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나!!!

장백산-1 2012. 7. 2. 09:08

 

 

 

부처님은 어떻게 살라고 하셨는가?

부처님은 어떻게 살라고 하셨는가?
불어오는 바람을 움켜잡고 흘러가는 물을 멈추게 할 수는 있을지언정, 歲月을 붙잡을 수는 없습니다. 올해도 벌써 반 가까이 지나갔습니다. 우리가 한 世上을 산다고 하지만, 하루하루가 지나 한 달이 되고, 한달 두달이 쌓여서 1년이 되며, 1년씩 흘려보내다 보면 문득 한 世上이 막을 내립니다. 한 번 손 끝으로 헤아려 보십시오. ‘나'의 나이가 얼마인지를? 그리고 어디쯤에 와 있는지를? 하지만 지금, 어느 누구도 이것을 문제로 삼는 이는 드뭅니다.
과연 우리의 머리에서 떠나지 않는 生覺은 무엇일까요? 나이 일까요? 아닙니다. 부처님일까요? 아닙니다. 眞理일까요? 아닙니다. ‘幸福하게 잘 살아야지’ 바로 이 生覺뿐입니다. 어떻게 하면 고생 덜하고 행복하게 살 것인가? 아들딸 좋은 학교에 보내고 좋은 직장에 취직 시킬 것인가? 關心은 오로지 나의 幸福과 가족의 幸福으로 모아집니다. 幸福해지기를 바라는 마음, 잘 되기를 바라는 마음, 그 마음은 限定이 없습니다. 높고 크기로는 한라산이나 지리산 보다 더 크고, 넓기로는 동해바다보다 더 넓습니다.
그러나 내가 幸福해지고 내 家族이 잘 되려면 ‘나'가 무엇인지?. 어느 자리에 와 있는지부터 잘 알아야 할 것이 아닙니까? 가만히 돌이켜 보십시오. 내가 지금 어떠한 地点에 와 있는지? 내가 앉아 있는 자리가 어떠한 자리인지? 지금의 내가 어떠한 나인지? 도대체 나는 무엇을 生覺하며 사는 사람인지? 얕은 欲心을 부리며 사는 사람인지? 깊이 있게 幸福을 求하는 사람인지? 등을 곰곰이 돌아보십시오.
나”라는 存在를 제대로 아는 이는 참으로 드뭅니다. 누구에게 물어보아도‘나’에 대해 말해 주는 이는 극히 드뭅니다. 그럼 나는‘나'를 알까요? 모두가 나를 위해 살고, 잔뜩 힘을 주어 “나, 나”하면서 큰소리를 치고는 있지만, ‘진짜 나에 대해 말해 보라’고 하면 입을 꽉 다문 채 벙어리가 되고 맙니다. 어떤 이는 말할 것입니다. “나요? 내가 왜 나를 몰라요? 잘 알지요.” 그러나 부모가 지어준 이름이며 생년월일 등, 外形的인 事項들만 열심히 늘어 놓을 뿐, 진짜 나에 대한 설명은 잘 하지를 못합니다. 이렇듯 나도 잘 모르고 내가 있는 자리도 잘 모르는데, 어떻게 ‘나의 행복’을 가꾸고 그 행복을 이루어 낼 수 있겠습니까?
적어도 지금의 ‘나’와 지금 내가 살아가고 있는 모습을 잘 點檢할 줄 모르면 참된 幸福은 나에게로 다가오지 않습니다. 산보다 높고 바다보다 넓은 野望이 있다한들, 그 野望은 나를 힘들게만 만들 뿐입니다. 과연 어떻게 하여야 하루하루를 헛되지 않게, 安樂하게 살 수 있는 것일까요? 오늘을 잘 다듬으며 살아야 가능합니다. 오늘을 알뜰하게 다듬는 노력이 있어야만 내일을 바람직하게 살 수 있습니다. 오늘 하루를 제대로 다듬는 노력이 없으면 한평생이 막막해집니다. 물론 살다가 보면 방향을 잃고 표류할 때가 가끔씩 있습니다. 이것이 누구 탓입니까? 내탓입니다.‘나’를 버리고 누가 있습니까? 또 方向을 잃고 漂流할 그 때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당연히 갈 길을 잃어버린‘나’를 꾸짖고,精神을 차려 길을 찾고자 노력해야 합니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나’에게 責任을 돌리기보다는, 남을 탓하고 주변을 怨望합니다. 살아온 環境을 원망하고 여기저기에 핑계를 대면서, 이런 저런 生覺만 굴리다가 주저앉아 버립니다. 그리하여 더 큰 不幸의 수렁 속에 빠져듭니다. 내 탓인데 주저앉아 있으면 어떡합니까? 