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들어서야 알게 되는 사실. 이것이 인생이구나.
어떤 면에서 인생은 등산과 비슷한 점이 많다. 산 아래에선 겨우 산 주변만 볼 수 있지만, 점점 정상을 향해 올라감이 따라 올라간 높이가 달라질 때마다 시야는 더 넓어지고 그만큼, 이전에는 보지 못했던 먼 곳까지 볼 수가 있다.인생 70을 넘으면 산의 7부 능선에 서는 것과 같고, 이어 8부 능선을 넘어 정상이 가까워지면 시야는 더 멀게 넓어진다. 나이든 사람들의 체험적인 지혜는 그래서 놀랍게 가치가 있고 소중하다. 산 아래에 있을 때는 알지도 못했고, 생각하지도 못했던 일들에 대해 깨달음이 오는 것이다. 그래서 나이 들면 그동안의 생각을 바꾸게 되는 게 많다. 나라는 것이 있다고 여겨서 믿는 착각, 즉 환상에 오는 내것이라는 것, 즉 아집과 내 생각만이 옳다는 고집을 버리게 되고 세상 이치에 순응하는 진지한 자세가 되는 게 그 때문이다.
20, 30대는 내가 중심이 되어 내 기준대로만 세상을 재단하지만, 나이가 들면 그게 크게 경솔 했던 짓임을 알게 된다. 그래서 세상에서는 나이가 들어야 비로서 알게되는 일들이 아주 많다. 그래서 마음을 텅~비우고 자세를 낮추면 더 많은 것을 보게 되고 깨닫게 된다.
나이 들어 가장 분명하게 깨닫게 되는 일중의 하나가 값(price)과 가치(value)를 다르게 볼 줄 알게 되는 점이다. 사람들 대부분은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값=돈을 위해 써오고 있다. 사실 현실세상이라는 일상을 살려면 돈=경제력은 필요하다. 그런데 나이 들어 문득 생각해 보면 결코 돈만이 인생의 전부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값은 물건을 사고 팔 때 주고받는 돈이다.
값은 육신의 일상이지만, 가치는 내 인생의 의미라고 할 수 있다. 나이 들면 누구나 살아온 길을 되돌아보게 되고 남은 여생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한다. 값만을 위한 인생과 가치만을 위한 인생은 없다. 두 가지는 늘 같이 있는것 이지만 인생을 어떻게 살아왔는가의 결판은 가치에 있는 게 사실이다. 값에 탐닉할수록 가치는 엷어진다. 그리고 가치를 찾을수 없는 인생은 허망함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이 인간답게 사는데 있어 교육은 절대적이다. 인간이 인간답게 산다는 것은 태생적 본능을 스스로 조절하는 능력을 키운다는데 있다는 의미다. 그 능력은 교육에 의해 길러지는 것이기도 하다. 도덕, 윤리가 그런 덕목들이다. 언제나 인성교육이 강조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사람은 나이를 먹으면 정말 자유로워지는 사람이 있다. 이때의 자유는, 남과 나를 비교하는 일에서의 자유다. 어릴 때나 젊었을 때는 늘 남과 나를 비교하고 시샘하고 질투 하게 된다. 사실 그런 심리는 긍정적인 면도 있다. 자기발전을 위해 분발하고 더 노력하는 순기능도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비교는 스트레스이고 무거운 짐이다. 나이 들면 그 비교가 사라진다
단, 그러기 위해서는 속에 ‘내 중심’ 을 분명히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인생관이라 해도 좋고, 자기철학이라고 해도 좋다. 남과의 비교에서 해방되면 비로서 자기가 행복하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특히 물질적인 것들의 비교에서 더 그렇다. 더 가졌다는 것은 ‘편리함’이지 행복 그 자체는 아니다. 왜냐하면 행복은 추상적 주관적 느낌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음악을 들으면서 느끼는 행복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재산과는 전혀 무관하기 때문이다. 이 사실을 알고 나면 더 자유롭다. 나이 들어 좋은 점 중 이만한 것도 많지 않다. 노년에 받는 큰 선물이기도 하다.
