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인생의 헛된 삷과 참된 길

장백산-1 2012. 12. 6. 14:24

 

 

 

  인생의 헛된 삶과 참된 길

 
 

청담스님


우리 人間이란 本來 어디에서 왔다가 어디로 가는 것인지?

또 무엇 때문에 사는 것이며?

그저 막연히 생겨났으나 살 때 까지는 죽지 못해서 살아가고 있는 것인지?

고달픈 삶에 쫓기다보면 이런 問題들을 生覺할 겨를도 없이 살아가고 있는 것이 우리의 각박한 現實生活이 아닐까?

 

그러나 우리는 이런 問題들을 生覺하기 以前에 벌써 살고 있는 것이며 그러하기 때문에 여기서 나는 '잘사는 問題'를 가지고 말하려 한다.

농사짓는 사람이나 장사하는 사람이나 고기 잡는 사람이나 공장 직공 정치인

학자 종교인 심지어는 석가 공자 예수에게 물어볼지라도

'잘 살려는 마음', 卽 이 '한 生覺'만을 똑같이 가지고 있으리라

이 글을 쓰는 나도 그렇고 이 글을 읽는 여러분도 그러할 것이다...

그러면 어떻게 사는 것을 잘 산다고 할 수 있는가. 人間이 누구나 잘 살려는 이 '한마음'을 가졌을진댄 잘 살 수 있는 어떤 法則이 必要할 것은 틀림없는 事實일 것이다. 그런데 나는 잘 사는 法을 말하기 前에 먼저 어떤 것을 잘 사는 것이라고 하는가를 우리 人間들 모두에게 묻고 싶다. 세계의 경제를 한 손에 넣고 주무르는 재벌이나 천하를 다스릴 수 있는 제왕이 되거나 또 사자후의 웅변을 토하며 듣는 이로 하여금 가슴이 서늘하게 만들고 천하의 독자를 붓 하나로 놀라게 하는 큰 문호가 된다면 이것을 일러 잘사는 것이라고 할 것인가?

부귀와 명예를 헌신짝같이 던져버리고 뜬 구름 흐르는 물로 살림을 삼아

천상천하 유아독존인양 하는 사람이 있다면 이 사람을 일러 잘사는 사람이라

할 것인가? 아니다, 이 모두가 겉치레의 잘사는 方法이 될는지는 몰라도

참된 意味에서 말하는 잘사는 方法은 되지 못하리라.
그러면 어떤 것이 잘사는 것인가?

不足이 없는 것이 잘사는 것이요,
求할 것이 없는 것이 잘사는 것이요,
怨望이 없는 것이 잘사는 것이요,
성냄이 없는 것이 잘사는 것이요,
공포와 불안이 없는 것이 잘 사는 것이요,
강제와 속박이 없는 것이 잘사는 것이요,
해탈과 자유가 있는 것이 잘사는 것이요,
늙지 않고 병들지 않고 죽지 않고 영원히 사는 것이 잘사는 것이요,
보다 위없는 것이 잘사는 것이요,
마음에 흡족한 것이 잘사는 것이다.


인간의 일평생을 백년이라 한다면 이 일평생을 흔히들 살아간다고 한다.

이 貴重한 한평생을 무엇을 위해서 살아야하고 또 누구를 위해서 살고 있단 말인가? 우리는 흔히 이런 問題들을 전혀 生覺하지 못한 사이에 머리엔 흰머리카락이 얹어있고 얼굴엔 주름살이 잡히는 수가 있다.

만일 人間들이 이런 理由를 모르고 그저 먹고 자고 性生活만을 지탱해나간다면 이는 저 금수들의 생활과 다른 것이 무엇인가.

사람들은 흔히들 살아간다고 한다.

그러나 살아간다는 말은 아무런 內容이 없는 말이다. 가령 인간이 百年의 삶의 權利를 가지고 와서 하루 살았다는 말은 하루 죽었다는 말 以外에 또 무슨 다른 뜻이 있다는 말인가. 그러니까 일년을 살았다는 말은 곧 일년을 죽었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살아간다는 말은 죽어간다는 말이 옳은 것이다. 우리가 농사짓고, 장사하고, 정치하고 경제하고, 종교를 믿는다는 것은 죽지 않으려는 것인데

그래도 죽어야만 하는 것이 우리 人生이 아닌가. 이는 참으로 비참한 事實이다. 또 권력, 재력 그 무엇으로도 解決할 수 없는 일이다.

