음을 깨달았다는 것은, 많은 생각 속에 생각 아닌 마음을 본 것을 말한다. 생각<환상>은 시시각각
으로 변하고 끊임없이 기멸을 지속하고 있으나, ‘마음’은 한 번도 생겨난 일도, 없어진 일도, 달라진
적이 없다.
그렇다면 생과 사란 무엇인가? 생과 사는 마음속의 생각일 뿐이다. 생겨난 줄로 알고, 죽은 줄로 알
고, 온 줄로 알고, 간 줄로 알고 있는 생각, 환상(幻想)이다. '생각'은 환상(幻想)이니 생사거래(生死
去來)는 실체없는 허깨비 그림자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마음 하나를 혼미하여 끝이 없는 분별 망상 번뇌를 일으킨 사람을 중생이라 하고, 마음 하나를 깨달
아 끝이 없는 묘용을 일으킨 사람을 제불(諸佛)이라 한다. 마음 하나 혼미하면 분별 망상 번뇌가 되고
, 마음 하나 깨달으면 묘용(妙用)이 된다는 말이다. 마음 하나 혼미하면 생사윤회(生死輪廻)요, 마음
하나깨달으면 해탈 열반이라 한다. 마음을 혼미했다는 것은, 마음속 생각(相)에 가려서 마음을 보지
못함을 말하고, 마음을 깨달았다는 것은, 마음속의 생각을 놓아 상이 없는 본 마음을 본 것을 말한다.
‘마음’을 깨치지 못하고 마음을 보지 못한 원인은 마음속에 생각[相]이 마음을 가려서이니,생각을 털
어버리면 바로 생각 아닌 마음이 된다. <응무소주이생기심 應無所住而生其心>. 생각 아닌 곳에 능히
감각할 줄 아는 영지(靈知)가 뚜렷(소소영영 昭昭靈靈)하다. <차고 더운 것을 저절로 아는 것이지, 생
각으로 분별해서 아는 것이 아닙니다>. 이 영지(靈知)가 <생각하고 관계없이 알아요> 불생불멸(不生
不滅)의 본래 자기의 모습이요 생사와 상관없는 영원의 안식처인 것이다.
간절히 찾던 영원불멸의 마음은 사람마다 갖추어 있고, 또 미물곤충에 이르기까지 일체중생이 다 갖
추어 있다고 한다. ‘마음’이 대상을 접하여 과거 현재 미래 온갖 생각을 짓지만 그 생각이 ‘나’는 아닙
니다. 생각은 어디까지나 마음에서 일어난 환상, 허깨비, 꿈, 물거품, 그림자일뿐입니다. 생각은 실체
없이 지나가는 그림자에 불과할 뿐인 것인데 생강을 ‘자기’로 잘못 알지 말아야 합니다. 그런데 중생
은 마음속에 분별 번뇌 망상 집착이라는 구름에 가려서, 제일 가까운 곳에 있는 이 좋은 보배를 보지
못하고 삼독심三毒心(탐내는 마음, 화내는 마음, 어리석게 분별하는 마음)에 홀려 허깨비와 같은 생
사에 윤회하며 신음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을 불쌍히 여기신 석가모니부처님이 중생의 마음을 가리고 있는 분별 번뇌 망상이라는 삼독심의
구름을 걷어주기 위해 방편의 말로 법(法 Darma)을 설하여, 본래 이미 완전하게 갖추어 있는 마음에
들어가게 한 것이 중생제도이다. 중생을 제도를 한다고 해서 석가모니부처님이 중생을 대신하여 제
도하는 것은 아니다. 만일 석가모니부처님이 중생을 제도한다고 하면 과거에 부처님이 한량없었다는
데 많은 부처님이 왜 우리를 제도하지 않았겠는가?
부처님의 말씀<대기설법 對機說法>을 듣고 사람들 마음속의 지혜를 열어 분별 망상 번뇌를을 걷어
없애, 자기가 스스로 자기를 제도하는 것이다. 부처님은 병을 잘 아는 의사와 같아서 병에 따라 약을
처방해 주었는데도<응변여약 應病與藥> 환자가 처방해준 약을 먹지 않아서 병이 낫지 않는 것은 의
사의 허물이 아닌 것이다. 불법을 아는 것으로 만족해서는 안 된다 실천으로 이어져야 한다.
【 2012. 3.18 ~ 8.19 문경 관음사 】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체가 오로지 꿈 (0) | 2018.09.30 |
---|---|
단번에 깨닫지 못하는 이유 (0) | 2018.09.28 |
내 그림자에게 길을 묻는다 (0) | 2018.09.25 |
과거 현재 미래는 환상일뿐이다 (0) | 2018.09.24 |
하기자성본자청정 (0) | 2018.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