危機를 벗어날 生覺은 않고 근심걱정에 빠져만 있으면 누가 求해줍니까? 이러한 때가 찾아들면 스스로 勇氣를 불러 일으켜야 합니다. 勇氣를 불러 일으켜야 氣運이 생겨나고 지금의 수렁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물론 살다보면 근심걱정은 늘 생겨나기 마련입니다. 업보중생이니 어쩔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날마다 달마다 해마다 근심걱정에 잠기고 불안 속에 빠져 살아서야 되겠습니까? 어지간한 근심걱정은 모두 내려놓고, 지금 이 자리에서 해야 할 바를 잘 實踐하며 살 줄 알아야 합니다. 日常의 意識을 바꾸어 나에 대한 執着을 조금씩 비우고, 나에게 찾아든 근심걱정 등을 자꾸자꾸 내려놓고자 하십시오. 意識이 깨어나고 意識이 바뀌어야 삶에 變化가 옵니다.
부처님의 가르침, 불교가 무엇입니까? ‘나’곧 나의 참된 人間性을 回復하도록 깨우치는 종교입니다. 부처님은 그 길을 보이신 분입니다. 부처님께서는 人間이 마땅히 가야 할 길을 발견하여 그 길을 사람들에게 傳하신 분입니다. 그 길을 다듬어 모든 사람들이 갈 수 있게 하신 분입니다. 人間 精神의 荒無地에서 貪慾을 갈아엎고 성냄을 잠재우고 어리석음을 뽑아내어, 씨뿌릴 준비를 마칠 수 있도록 하신 분입니다. 물론 이 황폐한 大地를 耕作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비와 햇볕과 거름도 필요하고 제초작업도 해주어야 합니다. 人間 精神의 耕作도 마찬가지입니다. 하루하루 일상 속에서 스스로를 지켜보면서, 不必要한 근심걱정을 내려놓고 나를 向上시키는, 선하고도 바람직한 일들을 오늘 이 자리에서 해나가야 합니다. 결코 나에게 맞고 좋은 것만 하려고 해서는 안 됩니다. 싫든 좋든 오늘을 기꺼이 맞이하여, 이 자리에서 해야 할 일들을 하면서 살아야 합니다.
이제 곧 무더운 여름이 됩니다. 덥기 때문에 견디기가 힘들고, 덥기 때문에 活動하는 것이 便安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 무더위가 없어 보십시오. 우선 쌀밥을 먹지 못합니다. 여러 가지 곡식이며 과일이며 채소 등을 먹을 수 없습니다. 덥고 비가 많은 여름 덕분에, 生存에 必要한 곡식 등을 잘 재배 할 수 있습니다. 그 더운 땡볕을 利用하지 않으면 結實은 있을 수 없습니다. 反對로 더위가 싫다고 게을리 살면 어떻게 됩니까? 논밭은 잡초에 지배당하여 황폐해져 버리고, 수확은 아득해져 버립니다.
그러므로 여름의 더위를 고맙게 生覺하여 잘 받아들이고 잘 活用해야 합니다. 그래야만 수확이 있고 성공이 있고 겨울이 편안해 집니다. 더운 여름만이 아닙니다. 신선한 가을도 필요하고, 따스한 봄과 추운 겨울도 필요합니다 . 이 모두가 있어야 이 地球가, 이 自然이, 이 人間의 世界가 健全해 집니다. 우리 人生에도 봄, 여름, 가을, 겨울이 있습니다. 그리고 사람마다 좋아하고 싫어하는 季節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봄, 여름, 가을, 겨울은 어느 것 하나, 거부하거나 버릴 수는 없는 것입니다. 봄, 여름, 가을, 겨울 중 어느 계절에도 執着해서는 안 되지만, 그 계절마다 取해야 할 것은 분명히 取해야 하고, 그 계절에 해야 할 것은 분명히 해야 합니다. 왜? 봄, 여름, 가을, 겨울과 人間은 늘 함께 해야할 因緣關係에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봄에는 따스한 氣運으로 모든 것을 所生시키고, 여름에는 땀을 흘리고, 가을에는 豊饒로움과 新鮮함을 누릴 줄 알아야 하며, 삭막한 겨울에는 쉴 줄 알아야 합니다.
