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념이 만드는 세상은 거짓 세상이다.
마음이 세상을 만들어 내기에 세상을 상대로 마음으로 시비분별 비교판단 해석 하지 말라
사람은 이 세상에 처음 태어나면서부터 수많은 경험을 하게 된다. 그리고 그 경험은 아무런 시비 분별 비교판단 해석도 없고, 다만 순수한 경험 그 자체로 받아들여진다. 이 세상에 처음 태어난 아이들에게 있어 모든 경험은 좋고 싫은 것도 아니고, 옳고 그른 것도 아니다. 아무런 시비분별 비교판단 해석없이 있는 세상 그대로 다만 느끼기만 할 뿐이다.
그러나 점점 나이가 들면서 그런 천진불(天眞佛)같은 순수한 어린 아이도 조금씩 경험에 시비와 분별 비교판단 해석을 붙이게 된다. 그런 시비 분별 비교판단 해석은 곧 신념(信念)을 만들어 낸다. 경험을 통해 신념을 만들어 가는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만들어진 신념은 또 다른 경험을 만들어 낸다. 그리고 그 경험은 또 다시 그 신념을 뒷받침해주고 증명해 주게 된다. 그럴수록 그 신념은 보다 확고해지고 그 신념에 점점 더 집착하게 된다. 그런 방법으로 사람들은 온갖 신념을 늘려나간다. 그같은 신념이 늘어갈수록 혹자는 그것을 지식이라고도 하고, 가치관이라고도 함으로써 그 신념이 올바른 것인 양 착각하게 만든다.
요즘 마음공부와 명상이 사람들의 키워드가 되면서부터 온갖 종류의 마음공부 명상 프로그램 들이 등장하고 있는데 어떤 곳에서는 바로 이 점을 악용하고 있기도 하다. 신념이 세상을 만들어낸다는 사실 바로 이 하나의 사실만을 가지고 그 신념을 바꾸도록 온갖 방법으로 사람들을 이끈다. 신념이 바뀌면 경험이 바뀐다는 사실, 믿는대로 이루어진다는 사실, 그 하나의 사실을 가지고 진리를 운운하면서 신념 바꾸는 프로그램을 수많은 돈을 내고 참여하도록 유인한다.
그러나 여기에는 크게 간과하고 있는 것이 있다. 바로 신념이 만들어내는 경험은 참(진실)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석가모니부처님께서도 마음이 세상을 만들어낸다고 말씀하셨지만, 마음에 의해 그렇게 만들어진 세상은 거짓이라고 하셨다. 마음이 만들어낸 세상은 꿈이고 환상이며 물거품이며 신기루이고, 번개이고 이슬이고 공(空)이라고 말씀하셨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을 마음 이전의 자리를 깨닫도록 이끄시지, 마음을 가지고 마음이 만들어낸 세상을 상대로 시비 분별 비교판단 해석을 하라고 하지는 않으셨다.
신념을 또다른 신념으로 바꾸거나 덮어버림으로써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지 않으시고, 신념 그 자체를 비워버릴 수 있도록 이끄셨다. 그 어떤 경험이든 그 경험에 신념을 부여하게 되면 그 때부터 그 경험은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진 거짓의 경험이 되고 만다. 신념을 가지면 모든 진리의 경험이 그로인해 삐뚫어지고 왜곡된다.
바람이 불고, 새가 하늘을 날고,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 것, 지금 여기 내 앞에 펼쳐지는 일체의 모든 경험은 분별하지 않고, 신념으로 투영하지 않으면 있는 그대로의 진리의 경험이 된다. 이미 우주 법계 삼라만상 그 자체는 있는 그대로 부처이고, 있는 그대로 온전한 부처님의 숨결이기 때문이다.
항상 온전한 진리는 우리 앞에 늘 그렇게 드러나고 있다. 다만 우리 눈앞에 늘 드러나고 있는 진리의 세상을 상대로 시비분별 비교판단 해석하지 않고, 그 어떤 신념이나 고집없이 지금 여기 있는 그대로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기만 하면 지금 이 순간 여기 이 자리에서 진리를 경험하는 것이다. 그런데 그러한 진리를 경험하지 못하는 이유는 분별하고 나누며 자신 안에 신념이라는 틀을 만들기 때문이다. 시비분별 비교판단 해석하지 말고 신념을 덮씌우지 말고 다만 모든 시비분별 비교판단 해석을 멈추고(止) 바라보기만(觀) 하면 본래의 평화가 찾아온다. 신념이나 견해, 옳고 그른 분별 이전의 딱 끊어진 본래의 참됨과 마주할 수 있다.
<법보신문/2005-02-23/792호>, 법상스님
'법상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은 저절로 이루어진다. (0) | 2022.06.24 |
---|---|
세상이 바빠졌다고 해서 나까지 바빠질 필요는 없다. (0) | 2022.06.23 |
아무것도 할 것 없는 수행 (0) | 2022.06.22 |
행복과 가난함 (0) | 2022.06.20 |
깨달음. . . . (0) | 2022.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