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우주만물이 하느님이고 부처다

장백산-1 2014. 1. 27. 00:36

 

 

 

 

 

 

걸림없이 살고, 쓸데없는 생각만 멈춰라




우리는 보통 法門이나 說法이라고 하면 로 하는 것인 줄만 압니다.
 
말로 법문을 해야 법문 잘 들었다, 멋지게 들었다고 합니다.
 
法門은 말이 아닙니다.
 
 
물건을 운반하는 도구가 있듯이,  말이라는 도구를 통해 을 전달할 뿐입니다.

이 전달됐다면 말이란 것은 필요 없습니다. 을 모르는 사람은 아무 말이 없으면

오늘 아무 법문 안 하시는구나 하고 섭섭하게 生覺하게 됩니다.

워낙 形象, 소리, 모양에, 執着하다 보니 소리가 아닌데 소리錯覺을 하고

說法을 하지 않으면 法門을 안 한 줄 안다 이 말입니다.

을 알아차렸다면 굳이 할 필요가 없다 이 말입니다.

 
이심전심(以心傳心)이란 말이 있죠? 대중들을 향해 항상 귀로 들을 수 있는
 
설해 오신 부처님께서 어느 날은 그날따라 아무 말 없이 꽃 한송이만 들어 보이셨어요.

대중들은 무슨 말씀을 하실 건가 싶어 귀를 기울였으나 아무 말씀이 없어요.

그러니 대중들은 알 수가 없지요. 그런데 그 중에 오직 한사람, 가섭 존자만이 빙긋이 웃었습니다.
 
말하지 않아도 알아차리고 마음으로서 마음을 전한 것이죠.

 
결코 복잡하고 어렵지도 않습니다.
 
둥근 달이 있는데 그 달을 못 보니까

달을 보게 하기 위해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이 法門입니다.

그런데 손가락만 보고 달은 보지 못합니다. 달을 봤으면 손가락은 필요 없습니다.

 
어떤 선지식이 달을 가리키기 위해 어떤 때는 손가락을 사용하고,

또 어떤 때는 나무 막대기, 혹은 쇠막대기 등을 사용했는데
 
 부처님의 뜻은 알지는 못하면서

손가락, 나무막대기, 쇠막대기를 달달 외우면서
 
나는 부처님 뜻을 안다라고 하면 그것은 바보짓입니다.

쇠막대기를 통해 달을 보라고 했지, 누가 쇠막대기를 외우라고 했나요?

경전을 아무리 달달 외우더라도 소용없고,
 
 불문에 들어왔으면 부처님 뜻을 알아야 합니다.

 
범어사는 선찰 대본산입니다. 선(禪)이 뭡니까?
 
이것은 核心입니다.

佛法僧을 깨달은 자리가 입니다. 선이라 하는 것은 말이 아닙니다.

서산 대사는 ‘이라고 하는 것은 부처님 마음(禪是佛心)’ 이요
 
라고 하는 것은 부처님 말씀(敎是佛語)’이라고 법문했습니다.
 
부처님 마음은 곧 중생의 마음입니다.

중생이라고 하면 삼독심도 있고 온갖 번뇌망상이 많은데
 
이 중생의 마음이 부처님 마음입니다. 이상하죠?

 

 


달마 대사께서 인도에서 중국으로 불법을 전하러 왔습니다.

그 당시에 이미 많은 경전도 있었고 사찰과 승려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달마 대사는

“부처님의 참된 의미는  사람 사람마다 자기 마음이 부처님이라 하는 것이고

그 마음을 보도록 가르친 것이 불교다. 그런데 부처의  뜻을 닦지 않았안다는 그 마음은
 
자기 마음인 부처를 보지 않고 경전이나 불상만 쳐다보고

자기 마음을 닦지 않았다면 부처님의 뜻을 위배하는 것이다”라고 말했거든요.

그 당시 사람들이 깜짝 놀랐죠. 저 사람이 불법을 전하러 왔다고 하면서

불교를 비방하는 사람이라고 중상모략 해서 나중에 독 사발을 받았어요.

말에 執着하지 않는 불립문자(不立文字)의 가르침을 설했던 분이 달마대사입니다.

 

 


經典이나 佛象에 執着하는 헛된 錯覺에서 벗어나 日常生活 中에
 
차 마실 때 차 마시고, 손님 대할 때 손님 대하는 것이 佛法이라는 말입니다.
 
一切處, 一切時에 日常生活을 해 나가되  다만 쓸데없는 生覺을하지 말아라.
 
쓸데없는 생각하다 보면 구름처럼 안개처럼 가리게 되니

제일 가까운 것이 안보입니다. 멀리 있는 것을 보려고 하지 말고 가장 가까운 것을 봤을 때

가장 먼 것과 일치가 됩니다.

 
여러분들은 사람의 고통이나 괴로움이 무엇인가 깊이 깊이 생각해 보십시오.

