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라이트,친일독재반민족,수구기득권

이승만 대통령 본처 박승선, 버림 받고 법사에 사기 · 폭력 당한 기구한 삶

장백산-1 2022. 8. 7. 14:40

이승만 대통령 본처 박승선, 버림 받고 법사에 사기 · 폭력 당한 기구한 삶

전정희 입력 2022. 08. 07. 06:02 수정 2022. 08. 07. 09:31 댓글 1171개

 
 
[전정희 편집위원의 러브& 히스토리컬 사이트] (5) 서울 창신동 지장암 일대 (上)

 

'이화장'과 300m 거리 창신동 살면서도 못만나..사랑과 진실, 사랑과 배반

 

서울 동대문(흥인지문)에서 북쪽 낙산 방향을 바라보면 성벽 안팎으로 산책길이 잘 조성되어 있다. 성안 쪽 길은 연인들의 인기 데이트 코스이기도 하다.

동대문 바로 옆에 있었던 옛 동대문이대병원과 동대문감리교회 자리는 흥인지문공원으로 조성되어 그곳에 서면 동대문, DDP, 남산타워가 보이는 전망을 자랑한다.

그 동대문 성곽 안쪽 길을 따라 1km쯤 걸으면 이승만(1875~1965) 전 대통령의 사저 ‘이화장’에 닿는다. 성곽 암벽 아래다. 이승만은 이 이화장에 1947년 10월~1948년 8월까지 거했다. 그리고 초대 대통령이 되어 경무대로 이사했다. 1960년 4·19혁명으로 하야한 후에 그해 5월 29일까지 다시 이 사저에서 두 달 가까이 살았다. 그리고 하와이로 망명했다

 

 

그 성곽 바깥쪽 길을 따라 800m쯤 오르면 ‘지장암’이라는 암자가 나온다. 1927년 지적도에 지장암과 지장암 일대 땅(창신동 625번지)이 이승만 소유의 밭과 대지로 기록되어 있어 지장암은 일제강점기 암자의 형태를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지장암 법사와 이승만 본처와의 관계가 부부의 파국 원인이라고 보는 견해가 설득력 있게 퍼졌다.

 

 

현재 이화장과 지장암은 불과 300m 거리다. 성벽 암문이 있어 넘어지면 코 닿을 정도로 가깝다.

 

이승만 전 대통령과 본처 박승선 사진. 가족 사진의 일부이다. 이승만 측은 해방과 함께 망명지에서 귀국 후 본처가 있다는 사실을 숨겼다.

 

바로 이 공간은 이승만과 그 본처 박승선(1876~1950년 추정)의 ‘사랑과 진실’ ‘사랑과 배반’ ‘사랑과 전쟁’의 현장이다. 전기(傳記)로 남은 이승만, 그리고 그에 의해 철저히 지워진 본처 박승선의 생애사(生涯史) 공간이라고 해야겠다. 흔히 ‘역사 없는 사람들이 살아온 이야기’를 생애사라 한다.

 

서울 종로구 창신동 지장암 일대. 이승만 전 대통령은 일제강점기 지금의 서울 종로구 창신동 지장암 일대 밭과 대지를 소유했다. 일제에 쫓긴 이승만은 망명을 하고, 부인 박승선이 이곳에서 살았다. 사진의 성벽 왼쪽 위가 이화장으로 향하는 암문이다. 2021 가을. 사진 전정희
지난 3일 밤 지장암 풍경. 이승만은 이 일대 2만m2(6000여 평)의 땅을 소유했고, 그의 본처 박승선은 종교심으로 가난한 이들에게 부부 소유 땅에 집을 짓도록 허용했다. 사진 전정희

 

‘이승만의 일가인 우제하의 증언에 의하면 (이승만-박승선) 부부간의 사이가 틀어진 것은 이승만이 미국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1910년 귀국했을 때 부인 박씨가 그동안 1200평짜리 앵두밭을 절에 시주한 것이 표면적인 동기라고 한다. 이승만은 독실한 기독교인이었기 때문에 절에 앵두밭을 시주한 것에 격노했다는 것이다.’(출전: 김용삼 지음 ‘대한민국 건국의 기획자들’)

 

일제강점기(1920~30년대) 제작된 지금의 창신동 일대 지도. ①은 이승만 소유 땅으로 이승만 망명 후 처 박승선이 관리한다. ②는 성곽 안쪽 '이화장'. ③은 동대문, ④는 동대문이대병원과 동대문감리교회, ⑤는 청계천이다. ⑥은 남북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한양도성 성곽.