이렇게 사는 것이 바로 부처님께서 가르치신 般若의 實踐입니다. 깊이 있게 반야를 實踐하여 바라밀에 이르는 ‘행심반야바라밀(行深般若波羅蜜)의 삶입니다. 般若의 實踐, 智慧롭게 사는 것은 결코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우리의 生覺을 알뜰하게, 간절하게, 성실하게, 깊이 있게 가꾸면 智慧롭게 살 수 있습니다. 반야바라밀을 성취하기 위해서 지금 우리에게 꼭 必要한 것은 ‘제대로 努力해 보겠다’는 意志입니다. 바꾸어 말하면 ‘내가 나를 밝은 쪽으로 가꾸어 나가겠다’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우리에게 강조하신 가르침은 행심반야바라밀이요 극락의 삶입니다.
반야바라밀을 깊이 있게 實踐하여 극락 같은 삶을 이루기 위해서는 내가 나를 가꾸어 나가야 합니다. 밝은 쪽으로 가꾸어 나가야 합니다. 조금 덥고 조금 춥다고 하여 나태해지거나 움츠러 들어서도 아니 되고, 조금 배가 고프다고 하여 허겁지겁 살아서도 안 됩니다. 오히려 이 世上은 춥기도 하고 덥기도 하고 배부를 때도 있고 배고플 때도 있는 곳이라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世上이 이러한 곳일진대, 싫어한들 별 수가 있겠습니까? 싫은 그 속에서 잘 해야 합니다.
내가 나를 잘 다루고 지키고 밝은 쪽으로 가꾸어 나가면서, 적절하게 대처하면 됩니다. 내가 나를 적절하게 다루고 지키고 가꾸어 나가는 것. 이것이 행심반야바라밀입니다. 내가 나와 내 주위를 깊이 있게 들여다 보고, 나와 남을 적절하게 다루고 지키고 가꾸면서 함께 살리는 삶은 사는 것. 이것이 극락 같은 삶이요 행심반야바라밀의 삶입니다.
요즘 많은 불자들이 祈禱를 합니다. 왜 기도를 합니까? 極樂 같은 삶을 이루고자 함입니다. 이 때 적절한 願을 세워 바른 方法으로 기도를 하면 기도 성취가 되지 않을 까닭이 없습니다. 그런데 慾心으로 기도를 하거나 요행을 바라고 기도를 하면 절대로 그 기도는 성취되지 않습니다. 욕심과 요행수를 떠나 알뜰하고 성실하게 깊이 있는 마음으로 기도하면 반드시 이루어집니다. 왜? 알뜰하고 성실하고 깊이 있는 이 마음 姿勢가 바로 진짜 기도요, 내가 알뜰하고 성실하고 깊이 있게 行하는 그 기도 자체가 바로 나를 밝은 쪽으로 나아가게 하는 행심반야바라밀, 곧 깊은 반야바라밀의 實踐 方法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진짜 幸福을 바란다면 나와 가족과 이웃을 向해 虛慾과 執着을 버리고 늘 행심반야바라밀로 임하십시오. 알뜰하고 성실하고 깊이 있게 임하십시오. 이렇게 살면 모든 것이 다 원만하게 解決됩니다.
실로 불자의 祈禱는 ‘나’의 그릇된 執着을 벗어버리는 기도로부터 始作되어야 합니다 . 그릇된 執着이라 함은 ‘나’의 虛慾입니다. 가령 家族을 向한 虛慾을 例를 들면 子息에 대한 그릇된 慾心, 내 자식이기 때문에 갖게 되는 그릇된 執着과 期代心理 등입니다. 이것부터 놓아버려야 합니다. 가족에 대한 ‘나’ 의 그릇된 집착을 버리고 헛된 욕심을 죽이면, 남편, 아내, 아들, 딸 들은 차츰 제자리를 찾게 됩니다.
그런데 어떻게 하여야 이 그릇된 執着을 내려놓을 수 있는가? 아주 간단합니다. ‘잘못했습니다’로 祈禱를 始作하면 됩니다. 懺悔의 마음을 품고, 참회의 절을 하고, 참회의 염불을 하면 됩니다. 지극하고 성실하고 깊이 있게 ‘잘못했습니다.’ 하면서 참회를 하면, 나의 虛慾과 執着은 여름철에 얼음 녹듯이 녹아내립니다. 그 다음에 祝願을 하십시오. ‘誠實하게 일하는 남편의 昇進이나 成功’을 祝願하고, ‘고3인 우리 아들딸 원하는 대학에 잘 가게 해주십사’ 축원하고, ‘가족 모두의 健講과 집안의 平安’을 축원하십시오. 그리고 나의 공부와 향상, 곧 행심반야바라밀에 대해서도 축원 하십시오. 모든 축원이 잘 이루어 질 것입니다. 절대로 虛慾에 찌들고 執着에 찌든 祈禱는 하지 마십시오. 虛慾에서 비롯된 祈禱의 結果는 自明합니다. 만사불성(萬事不成)입니다. 이루어지는 것이 하나도 없습니다.
