懶翁禪師(나옹선사)의 詩
靑山兮要 我以 無語 (청산혜요 아이 무어) :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蒼空兮 要我以 無垢 (창공혜요아이무구) :
창공은 나를 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聊無愛 而無憎兮 (료무애 이무증혜) :
사랑도 벗어놓고 미움도 벗어놓고
如水 如風 而終我 (여수 여풍 이종아) :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靑山兮要 我以 無語 (청산혜요 아이 무어) :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蒼空兮要 我以 無垢 (창공혜요 아이 무구) :
창공은 나를 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聊無怒 而無 惜兮 (료무노 이무 석혜) :
성냄도 벗어놓고 탐욕도 벗어놓고
如水 如風 而終我 (여수 여풍 이종아) :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나옹선사 (1262-1342) ;
고려 말기의 고승, 공민왕의 왕사.
1339년 이웃 친구의 죽음에 무상을 느껴 출가한 후 중국 원(元)나라에서 지공화상(指空和尙)을 만나 2년간 수도(修道). 조선조 왕사 무학대사(無學大師)가 그의 제자 32명 중 한사람.
출처 : 서후 삼삼한 친구들
글쓴이 : ccubeejw 원글보기
메모 :
'삶의 향기 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새로운 땅 (0) | 2011.08.31 |
---|---|
풍경이 너였음을---나의 당신 안에서--- (0) | 2011.08.31 |
[스크랩] 기도의 의미 (0) | 2011.08.30 |
인생의 네비게이터, (0) | 2011.08.30 |
[스크랩] 묵상 : 이태석 신부님 작사.작곡,,노래 / 갓등 중창단 (0) | 2011.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