돈, 名譽, 權力이 苦痛의 原因 같지만 나중에 가서는 그게 아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自己 마음속에 일어나는 모든 感情이 괴로움의 原因입니다.
 
을 들으면 을 들은 대로 화가 나고 칭찬을 들으면 또 기분이 좋아지는
 
그런 感情에 사로잡혀 있다는 말입니다.

結局 자기 感情을 소화시키지 못해서 고통 받는 게 사람입니다.
 
感情을 消化시키는 것이 修行입니다.

 

 


그러면 感情消化시키기 위해 어떻게 해야 되겠어요?

결국 “부처님하고 중생이 똑같지만 衆生은 煩惱妄想이 많습니다.
 
그러므로 修道라고 하는 것은 마음속의 번뇌망상을 녹이기 위해서 하는 거 아닙니까”하고
 
결론짓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 말은 틀린 말은 아니지만 꼭 맞는 말은 아닙니다.

 

 


그 말대로라면 10년 전에 공부를 시작했다면 지금 煩惱妄商이 다 녹여져야 합니다.

그런데 그대로 있거든요. 왜 그럴까요? 그것은 智慧가 不足해서 그렇습니다.
 
뭘 모르고 하고 있다는 겁니다. 그럴 때 어떻게 해야 됩니까?
 
 
 
煩惱妄想이 있기 때문에 煩惱妄想을 녹여야 된다는 生覺이 잘못입니다.

煩惱妄想은 本來 없는 겁니다.저는 많은데요’ 하겠죠? 그것은 錯覺입니다.
 
어떤 사람이 물었습니다. “煩惱妄想에서 어떻게 하면 벗어나겠습니까?”

선지식이 껄껄 웃으며 “미친 놈아!”하거든요. 그러자 제자가 이렇게 묻습니다.

“번뇌망상이 많아 그 번뇌망상에서 벗어나고 싶다고 하는데 왜 미친 놈이라고 합니까?”

“없는 것을 있다고 하니 그러지. 虛空에 페인트칠을 해 봐라. 虛空에 아무리 칠한들 칠해지냐?”

 
 
이 比維에서 알 수 있듯 實際로 煩惱妄想이 없습니다.
 
그림자 살짝 비친 것(홀로그램)일 뿐인데, 그 그림자(幻影)에 사로잡히니까 문제입니다.

마치 호수에 비친 달을 붙잡겠다는 것과 같습니다.
 
이처럼 感情에 사로잡히면 現實/顯象이 안 보입니다.
 
現實을 볼 때 특별한 기술이 필요하나요?
 
기술이 필요 없죠.

생각에 사로잡혀 있다면 그 생각만 털어 버리면 됩니다.

단지, 놓치지 말고 現實바로 보라 이 말입니다.
 
 
우리는 몸은 現實에 있는데 머리 속엔 지나간 過去, 오지 않는 未來로 가득 차
 
''지금 여기 이 순간 현실'이 안 보입니다. 이렇게 슬픈 일이 어디 있어요?

먼 곳이라면 할 수 없지만 제일 가까운 자리를 못 보니 말입니다.
 
깨친 선지식에게 물어보면

“나는 가장 가까운 곳을 바로 봤다”고 합니다.
 
生覺하면 가려서 안보입니다. 生覺이 생사(生死)입니다.

화두는 “지금 여기 이 순간 을 바로 보아라”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온갖 생각을 하다보니, 목전(目前)의 이것이 안 보입니다.
 
처음엔 뭔가 나올까 싶어 눈감고 있어 보지만 아무리 찾아도 도저히 안나옵니다.

그래서 나중에는 기진맥진해 가지고 자기도 모르게 모든 생각에서 벗어날 때가 되었을 때,
 
그때 법당에서 덩~ 종치는 소리를 들었을 때, 아차 이제 보니 종소리구나 하게 되는 것입니다.

항상 종소리였는데 몰랐구나 하고 웃음이 나오게 됩니다.

 
두두물물(頭頭物物)이 다 佛法이고 眞理 그 自體라는 말입니다.
 
 宇宙의 原理를 몰랐을 때는 生覺에 사로잡혀 있었는데 이제 生覺에서 벗어났다는 겁니다.

그러니 生覺에서 벗어나서 밥할 때는 밥하는 모습, 일 할 때는 일하는 모습,

항상 그때그때 목전과 하나가 돼라 이 말입니다. 수행이라는 특별한 모습, 특별한 장소가 없습니다.

目前을 똑바로 直視하면서 10년을 한다면 10년 후에는 얼굴이 확 달라집니다.

생사해탈 해 버려요. 이게 거짓말이 아닙니다. 禪의 뜻이 이렇습니다.


지유 스님
가져온 곳 : 
블로그 >자안시중생(慈眼視重生)
|
글쓴이 : 태일(太一)| 원글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