反對로 ‘나’의 慾心과 執着을 懺悔하고, 알뜰함과 정성을 담아 기도하면 반드시 성취됩니다. 그리고 여기에다 慈悲를 더하면 그야말로 참된 불자가 됩니다. 자비(慈悲)! 慈悲가 무엇입니까? 주위를 잘 살피고 돌아보고 가꾸며 살아가는 것. 이것이 바로 慈悲입니다. 더 構體的으로 定義하면, 나도 이롭게 하고 남도 이롭게 하는 자리이다의 삶을 사는 것이 慈悲로운 삶입니다. 그러나 내 이롭기를 앞세우면 남을 이롭게 할 수가 없습니다. 오히려 더욱 利己的이 되어 버립니다 . 그러므로 늘 ‘남을 돌아보고 살피고 베풀며 살 것’을 강조하고, 이를 일컬어 慈悲라고 칭하는 것입니다. 이 慈悲에 대해서는 참으로 할 말이 많지만 내가 좋아하는 티베트의 지도자 달라이라마의 이야기로 대신 하고자 합니다.
나는 달라이라마를 참 좋아합니다. 달라이라마는 나라를 잃고 조국을 떠난 狀況에서도 世上의 平和를 위해 헌신하고 있으며, 자신들을 박해한 사람들을 容恕 했습니다. 容恕의 眞情한 意味를 行動으로 보여준 그는 참으로 勇氣 있는 분입니다. 달라이라마는 正直한 분입니다. 그이 말에는 가식이 없습니다. 그럴듯하게 꾸민 말이나 어려운 말을 쓰는 법이 없습니다. 평범한 말과 일상의 언어로 많은 사람들을 평화로움과 깨달음의 세계로 인도합니다.
또한 달라이라마는 유쾌한 분입니다. 남의 나라에 기대어 살면서도 자신들을 그곳으로 내친 사람들에 대한 분노를 사랑으로 돌려 인류의 스승이 되었습니다. 그는 진정한 어른 노릇이 무엇인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容恕와 正直과 유쾌함은 어디에서 나오는 것일까요? 바로 慈悲心으로부터 나옵니다. 慈悲心이 깊기 때문에 늘 이렇게 살 수 있는 것입니다. 내가 달라이라마를 처음 만난 것은 20여 년 전인 1991년이며, 첫 만남에서 나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라싸에서 참으로 잘 쫓겨나셨습니다. 아니었으면 당신의 놀이터가 어떻게 全 世界로 넓어졌겠습니까? 모영감(모택동)의 恩惠가 큽니다” 달라이라마는 박장대소를 하였고, 나는 또 물었습니다. “모영감이 죽었을 때 弔電은 보냈는지요?” “예, 바로 보냈습니다.”
事實 道의 次元에서 보면 恩人과 원수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우리는 그저 오랜 친구처럼 스스럼없이 농담을 나누었습니다. 인자하고 마음씨 좋은 달라이라마와의 첫 만남은 그렇게 시작되었고, 이후에도 여러 차례의 만남이 이어졌습니다. 달라이라마는 세계인과 대화를 나눌 때, 日常的인 對話의 方法으로 相對方이 그 너머의 世界를 스스로 깨닫게 합니다. 종교의 우열에 대해서도 말하지 않습니다. 人間은 누구나 훌륭한 資質과 品性을 갖추고 있다고 가르치며, 無限한 可能性이 있다는 것을 믿게 합니다. 이것이 무엇일까요? 바로 慈悲心입니다.
달라이라마는 사람들에게 因果의 道理를 일러주고 世界의 本質과 現狀을 이야기하여 스스로 깨치도록 도와줍니다. 깨달음의 길이 스스로에게 있다는 것을 일러주고 스스로가 깨닫도록 도와주는 것. 이것이 바로 慈悲입니다. 佛敎의 本質은 慈悲입니다. 어떻게 實踐하는 것이 慈悲일까요? 달라이라마는 1989년 노벨 평화상을 받았을 때, 상금의 대부분을 병들고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썼습니다. 나병 환자의 치료에 쓰라며 테레사 수녀에게 보시하였고, 거액을 굶주리는 아프리카 사람들을 위해 썼습니다.
 