 

 

현재 창신동 일대. ①은 일제강점기 이승만 부부 땅 위에 중건된 지장암, ②는 이승만 박사가 귀국해 살던 '이화장'이다. ③ 흥인지문(동대문), ④는 옛 동대문이대병원과 동대문감리교회 터이다. ⑤는 성곽으로 남북 방향으로 뻗어 있다. 국토정보지리원 지도.

 

바로 그 절이 지금의 지장암이다. 그런데 그 ‘시주’의 저변에는 부모가 맺어준 방식에 의해 구식 결혼한 이승만이 본처를 버린 데서 기인한다. 망명가 남편의 금의환향을 기다리며 끝까지 수절하며 기다린 본처, 하지만 프란체스카와 중혼 사실을 숨기고 싶었던 이승만. 그가 대통령이 되고 나서 호적에서 본처를 몰래 파버리면서까지 ‘총각 결혼’으로 남고자 했던 이혼 명분 싸움에 '지장암'이란 암자가 있는 셈이다.

중장년 이상 국민 대개는 이승만의 처는 그가 유학 중 만난 ‘호주 댁’ 프란체스카 도너(1900~1992)로 알고 있다. 프란체스카는 정확히 오스트리아 빈 출신인데 오스트리아를 오스트레일리아(호주)로 착각한 국민이 ‘호주 댁’이라 불러 그리 굳어졌다.

 

사실 많은 국민이 추앙하던 독립운동가인 초대 대통령이 본처가 있음에도 중혼을 했고, 새 여자를 위해 조강지처를 버렸다면 민심은 악화일로였을 것이다. 남아선호와 단일민족 사상이 강한 한국민에게 서양 여자가 국모라는 현실도 받아들이기 힘든데 본처를 버린 대통령? 후폭풍이 만만치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정권을 잡은 이승만과 그 측근들은 이러한 사실을 어떻게든 숨겨야 했다. 그리고 흔적을 없애야 했다. 이들은 국부 이승만의 신화를 위해 호적 말소를 시도했고 그 작업은 아무런 문제없이 이뤄졌다. 따라서 이승만은 프란체스카와 서류상 첫 결혼이 됐다.

 

그들이 본처 문제를 숨기기 위해 노력한 흔적은 언론 보도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미 본처에 대한 보도가 일제강점기 있었으나 대통령에 오른 후 어느 매체에서도 거론되지 않는다.

 

1926년 7월 15일 자 조선일보는 ‘누항(陋巷)에서 신음하는 이승만 박사 부인’이라는 타이틀로 박승선의 고단한 삶을 보도했다. 누항은 ‘좁고 지저분함’을 뜻한다.

이 보도에 따르면 당시 박승선은 ‘창신동 뒷산에 조그마한 집 한 채를 정하여 시골 조카 하나를 데려다 기르며 종교와 육영 사업에 일생을 바치겠다는 생각으로 예수교를 지성으로 믿어가며 보종학원이라는 학교를 만들어 배우지 못한 어린이들을 가르치며...본래 그 땅은 이승만 소유이며 현숙한 부인 박씨가 가난한 이들에게 집을 짓도록 도와줘 수십 호의 촌락이 생겼다’라고 전한다.

 

한데 박승선의 이런 선함을 이용해 그를 ‘신음’케 하는 일이 생겼다. 당시 보도문을 현대문으로 바꾸면 아래와 같다.

 

‘...이 박사의 처 박승선은 동네 사람이나 인근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는다. 그런데 지난 13일 오전 7시쯤 그 이웃에 사는 지장암이라는 절에 주지 노릇을 하는 강재희(64)라는 늙은 자에게 무수한 폭행과 모욕을 당하고 나중에는 구타까지 당하였는바

 

...강재희라는 자는 본래부터 박 부인이 현재 사는 곳에서 한참 동안 떨어진 곳에 남의 터에다가 지장암이라는 절을 짓던 중 얼마 되지 아니하여

 

1965년 조선일보가 이승만 본처 박승선이 살던 옛집을 사진으로 담았다. '이 박사댁'이라고 불렀다.

