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의원은 지난 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검찰총장이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직무유기 혐의를 수사하라’고 지시한 것은 ‘혜실(박근혜-최순실)게이트’에는 (우 전 수석이) 관여한 게 없으니 쓸데 없는 관여여부에 대해 수사하지 말라는 가이드라인”이라며 “검찰이 (우 수석의) 차은택 등과의 관계 등 혜실게이트 연관성에 대해서는 이참에 아예 손 떼고 특검에 맡기려는 듯하다”고 적었다. 조 의원은 지난 2일에는 ‘질긴 인연’이라는 제목의 글에서 “최순실 게이트 사건 곁에는 우 전 수석의 그림자가 어른거린다”며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의 변호를 맡은 ‘법무법인 담박’과 관련해 “담박의 대표 변호사 중 하나인 이득홍 전 고검장은 우 전 수석의 사촌동서”라고 밝혔다. 조 의원은 우 전 수석이 검찰에 출석한 지난 6일에는 서울 서초동 중앙지검 앞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우 전 수석은 최순실씨와 문고리 3인방, 핵심 세력들이 국정을 농단함에 있어 이를 말렸어야 하는데도 (국정 농단을) 만끽하고 과실을 공유했다”며 “우 전 수석의 청와대 PC·휴대전화 등을 분석하고 자택 압수수색과 계좌추적 등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 의원의 이같은 행보는 이례적이다. 그는 지난 9월 말 미르·K스포츠재단 의혹이 처음 제기된 이후로 한 달 넘게 공식석상에서 침묵했다. 최순실씨가 이탈리아 대사를 추천했는데 당시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이던 조 의원이 이를 반대해 무산됐다는 주장이 나왔을 때도 “공무상비밀누설죄에 해당될 수 있다”며 일체 대응하지 않았다.
동료 의원인 민주당 소속 한 중진 의원은 “사건이 수면 위로 떠오르기 전까지는 조 의원이 같은 당 의원들에게 이런 저런 얘기를 했었는데, 최근 (조 의원이) 침묵하자 당내에서 ‘사정을 제일 잘 알면서 왜 나서지 않느냐’는 얘기도 나왔다”며 “아무래도 이 문제는 전문가다 보니 지도부가 사건을 어떻게 대응할지 하는 ‘접근 가이드’를 조언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조 의원측 관계자는 “SNS상에 개인적 의견을 적었을 뿐 ‘청와대에서 근무할 때 경험한 것을 절대 언급하지 않겠다’고 한 방침은 변한 것이 없다”고 설명했다.
이지상 기자 ground@joongang.co.kr
'박근혜 정부 출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욕타임즈의 ‘팩트 폭행’ 박근혜 만평, 한국민을 부끄럽게 했다 (0) | 2016.11.08 |
---|---|
차은택 "제가 물의 일으켜드려 너무나 죄송하고 반성" (0) | 2016.11.08 |
입 연 최순실 "대통령이 먼저 부탁" (0) | 2016.11.08 |
단독] 최씨 친분 성형의 '순방 동행'..청와대 납품도 (0) | 2016.11.08 |
대구 여고생 자유발언 화제… "朴대통령이 문제의 근원" (0) | 2016.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