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짓기와 복받기 / 법상스님
힘들고 괴로울 땐 복짓는다 생각하고
행복하고 기쁠 땐 복줄어든다 생각하라
은사스님을 시봉하다 보면 크신 스승의 그늘 위에서 큰 가르침을 얻게 마련이다.
은사스님께서 나뿐 아니라 신도님들께도 가장 잘 하시는 법문 중 하나가 복 짓고
받는 일상에 관한 이야기셨다.
그것은 다름이 아니라, 세상을 살아가며 일체 모든 일을 행함에 있어 두 가지로
그 마음을 돌려서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인데, 힘들고 괴로운 상황은 ‘복을 짓는 일’이며
행복하고 즐거운 상황은 ‘복을 받는 일’이라고 말이다.
첫째, 힘들고 괴롭고 하기 싫은 일이 생기거나, 내가 손해를 보는 것 같이 느껴질 때,
억울함을 당했을 때, 그리고 내가 한 일의 양에 비해 적은 보수를 받았을 경우 등
이처럼 힘들고 괴로울 때 그 마음을 항복 받기 위해 지금의 이 상황을 ‘복을 짓고
있구나’ 하며 대 긍정으로 그 마음을 돌려야 한다는 말씀이다.
당장은 손해보며 괴롭겠지만 그것이 바로 복을 짓는 행위라는 것이다.
또한 둘째로 내가 한 것보다 많은 양의 보수와 칭찬을 받았을 때, 행복하고 즐겁다고
느껴질 때 이 때에도 그 기쁜 마음에 들떠있기 보다는 그 들떠있는 마음을 항복 받기
위해 이것이 ‘복을 받고 있구나’ 하며 크게 돌려 그 행복감에 안주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은사 스님들께서는 수행자라면 모름지기 이 두 가지 생활 중에 5분의 4는 ‘복을 짓는
생활’을 그리고 5분의 1은 ‘복을 받는 생활’을 해야 한다고 하셨다.
복을 받는 것은 저축했던 것을 쓰는 생활이요, 복을 짓는 것은 저축하는 생활이기
때문이다. ‘힘들 때는 복 짓는 것, 행복할 때면 복 받는 것’ 이처럼 생활한다면 우리
생활의 양극단인 괴로운 삶과 즐거운 삶 모두를 잘 조복(調伏) 받을 수 있지 않겠나.
이렇듯 일체의 행위, 일체의 상황을 복 짓고 받는 두 가지로 돌릴 수 있다면 우리의
삶은 더욱 밝아 질 것이다. 어떤 상황도 이 두 가지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는 없기 때문.
복 짓는 생활은 그 순간 고통이 따르지만 크게 보면 밝고 복된 일이며, 복 받는 생활은
그 순간 행복하고 기쁘지만 그동안 저축해 놓았던 복을 까먹는 일이다.
힘들고 괴로울 때 내 주위를 환경을 그리고 사람들을 탓하기보다는 ‘복 짓는 일이구나’
하며 마음을 다스릴 일이다.
이와 같이 마음을 돌릴 수 있다면 앞으로 펼쳐질 인생의 그 어떤 경계라도 기분 좋게
받아들일 수 있게 될 것이다. 힘겹고 괴로운 일은 ‘복 짓는 일’ 행복하고 편한 일은
‘복 받는 일’이라고 한다면 어찌 복 받는 일에만 행복해 하겠는가.
오히려 힘들고 고된 일을 하며 ‘복 짓는 일’이라는 데에 더 큰 행복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마음 닦는 수행자에게 이 세상은 참으로 밝은 수행터이며 복밭이
되지 않겠나.
삶이라는 것은 누구에게나 즐거움과 괴로움이 교차하게 마련이다.
즐겁다고 거기에 빠져 나태할 것도 아니고, 괴롭다고 그 상황에 빠져 좌절할 일만도
아니다. 그렇기에 ‘복짓기 복받기’설법이 양 극단에 치우치지 않을 수 있는 여여한
삶에 대한 밝은 수행법이 아닌가 싶다.
오전에 조금 좋지 않은 일이 있었는데, 이럴 때 은사스님은 어떠실까를 생각하다가
문득 생각난 법문, 은사스님을 대신하여 지면에 옮겨 본다.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마음의 주인이 되라 (0) | 2013.05.06 |
---|---|
[스크랩] 상대에게도 지고 나 자신에게도 지는 것 (0) | 2013.05.06 |
선은 진리로 우주천지에 가득차있는 우주천지의 생명이다 (0) | 2013.05.04 |
[스크랩] 참된 인욕의 가장 큰 실천방법 (0) | 2013.05.04 |
[스크랩] 양심의 거울/톨스토이 (0) | 2013.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