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6. 정견(正見)의 일상적 실천(1)

6. 정견(正見)의 일상적 실천(1) 자기 경험과 지식을 확신(確信)하는 순간 바른 판단 어려워 바른 판단 방해하는 요소는 탐·진·치이지만 더 근본 장애는 ‘앎’ 확신은 고정관념에 갇힌 주관적 믿음…객관적 확실함과는 달라 소크라테스 “너 자신을 알라”와 유교 전통 ‘자절사’도 같은 맥락 사르나트에서 첫 설법을 하는 부처님, 인도 날란다, 11세기.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MZ세대 한 작가는 “인간으로 태어나 소비자로 자랐다”는 탄식으로 오늘날 소비지상의 세상에서 주체적 인간으로 살아가기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인간으로 태어났지만 ‘인간답게’ 산다는 것은 어렵다는 의미일 것이다. 마찬가지로 불교인이 되기는 쉬우나 불교적으로 살아가는 것은 어렵다. 불교인이 되는 것은 나의 선택이지만, 어떻게 사는 것이 ‘..

배가 부르지 않은 까닭은

배가 부르지 않은 까닭은 비록 법문을 많이 들었다 해도 만약 수행하지 않으면 듣지 않은 것과 같다. 그것은 마치 음식 이야기를 하더라도 끝내 먹지 않으면 배가 부르지 않은 것과 같다. 雖有多聞 若不修行 與不聞等 如人說食 終不能飽 수유다문 약불수행 여불문등 여인설식 종불능포 『능엄경』 많이 들어 많이 아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앎은 실천을 전제로 한다. 그래서 지혜로써 올바로 알아야 함을 상징하는 문수보살에게는 언제나 실천을 상징하는 보현보살이 함께 따른다. 두분 보살이 짝을 이루는 까닭은 아는 것과 실천의 조화를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불교는 항상 들은 것을 실천하는 것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아는 것에만 만족하지 않는다. 또한 실천이 없는 앎은 모르는 것과 같다고 한다. 마치 아무리 밥에 대해 이야기하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