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切가 '나’이므로 ‘나’아닌 게 없다]
믿는 마음은 둘이 아니요 둘 아님이 믿는 마음이니,
언어의 길이 끊어져서 과거. 미래. 현재가 아니로다.
(信心不二요 不二信心이니 言語道斷하여 非去來今이로다.)
<信心銘>
어떤 큰스님께서는 손님이 오면, 후원의 所任者를 불러 이렇게 말하곤 하였다.
“나와 한 故鄕 출신이다. 잘 待接하도록 하여라.”
큰 스님과 同鄕出身이라는 말을 듣고는 最善을 다해 손님을 모셨다.
그런데, 나중에 보니 거의 오는 손님마다 한 故鄕出身이라고 말씀하시는 것이 아닌가?
이를 궁금히 여겨서 여쭈었더니,
큰스님께선 다음과 같이 대답하셨다.
“事實 우리 모두가 한 故鄕出身이다. 모두가 본마음 참 나 자리에서 온 것이지.”
印度에 배낭여행을 간 적이 있었다.
지금도 거기에서는 밥 먹을 때 맨손을 사용하는 습관이 남아있다.
또한 시골의 화장실에는 아직도 휴지가 없다.
휴지 대신 작은 물통 혹은 물 컵 하나씩 놓여있는 모습을 종종 보게 된다.
용변을 보고나서 휴지로 뒤를 닦는 것이 아니라, 물을 사용해서 손으로 세척하는 것이다.
사실 휴지를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깔끔하고 개운해서
일단 맛을 보게 되면 이러한 방법을 쓰지 않을 수 없다.
본 마음 참 나 立場에선 ‘一切가 나’,
삶과 眞理가 不二라 믿는 것이 信心
이렇게 맨손으로 먹기도 하고 맨손으로 닦기도 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손이 定해질 수밖에 없다.
일반적으로 먹을 때는 오른손으로, 뒤를 닦을 때는 왼손으로 하게 되는 것이다.
結局 오른손은 깨끗함, 왼손은 더러움을 象徵하게 된다.
이러한 두 손을 合쳐서 인사하는 합장(合掌) 인사법에는
다분히 中道的 意味가 담겨있다.
‘깨끗함과 더러움이 둘이 아니다.(淨染不二)
그대와 내가 둘이 아니다.(汝吾不二)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니다. (佛衆不二)
선과 악이 둘이 아니다.(善惡不二)’라는
意味를 合掌 인사법에 담고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바로 지금 여기 이 瞬間
나의 삶과 眞理가 둘이 아님을
確固히 믿는 것이 眞情한 信心이다.
佛像을 向해서는 108배는 물론 삼천배도 마다하지 않는 마음을 내면서,
정작 자신의 주변사람들에게는 고개 숙여 삼배조차 하지 않는 마음은
眞情한 信心이 아니다.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님을 굳게 믿어야한다.(佛衆不二)
나아가 일과 修行이 둘이 아님(事修不二)을 굳게 믿어야한다.
出家해서 行者生活 당시 主로 설거지나 해우소 청소를 도맡아 하였다.
아마도 평생에 먹을 밥그릇만큼의 설거지를 하지 않았을까?
큰 法會라도 있게 되면, 한꺼번에 수백 수천 그릇을 설거지 한 적도 있었다.
그 때 만약 “내가 뭐 설거지나 하려고 출가했나?”하는 生覺으로
대충대충 그릇을 닦고, 시간나면 책이나 보려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찌꺼기 담긴 그릇이 나의 汚染된 마음과 둘이 아니고 같다.
마음그릇을 닦는 心情으로 설거지를 하자’하고 설거지를 하게 되니,
즐거운 生覺이 들었다.
깨끗하게 닦아 보송보송한 그릇을 보면,
마치 내 마음그릇도 깨끗해진 듯 기분이 상쾌해졌다.
結局 修行과 일(事)이 둘이 아닌 하나가 된 것이다.
이렇게 본마음 참 나의 立場에서 보자면,
이 世上 모든 것이 둘이 아니다.
이 世上 一切가 ‘나’이므로 '나' 아닌 것이 없음으로,
그 자리는 言語分別이 끊어지고 時間조차 意味를 잃게 되는 것이다
월호스님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아름다운 회향/ 법계 명성 큰스님 (0) | 2013.09.17 |
---|---|
佛性人間 (0) | 2013.09.17 |
축복의 말 (0) | 2013.09.17 |
두려움이 없어야 수행자라 할 수 있다~~~ (0) | 2013.09.16 |
우리는 억겁의 길을 가는 나그네~~~~ (0) | 2013.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