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moktaksori.org/data/cheditor4/1106/1h4CeLXEP8j3YmRVxYl9.jpg)
![](http://www.moktaksori.org/data/cheditor4/1106/sXd77ccBHvKrb7Pxn9zKffGVWlaKKe.jpg)
[불영사]
마음은 물질이 아니기 때문에 있다고 말할 수 없다.
마음은 쉴 새 없이 활동하고 있으니 없다고 말할 수도 없다.
우리가 바쁘게 마음을 쓰고 있지만 마음은 항상 텅비어 있으니 있다고 말 할 수도 없다.
그렇지만 우리의 마음이 텅 비어 있으나 항상 쓰고 있으니 우리에게 마음이 없다고 말할 수도 없다.
우리의 마음은 있는 것도 없는 것도 아니다.
[아함경]
우리 마음의 실체를 올바로 알아야 한다. 올바로 알아야 올바로 다스릴 수 있고, 마음의 놀음에 놀아나지 않을 수 있으며, 나아가 그 본성을 깨달을 수 있다.
이렇게 항상 마음을 내며 늘상 쓰고는 있지만 도대체 마음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겠는가. 마음을 쓰는 작용을 마음이라고 하더라도 어떻게 쓰여진 마음을 내 마음이라고 딱 잡아 말할 수 있는가.
마음이란 항상 변하게 마련이다. 인연따라 항상 변하는 것이 마음의 실체이다. 선한 마음으로 딱 정해진 바도 없으며, 악한 마음으로 정해진 바도 없다.
인연따라 어떤 때는 선했다가 또 어떤 때는 악했다가 실체없이 반복될 뿐이다.
그러니 마음의 실체는 없다. 그러나 없다고 하면 이렇게 쓰고 있는 이 마음은 무엇이냐고 반문한다.
그 마음은 다만 인연의 모임일 뿐이다. 인연따라 마음을 내는 것 뿐이다. 인연이 다하면 마음도 멸하므로 인연따라 잠시 모여진 것을 보고 마음이라 이름붙일 수는 있겠지만 그 실체는 텅 비어 공한 것일 뿐이다.
이렇게 우리가 항상 내고 있는 이 마음을 우리는 ‘나’ ‘내 마음’ 하고 집착하고 있지만 사실은 실체없이 인연따라 오고가는 것일 뿐, 그것이 나는 아니다.
그러니 나에도, 내 마음에도 집착할 바가 없다. 집착하지 않으면 자유롭다. 나에도, 내 마음에도 집착하지 않으면 해탈을 얻는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