노년건강이 중요하다는 것은 모두가 너무나 잘 알고 있는 사실이다. 그런데 실제로 노년을 살아보면 건강 이 문제는 생각보다 더 심각하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건강을 잃으면 다 잃는 것이다. 그건 정말이다. 모든 것을 다 갖추고 있다 해도 건강을 잃으면 그것들이 아무 소용도 없다. 긴병에 효자 없다는 말은 사실이다. 특히 나이 들어 병이 깊어지고 길어지면 가족에게도 큰 짐이 된다. 본인의 괴로움이야 더 말해 무엇 하겠는가.
사람들은 건강관리와 병 치료를 혼동하고 있다. 병 치료는 글자그대로 병이 난것을 치료하는 것이다. 건강관리는 평소 ‘건강한 상태’ 를 유지, 관리하는 것이다. 노년의 건강은 젊어서 부터의 연장이다. 따라서 건강관리는 젊었을 때, 건강할 때부터 시작 하는 게 옳다. 노인들의 70%이상이 한 가지 이상의 지병이 있다는 사실에 유의해야 한다. 몸은 비록 늙어 노쇠해진다 해도 그 기본에서 건강하면 그게 바로 행복이다. 노년건강이 다른 모든 것보다 우선이라는 사실은 전혀 변함이 없다.
주변을 살펴보면 뜻밖에 어리석은 노인들이 많다. 판단을 잘못했기 때문에 그 노년이 비참해진 경우가 그렇다. 나이 들어 돈 없으면 죽은 목숨이다. 이건 틀림없는 사실이다. 경험자들이 쏟아낸 아픈 절규이기도 하다. 현역이었을 때의 재산을 기준 한다면 그 노년에 큰 문제는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어리석은 이 늙은이들이 자식 뒷바라지 한다고 학비 대주고, 용돈 주고, 결혼비용까지 대 주다보니 정작 자기들은 알거지가 된 것이다.
그렇게 키운 자식들은 대부분이 한 결 같이 부모에 대해서는 나 몰 라라다. 잘해준 자식일수록 전화도 안한다. 그게 지금의 험악하고 사악한 세상이다. 이게 모두 남의 얘기일까, 어느 날 알거지가 된 자기를 발견하는 건 이제 아주 흔한 일임을 명심해야 된다. 늙어 빈손이 되면 달리 방법이 없다. 그렇게 허우적거리다 쪽방에 누워있는 하나의 구(具)가 되는 것이다. 나이를 먹으니 이상하게도 주변에서 그런 어리석고 불쌍한 늙은이들을 많이 보게 된다.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노년에서 가장 무서운 적은 물질적으로는 ‘돈 없음’ 이지만, 내용적으로 가장 큰 적은 무료(無聊)다. 무료는 재미있는 일이 없어 심심하고 지루한 것이다. 무료는 노인들을 더 빨리 늙게 하고 지치게 한다. 노인정에 나가고, 공원 벤치에 앉아 시간을 보내고, 전철을 타고 돌아다녀도 없어지지 않는게 바로 이 무료함이다. 그런 방법으로는 무료함을 극복할 수 없다. 어느 날 저녁시간, 가까이에 있는 공원에 산책을 나갔는데, 어디에선가 팬파이프의 아코디언 소리가 들려왔다. 가까이 가 보니 노인 한분이 가로등이 비치는 나뭇가지에 악보를 걸어놓고 연습하고 있었다. 얼마나 연습에 몰두했던지 사람이 가까이 가는 것도 모를 정도였다.
이것도 무료를 스스로 극복하는 케이스의 하나일 것이다. 사실, 나이 들어 무엇인가를 새로 시작 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그래서 미리미리 뭔가를 시작, 대비해야 된다. 마음에 드는 아름다운 곡을 악기로 연주하면서 느끼는 행복은 돈으로는 절대 살수 없는 것이다. 노년이 주는 선물인 것이다.
인간은 나이가 들면 비로서 보이는 세상만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물론 그렇지 못한 노년도 많다. 보이는 것들은 보이지 않는 것들의 표상이다. 젊었을 땐 그걸 알아보는 눈이 없다. 지금의 나를 지탱해 주고 있는 건 보이는 것들이 아니다. 보이지 않는 ‘내용’ 이 나를 존재하게 하는 것이다. 보이는 것들은 닳아서 없어지지만, 보이지 않는 것들은 그래서 영원하다. 사색, 이념, 자기철학, 이데올로기, 종교, 마음공부가 모두 보이지 않는 세계다.
