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헛것을 따라다니다’ - - 김형영
" 나는 내가 누군지 모르고 산다
내가 꽃인데
꽃을 찾아다니는가 하면
내가 바람인데
한 발짝도 나를 떠나지 못하고
스스로 울안에 갇혀 산다.
내가 만물과 함께 주인인데
이리 기웃 저리 기웃
한평생도 모자란듯 기웃거리다가
나를 바로 보지 못하고
나는 나를 떠나 떠돌아다닌다.
내가 나무이고
내가 꽃이고
끝내 나는 내가 누군지도 모르고
헛것을 따라다니다가
그만 헛것이 되어 떠돌아다닌다.
나 없는 내가 되어 떠돌아다닌다. "
이 세상 모든 것, 우주삼라만상만물이 본래 이미 완전한 부처(깨달음, 道, 부처)인데, 사람들은 자기 자신이 부처인 줄을 모르고 스스로 평생 동안 어리석은 바로로 살다가 죽는다. 불교의 목적은 “중생의 마음 속에 이미 부처(깨달음)의 성품과 덕성을 모두 갖추고 있으니, 그 깨달음의 성품과 덕성을을 깨우쳐서 부처(깨달은 사람)으로 살자”는 것이다. 이렇게 사는 삶이 마음공부 하는 사람들의 수행이자 삶이다.
이 세상의 주인공이 평생을 나그네로 떠돌며 살다가 생을 마감한다. ‘법화경’의 ‘신해품’에 ‘장자와 궁자 이야기’가 나온다. 어리석고 용렬한 아들은 어릴 때 집을 떠나 고아로 살아서 부자 아버지를 보고도 아버지를 알아보지 못한다. 아버지가 죽으면서 아들의 손을 잡고 80년 전에 잃어버린 아들이 바로 너라고 밝힌 후에야 자신이 부자 아버지(부처)의 아들임을 믿고 깨닫는다.
어리석은 중생은 경전에서 아무리 “중생이 부처이다. 중생의 마음이 부처의 마음이다. 마음이 부처이다”하고 강조해도 이해하지 못한다. 어찌 중생이 중생이지 부처냐고 거부하는 마음을 낸다. 올챙이가 자라서 개구리가 되듯이, 큰 바위 얼굴의 형상을 마음속에 품고 살아간 어니스트가 자라서 큰 바위 얼굴이 되듯이 중생이 변하여 부처가 된다.
김형영(1945~현재) 시인의 시(詩) ‘헛것을 따라다니다’는 작품은 자기 자신이 꽃이고, 나무이고, 바람이고, 만물의 주인이면서도 자신이 누군지도 모르고 ‘가짜 헛것만 따라 살아가고 있는 자가 자신의 어리석음을 읊은 시이다. 자기 자신이 부처이면서도 부처인줄 모르고 미혹한 중생으로 살아가는 어리석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 세상의 주인공으로 모든 공덕을 구족(具足)하였음에도 자신의 보배구슬은 보지 않고 남의 집 보배를 찾아 떠돌아다닌다. 헛것을 찾아다닌다. 헛것은 실체가 없는 허깨비, 환상, 그림자이다. 텅~빈 허공(하늘)에 핀 꽃을 찾아 떠돌아다니는 것이 사람들의 인생, 삶, 세상이다.
이 시는 ‘헛것을 따라다닌다’는 말은 ‘금강경’에서 말하는 ‘허깨비를 좇는 무상한 인생’,이라 말하고 ‘화엄경에서는 ‘이 세상 모든 것이 부처다’라는 사상을 일반인들이 알기 쉽고 요령 있게 읊은 격조 있는 불교시이다.
내가 고정된 실체가 없는 헛것을 찾아 방황했다. 본래 없는 신(神, God)을 만들어놓고 그것에 내 평생을 의지하고, 그신(神)의 매개역할을 하는 사람들의 노예가 되어 살아가는 사람이 있다. 그런 사람들은 종국에는 없는 신(神)인 줄 알고서도 신(神)이 실제로 있는 것으로 착각(錯覺)하고 믿고 의지하면서 사는 사람이 있다.
김형형 시인은 “이리 기웃/ 저리 기웃/ 한 평생도 모자란듯 기웃거리다가/ 나를 바로 보지 못하고/ 나는 나를 떠나 떠돌아다닌다”고 말하듯이 사람들은 보통 허상(虛像)에 홀려 환상(幻想)과 그림자(幻影)만 쫓아다니는 어리석은 사람을 자기 자신에 빗대어 읊고 있다.
자신이 이 세상의 주인공이 되어 멋지고 고유한 삶을 살지 못하고, 다른 사람이 만들어 놓은 이데올로기(理想), 허깨비, 꿈, 신기루를 쫒아서 사는 인생, 남이 씹다 버린 찌꺼기 껌 인생을 살고 있는 중생을 향하여 할(喝) 같은 법문을 설파하고 있다.
기해년(己亥年) 설날 아침이다. 아침 해처럼 깨어나자.
김형중 동대부여고 교장·문학박사 ililsihoil1026@hanmail.net
[1476 / 2019년 2월 6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출처 : 법보신문(http://www.beopbo.com)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 씀씀이(用心) (0) | 2019.02.18 |
---|---|
우주합일 이라는 착각(錯覺) (0) | 2019.02.18 |
진정으로 자기를 사랑하는 사람 (0) | 2019.02.17 |
가장 큰 신비(神秘) (0) | 2019.02.17 |
분별 망상 번뇌가 깨달음이다 (0) | 2019.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