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슈머,건강정보,소비자의 힘

홀로그램 우주

장백산-1 2012. 8. 1. 14:43

 

홀로그램 宇宙

홀로그램이란 피사체를 거쳐 가지 않은 레이저 光線과 피사체를 거쳐 가는 또 다른 光線이 서로 간섭을 일으키면서 만들어진 像을 말한다. 서로 다른 觀点에서 바라보았던 情報가 聚合되어 만들어진 像이기 때문에 3차원적 立體 映像을 만들어낸다.

 

놀라운 점은 그렇게 만든 홀로그램 필름은 아무리 작게 잘라도 조각 하나 하나가 전체의 정보를 다 갖고 있다는 점이다. 홀로그램 필름의 작은 조각은 단지 선명도만 떨어질 뿐이다. 홀로그램 속에서는 아무리 작은 부분도 전체의 정보를 갖고 있는 것이다.

 

최근 우주 전체가 홀로그램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이론이 데이빗 봄을 비롯한 물리학자들에 의해 제기되고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마 상태에서는 전자와 양이온들이 처음에는 무질서하게 움직이는 것 같지만 곧 살아 있는 생명체와 같은 질서를 보이는 것이 확인된 것이다.

 

플라스마란 고농도의 전자와 양이온을 품고 있는 가스이다. 전자들이 플라스마 속에 들어오면 개개의 독립체로 있는 것이 아니라, 상호 연결된 전체의 일부가 된 것처럼 행동한다.

 

플라스마 속에서 3차원적으로 떨어져 제멋대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입자들은 초공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물리적 진공에 나타나는 토션장도 이러한 홀로그램적 특성을 보인다.

 

데이빗 봄은 자신이 제시한 새로운 개념의 홀로그램의 세계를 ‘양자장’이라고 명명했으며, 그것이 마치 중력장처럼 공간 속에 편재해 있다고 한다(localized).

 

양자장이 작용하는 차원에서는 위치라는 것이 무의미하다. 공간 속의 모든 지점들은 다른 모든 지점들과 동등해졌으며, 어떤 것이 다른 어떤 것과 서로 분리되어 있다고 말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한 것이다. 이러한 성질을 물리적으로 비국소성(Non-locality)이라고 한다.

 

데이빗 봄은 어항 속에서 헤엄치고 있는 한 마리의 물고기를 예로 들어서 비국소성에 의한 두 입자간의 연결을 설명한다.

 

어항의 물고기를 정면과 측면을 비추고 있는 두 대의 비디오카메라에 비춘다고 생각해보자. 두 대의 TV를 통해 나타나는 화면상의 물고기는 사전 지식이 없다면 별개의 존재로 보일 것이다. 그러나 계속 관찰한다면 서로간의 연결성이 존재함을 알게 된다. 한쪽이 방향을 바꾸면 다른 쪽도 같은 모습은 아니지만 일치되는 방향 전환을 할 것이다. 서로 간에 교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러나 사실은 어떠한 교신도 일어나고 있지 않다. 바로 두 마리로 보이는 물고기가 사실은 한 마리이며 같기 때문이다.

 

데이빗 봄은 이것이 EPR 역설을 나타내는 2개의 광자 사이에서 나타나는 초광속적 연결과 같다고 설명한다.

 

실제로 양자장은 모든 공간 속에 스며들어 있으며 모든 입자들은 초공간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토션장은 홀로그램적 특성을 갖고 있다. 물에 구체적인 성장 호르몬과 바소프레신과 같은 호르몬의 정보가 담길 수 있다면 그것도 역시 홀로그램의 이론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물분자의 클러스터들의 수명이 1조 분의 1초에 불과하기 때문에 호르몬 분자의 구조가 공간적으로 물에 나타난다고 생각하기는 어렵다. 성장 호르몬과 같은 큰 단백질 분자가 물에 기억된다면 그 단백질의 토션정보는 독특한 스핀의 조합인 새로운 물의 클러스터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물의 클러스터는 3차원적인 특정한 형체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이합집산을 하고 있다. 하지만 3차원 공간에서 흩어져 제멋대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이 물분자들은 홀로그램의 세계에서는 특정 호르몬 정보의 부분으로서 일정한 질서 안에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생체정보를 담고 있는 토션장은 킬리언 사진기로 찍을 수 있다. 그리고 그 킬리언 사진기에 찍히는 영상은 홀로그램적 특성을 갖고 있다.

 

나뭇잎의 가운데 동전 크기의 구멍을 뚫어놓고, 킬리언 사진기로 나뭇잎을 찍었을 때, 그 구멍 안에 나뭇잎의 전체 모습이 나타나는 사진이 찍힌 것이다. 이것은 부분에 전체의 정보가 담기는 홀로그램의 전형적인 특성이다. 킬리언 사진에 나타나는 영상이 홀로그램임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생체정보, 토션장, 생체전자기장, 상해전류, 생체전기, 형태공명장, 생명장, 기(氣)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표현되며 우리 몸을 구체적으로 통제하는 비유전적인 정보시스템은 근본적으로는 홀로그램의 성질을 갖고 있는 것이다.

 

-www.kimswater.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