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bh.com.ne.kr/images/9-1-1-3-5.gif)
![](http://cbh.com.ne.kr/images/9-1-1-3-5.gif)
![](http://cbh.com.ne.kr/images/line-4-3.gif)
몸에 좋은 식용 꽃… 붉은 계열 꽃 항산화 성분
유채꽃 비타민·칼슘 풍부… 육류와 먹으면 느끼함 덜어
채소, 과일보다 세포 노화를 늦추는 항산화 성분이 10~100배 이상 많아 최근 건강식품으로 떠오르고 있다. |
◆화려한 원색 꽃, 노화방지에 좋아
상당수 먹는 꽃에는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등 체내 세포의 노화를 늦추는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다. 유은하 농촌진흥청 도시농업연구팀 박사팀이 식용 꽃 35종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채소나 과일에 비해 평균 10~100배 정도 많았다. 폴리페놀 성분은 임파첸스꽃 (1g당 232㎎)이 가장 많았고 이어 제라늄꽃(109㎎) 베고니아꽃(78㎎) 순으로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헬리오트로프꽃(72㎎) 토레니아꽃(43㎎) 프리뮬라꽃(37㎎) 순서였다. 유 박사는 "붉은 계열의 꽃에 항산화 성분이 가장 풍부했고 푸른색 흰색 노란색 꽃이 뒤따랐다"고 말했다.
오순덕 서정대학 식품영양과 교수는 "노란 호박꽃은 노인성 안질환인 황반변성을 막아 주는 루테인 성분이 풍부하다"며 "이뇨작용도 있어 임산부의 부기를 빼는 데도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
맵고 쌉쌀한 유채꽃은 비타민A·B·C와 칼슘 철분 등이 풍부해 면역력 강화, 골다공증·빈혈 예방에 효과를 보인다. 유채꽃을 봄나물과 함께 무쳐 먹거나 김치를 담가 먹으면 아삭아삭 씹히는 느낌이 좋고 향긋하다.
1위 임파첸스, 2위 제라늄, 3위 베고니아. / 농촌진흥청 제공 |
꽃술에는 알레르기 성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요리하기 전 흐르는 물에 씻어서 제거해야 한다. 꽃잎을 가열하면 항산화 성분이 파괴되기 때문에 생으로 먹는 것이 가장 좋다. 가열할 경우, 꽃잎은 얇고 약해 오래 익히면 색과 향이 사라지므로 요리를 거의 완성한 후 불을 끄기 직전에 넣어야 한다.
꽃과 가장 잘 어울리는 음식은 육류다. 유 박사는 "꽃은 신맛 쌉쌀한 맛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육류와 함께 먹으면 고기의 느끼한 맛을 덜어 준다"며 "또 꽃의 항산화 성분이 육류의 지방 성분이 산화(酸化)하는 것을 억제해 준다"고 말했다.
1위 헬리오트로프, 2위 토레니아, 3위 프리뮬라. / 농촌진흥청 제공 |
하지만 독성이 있는 꽃도 적지 않으므로 아무 꽃이나 먹으면 안된다. 두인선 광동한방병원 로하티센터 원장은 "진달래는 고혈압에 효능이 있는 식용 꽃이지만 생김새가 비슷한 철쭉은 독성이 강하므로 절대 먹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애기똥풀꽃 동의나물꽃 삿갓나물꽃 꿩의바람꽃 은방울꽃 등도 식용으로 쓸 수 없는 꽃이다.
진달래 봉선화는 약한 독성이 있지만 꽃잎 몇 장을 샐러드로 만들어 먹거나 술을 담가 하루에 한 잔 정도 마시는 것 정도는 괜찮다.
출처 : 불교인드라망
글쓴이 : 日花 원글보기
메모 :
'프로슈머,건강정보,소비자의 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당뇨병-쑥뜸 뜨면 극복된다 (0) | 2010.05.28 |
---|---|
[스크랩] 千壽의 秘訣 [천수의 비결] (0) | 2010.05.28 |
[스크랩] 단 1회 복용^ 평생 중풍 뚝^^ (0) | 2010.05.28 |
[스크랩] 뱃속만 따뜻해도 100세는 산다. (0) | 2010.05.28 |
[스크랩] 인디언의 지혜-One Spirit / 세계일화[世界一花] (0) | 2010.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