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김, 첫 한국계 주한미국대사로 돌아온다
| |
등록 : 20110605 20:00 |
|
미, 129년만에 한국계 아그레망 요청…클린턴 추천
한반도 문제 정통·2008년부터 6자회담 대표 맡아와 부친은 ‘DJ납치’ 연루 주일공사…가수 임재범과 사촌
김대중 납치사건에 연루된 이후 공직에서 떠난 아버지를 따라 미국으로 향했던 소년은 이제 주한미국대사로 한국에 돌아오게 됐다.
미국 정부는 지난주 한국 정부에 6자회담 특사인 성 김(51·사진) 대사에 대한 아그레망(주재국 임명동의)을 요청한 것으로 4일(현지시각) 알려졌다. 한-미 수교 이후 129년 만에 처음으로 주한미국대사에 한국계 인사가 임명되는 것이다.
부모를 따라 미국 로스앤젤레스로 이민간 김 대사 내정자는 펜실베이니아대를 졸업하고 로욜라 로스쿨을 거쳐 검사로 근무하다 1990년대 중반, 국무부에 들어가 오랫동안 한반도 문제를 담당해왔다. 2003년에는 주한미대사관 1등 서기관으로 근무하기도 했다. 한국 이름은 ‘김성용’이며, 김 내정자의 외삼촌은 1960~70년대 유명한 아나운서였던 임택근 전 <문화방송>(MBC) 전무로, 가수 임재범씨가 김 내정자의 외사촌 동생이다.
김 내정자는 한국계 최초의 국무부 한국과장(2006년)으로 주목받은 이래 2008년부터 북핵 6자회담 대표를 맡아오는 등 북핵 문제의 실무 책임자로 활동했다.
조지 부시 행정부 때인 2008년 5월, 북한이 제출한 영변 원자로 가동 기록을 받아 판문점을 넘어왔고, 같은 해 영변 원자력발전소의 냉각탑 폭파 현장에도 미국 대표단을 이끌고 갔다. 북한을 10차례 이상 방문했고, 한반도 문제에 정통해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물론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도 그의 견해에 많이 의존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그는 북한과의 협상에서도 꼭 영어를 사용하며, 자신이 한국계라는 점도 부각시키지 않는다. 북한이 잘못된 판단을 하거나 자신이 전문적인 용어를 잘못 사용해 실수를 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정보 분야에 종사해 ‘김재권’이란 가명(본명 김기완)으로 알려진 김 내정자의 아버지는 박정희 정권에서 주일공사를 지낼 당시 김대중 납치 사건과 연루되기도 했던 인물이다. 2007년 국정원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가 낸 ‘김대중 납치사건 진상보고서’는 “김 전 주일공사는 당시 중앙정보부로부터 김대중 납치지시를 받자 ‘박정희 대통령의 결재사인을 확인하기 전에는 공작을 추진할 수 없다’며 재차 확인을 요구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김 전 공사는 김대중 납치 사건의 여파로 공직을 떠나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 김 내정자의 이름이 ‘김성용’에서 ‘성 김’으로 바뀐 이유다. 국정원 보고서는 김 전 공사가 1974년 미국에서 김형욱 전 정보부장을 만났으며, 당시 김 전 부장이 50만달러를 주며 반박정희 운동을 벌이자고 제안했으나 이를 거절했다고도 전했다. 김 전 주일공사는 1958년에는 부산발 서울행 대한민항공사(KNA) 소속 경비행기에 탑승했다가 무장 괴한에 의해 북한으로 납치됐다가 납북 20여일 만에 판문점을 통해 송환된 적도 있다. 그는 79년 한국에 돌아와 한국보험공사 사장을 역임했으나 82년 물러난 뒤, 이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여생을 보내다 94년 숨졌다.
김 내정자는 상원의 대사 인준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되면 8월께 부임할 전망이다. 백악관은 애초 차기 한국 주재 대사에 비중있는 정치인을 기용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클린턴 국무장관의 강력한 추천과 한반도 문제가 산적해 있는 상태에서 북한 문제에 정통한 그가 적임이라는 백악관의 판단이 맞물려 결정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김 내정자는 이화여대 출신의 한국 여성과 결혼해 15살, 11살 두 딸을 두고 있다.
워싱턴/권태호 특파원 ho@hani.co.kr |
'친일반민족세력 '근현대사 이념편향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의 만행 (0) | 2011.11.28 |
---|---|
[스크랩] <`나는 친일파 후손` 아름다운 사죄문> (0) | 2011.10.18 |
"양아치였네!!"---'한나라당 의원 막말 퍼레이드" 화제 만발~~~!!!! (0) | 2010.12.30 |
[스크랩] [경술국치 100년] 강제동원 日작업장 국내에도 6956곳 (0) | 2010.06.08 |
[스크랩] [경술국치 100년] 광산… 공장… 비행장… 한반도 전역은 노역장이었다 (0) | 2010.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