 

강재희는 불교를 숭배하는 승(僧)의 몸으로 파계의 행동이 많아 육근청정(六根淸淨=진리를 깨달아 욕심과 집착이 없어지고 육근이 깨끗하여지는 일)을 입으로만 찾는 자이니, 처첩이 네 사람씩이나 있어 온갖 좋지 못한 일이 많음으로 집터를 빌린 사람의 눈 밖에 나게 되자 집터를 내어달라고 주인의 성화가 일자 다수의 계집과 종들을 데리고 갈 곳이 없어 쩔쩔매다가

 

박 부인이 마음이 착하여 갈 곳 없는 사람들에게 집터를 잘 빌려주므로 박 부인에게 찾아가서 자기의 처지가 몹시 어려움을 말하고 구원을 얻고자 애걸복걸하였다.

.

..(강재희는) 서로가 종교를 믿는 바에야 신을 믿기는 마찬가지인데 내가 부처님을 모시고 거리로 나앉게 생겼으니 절을 지을 터를 빌려달라 함으로 박 부인이 종교가 다르기는 하나 착한 일 하기는 마찬가지이니 그리하자고 쾌히 승낙하였다...강재희는 등기문서를 빌려주면 잠깐 융통하고 나서 가을에 갚겠다 하고...박 부인이 열성 있는 자로 여기고 돈은 물론 좁쌀까지 사다가 꾸어 주는 등 편의를 봐주어 생긴 절이 지장암이라...’

그런데 강재희가 안면을 싹 바꾸기 시작했다.

 

개화기와 일제강점기 시대상을 엿볼 수 있는 사진. 옛 동대문이대병원(보구여관 동대문분원)과 동대문감리교회 모습이다. 지금은 이 일대가 '흥인지문공원' '한양도성박물관'으로 조성됐다. 이승만 본처는 남편이 망명 간 후 이 병원에서 병원 빨래를 하며 생계를 잇는다. 선교사들이 찍은 사진에 채색한 것으로 보인다.

 

‘강재희는 박 부인이 남편 이승만 박사가 상해에서 반일 운동을 하므로 사찰을 받고 있자...이 생원이라는 자에게 박 부인에게 시비를 걸게 한 후 (지장암에서) 쫓아 내려와 박 부인에게 입에 담지 못할 갖은 욕설을 다 해가며 이유 없이 박 부인의 가슴을 주먹으로 쳤고 박 부인이 계단에서 글러 떨어졌다. 간신히 집으로 돌아온 박 부인에게 강재희가 쫓아와 치마허리를 붙잡고 경찰서로 가자고 내쳐 박 부인은 어깨, 머리, 허리 상처를 입었다.’

 

당시 조선일보는 ‘은혜를 입고도 원수로 갚는’ 이 박사 부인 구타 사건을 2회 연재와 가십을 통해 보도했다. 사실 이 보도는 일제강점기라는 시대 상황상 쉽지 않았다. 이승만은 망명한 독립운동가였고, 그의 집안과 그 부인은 경찰의 요시찰 대상이었기 때문이다. 실제 조선인 형사 보조와 일본인 형사들이 수시로 창신동 박 부인 집을 드나들었다.

 

 

다른 측면에서는 이 기사가 이승만이 본처가 있다는 사실을 확실히 못 박은 기사이기도 하다. 당시 신문을 읽을 수 있는 사람들이 소수의 식자층인 점을 고려하더라도 조선의 엘리트들은 한 독립운동가 아내의 비참한 삶을 알고 있었다는 얘기가 된다.

 

 

한데 이 본처 얘기는 그 이후로 어디에도 거론되지 않는다. 그러다 4·19혁명 발발 후 이승만이 실각하고 난 그해 12월 일본인 기자가 전 부인 박승선 문제를 거론하며 이승만의 후손이 없다는 요지의 보도를 한다. 이 내용은 외신 발로 동아일보가 다뤘다.

 

결국 본처 문제에 대해 이승만 정권 시절 권력이 언론에 대한 은밀한 작업을 했다는 결론이 나온다. 국부의 동상이 세워지던 시대 ‘이승만 본처’ 문제는 금기어였다. (다음 회 계속)


lakajae@kukinews.com

갓 구워낸 바삭바삭한 뉴스 ⓒ 쿠키뉴스(www.kuki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