인간의 일생을 따지고 보면 죽음이라고 하는 큰 구렁이한테 뒷다리를 물려

들어가는 개구리의 運命과 다를 것이 없다.
그런 인간들이 살려고 발버둥치는 것을 볼 때는 정말 안타까운 生覺이 든다.

구렁이한테 물린 개구리는 구렁이 뱃속에 완전히 들어가기까지엔 오직

구렁이 自身이 決定할 것이지 개구리에겐 아무런 自由도 없다.

마찬가지로 우리 人間의 죽음도 人間의 自由意思에 의해서 決定된다.

천하의 영웅과 만고의 호걸도 이 죽음 앞에선 아무런 反抗도 못하고 그저 順從해야 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런 現實에 直面해 있으면서도 마치 남의 일처럼 새까맣게 잊고 살아가고 아니 죽음이라는 구렁이 앞에 다가 가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이 세계에서 잘난 사람, 못난 사람, 과학자, 종교가, 철학자등 일체 중생이

누구나 다 業報衆生임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보는 見解도 역시 業眼으로 밖에는 보지를 못함이 또 事實이다.

우리 일체중생이 이 업안(業眼)을 解脫하여 眞理의 눈(心眼)으로 世上을 보고

살도록 努力하여야 한다. 그런 眞理의 눈(法眼)을 만들려면 어떻게 하여야

하느냐, 심성수양(心性修養) 곧 어두운 마음을 밝게함으로 견성(見性)이다.

見性이란 自己性品(바탕)자리 일체만유(一切萬有)의 본성(本性)자리 곧 眞理이니 이 眞理인 본심(本心)자리를 맑고 淸淨히 가져 만사만리(萬事萬里)를 通察할 줄 아는 지혜(慧眼)의 눈을 얻는 것이다.

 
중생의 육안(肉眼)으로는 아니 보이나 이상하고 妙하게도 성품(性品)은

各者가 모두 지니고 있으면서도 못보고 못찾는 것이 妙한 理致라 할 수 있겠다.

그럼 어떻게 해야 各者가 지니고 있는 性品을 보고 이 苦海에서 헤어날 수 있는가?

凡夫衆生은

탐내는 마음,

성내는 마음,

어리석은 마음과

 

財物에 대한 慾心,

色에 대한 慾心,

飮食에 대한 慾心,

오래 살고자 하는 慾心,

명예에 대한 慾心 등 다섯가지 즐거움을 누려보고자 하는 病에 걸린 患者들이다. 그러니 이 貪, 嗔, 痴  三毒과 五慾病을 고치지 아니하고는 自己 性品을 볼 수

없거니  먼저 三毒과 五慾樂을 버리고 六바라밀을 行해 나가야한다.

그러므로해서 죽음에 直面해 있는 우리 一切衆生이 不安과 恐怖에서 헤어나서 永遠한 絶對 自由를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 흔히 우리가 살고 있는 이 現實世界를 사바세계라 한다. 모든 生命들이 살아감에 서로 빼앗고 서로 죽이고 잡아먹고 약육강식(弱肉强食)하는 하나의 수라장(修羅場)이라 함이 無理가 아닌 것이니 이 現實世上은 관거 無量劫을 내려오며 서로 가지고 놓은 罪惡의 업력(業力)으로 만들어진 인과응보(因果應報)의 보복(報復)의 결산장(決算場)이라 서로가

지은바 業力과 業報로 괴로운 災難이 눈앞에 展開됨은 避할 수 없는 必緣的인

因果應報의 法則이라는 것을 깊이 깨달아 自己 性品을 바로 보아야 할 것이다.

性品을 보라함은 나의 실체(實體) 卽, 存在性을 알라함이요,

나의 實體를 알라함은 나의 永遠의 삶을 터득함이다.

우리 人間이 이것 以外에 또 무슨 일(事)이 있단 말인가?

자료출처:불교신문

결가부좌 생활(명상) 참선센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