그 때 기자들이 물었습니다. “나라를 빼앗긴 당신네들에게도 참으로 많은 난민들이 있습니다. 그들도 잘 살지를 못합니다. 그런데 왜 아프리카에 그 소중한 상금을 줍니까?” 달라이라마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티베트 사람들은 가난합니다. 난민의 수도 매우 많습니다. 하지만 못 먹어 죽는 사람은 없습니다. 저는 배고픈 사람을 돕고 싶습니다. 아프리카에 보낸 상금으로, 다만 얼마의 배고픈 사람이라도 허기를 면하게 되었으면 합니다. 굶주린 사람을 먹여 살리는 일보다 더 급한 것은 없습니다. 아프리카는 지금 이 시간에도 굶어 죽는 사람이 부지기수 입니다.” 얼마나 멋진 마음가짐입니까? 얼마나 큰 慈悲心입니까?
부처님도 달라이라마도 분명 인간의 몸을 가지고 이 세상에 오셨습니다. 우리도 인간입니다. 부처님께서는 우리에게 인간이 가야 할 길을 보여 주셨습니다. 이제 서로를 쪼개고 나누고 시기하고 다투는 일일랑은 내려놓고, 부처님께서 깨우쳐주신 가르침을 따라 人間의 基本을 새롭게 하고 意識을 새롭게 하는 일(事)을 해야 합니다. 그 일(事)이 참된 기도요, 행심반야바라밀의 삶이요 진정한 자비임을 잊지 마시고, 헛된 執着과 慾望에서 벗어나 쉬임없이 흘러가는 이 人生을 멋있게 가꾸어, 永遠한 幸福을 증득하시기를 두 손 모아 축원 드립니다. 나무사생자부 석가모니불 보성큰스님(송광사 방장)

 

-결가부좌 명상도량 자비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