지금 세대는 모두가 오직 보이는 것을 얻기 위해 무섭게 질주하고 있다. 속도는 반드시 깊이를 잠식한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속도와 편리함에 함몰된 인생은 나이 들었을 때, 자기를 안에서 지탱해 줄 정신적 지주를 가지기가 어렵다. 겉은 멀쩡해도 그 속은 텅 빈, 깡통인생은 널려있다. 그 정신이 살아있는 노인들은 행동도 민첩하다. 스스로, 안팎으로 자기를 계속 연마하기 때문이다.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균형을 잡을 줄 아는 현명한 노인들이 바로 그들이다
인간은 누구나 결국은 혼자다. 그래서 ‘고독연습’ 이 필요하다. 혼자 있을 때 강한 사람이 정말 강한사람이다 나이 들면 혼자인 시간이 많아진다. 근력이 달려 출입이 어려워지고 친구들도 하나 둘 떠나고 나면 혼자 남는 것이다. 진정한 의미에서 한 인간의 인간적 성패는 그때 결판난다. 혼자임을 견디지 못하면 진 것이다. 그러나 혼자일 때 더 정진 할 수 있다면 이긴 것이다. 그래서 혼자 일 때 나’를 받쳐줄 내용들을 단단히 만들어 놔야 한다. 대표적인 것들이 책, 음악, 취미생활이다. 악기를 연주하고, 글을 쓰고, 공부하고, 운동만 꾸준히 할 수 있어도 고독은 오히려 좋은 친구가 된다.
혼자 있는 시간, 누구로부터의 간섭이 없는 그 조용한 시간을 오히려 내면의 나를 위해 적극적으로 사용 할 수 있다면 고독은 감사의 대상인 것이다. 지금의 나는 오히려 고독을 즐기는 편이다. 음악을 크게 들을 수 있고, 영화도 마음껏 감상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거듭 말 하지만 인간은 결국 누구나 혼자가 된다. 이 사실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준비한다면, 충분히 극복 할 수 있다. 그래서 ‘고독연습’ 이 필요하다. 무상(無常)이라는 말이 있다. 이 세상 모든 것은 고정불변하는 실체로 있는 것이 아니라 매 순간순간 쉬지않거 변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무상을 덧없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인생이 무상하다는 말은 인생이 허무하다는 말이 아니다. 나이가 들기 전에는 인생무상 그 의미를 깨달아 알기 어렵다. 그러나 나이를 먹으면서 그 깊은 의미를 알게 된다. 불가(佛家)의 큰 가르침중 하나가 ‘집착’하지 말라는 것이다. 하루에도 수만가지 올라오는 온갖 분별 망상 번뇌가 집착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노욕(老慾)은 그래서 독이다. 허무주의에 빠지자는 얘기가 아니라 지금의 집착이 큰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는 얘기다. 왜 인생은 무상 한가 그 답은, 형성된 모든 것은 결국은 무너지게 되어있기 때문이다. 이 세상에 숨이 끊어지고 육체가 무너지는 죽음보다 더 공평한 게 달리 있겠는가. 죽음은 모든 것을 내려놓고 떠나는 길이다.
죽은 이를 염하는 것을 보면 입고 가는 수의 한 벌에 주머니가 없다. 전부 다 두고 간다는 얘기다. 그래서 생사는 하늘의 섭리라고 한다. 우리들의 악은 영원히 살 것처럼 집착하고 교만해지는데 있다. 결국은 나도 죽는다는 사실을 받아들인다면 사는 방법도 달라질 것이다. 그래서 매일 매일을 매 순간순간을 충실하게 더 진지하게, 착하게, 인간답게 살아가야 한다.
-넷닷컴, 이것이 인생이다 중에서-
긴 내용이지만 애써 읽어보니 잔잔한 감동입니다. 아직 젊은 사람은 앞으로 살아가는데 있어서 큰 도움이 될것이고.. 나이든 사람은 현실에 적응해 나가는데 지혜롭게 대처해 갈 수 있는 아주 중요한 자료인 듯 합니다. (저에게 온 메일에서 옮겨 왔습니다.) 2018년 05월 07일 존친구...
'삶의 향기 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이 있는 곳 (0) | 2018.05.14 |
---|---|
잘 죽는 법과 잘 사는 법 (0) | 2018.05.10 |
소나무에 핀 카네이션 (0) | 2018.05.08 |
바로 지금 이 순간이 특별한 때이다 (0) | 2018.05.07 |
마음의 종이 되지는 말자 (0) | 2018.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