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어등(雁漁燈)은 고대에 많이 제작되어
사용이 된 것 같다.
중국문물대사전(中國文物大辭典)에는
1985년 산서성(山西省) 평삭성(平朔城) 서조십팔장(西照什八莊)에서
출토되었다는 서한(西漢) 시대의 조명 용구(用具)리고 소개된
안어등(雁漁燈)을 볼 수 있다.
높이 53Cm 길이 34.5Cm의 이 안어등은
유물의 형태나 크기 그리고 용도에서
앞서 필자가 소개한 고조선 말기의 황금 안어등과 흡시하다.
중국문물대사전에 소개된 안어등
위 유물은 청동기로 제작되었으며 서한 시대 유물이라고 한다.
서한 시대라면 기원전 206년 진시황 시대의 혼란한 틈을 타
북부여의 도룸을 받은 유방에 의해 세워진 나라이며
기원전 8년 왕망의 신(新)나라에 의해 망하기까지
214년간 존속되었던 나라이다.
한(漢)나라의 규모나 세력 판도는
김성겸 선생님께서 소개하는
추모경을 읽어보면 대략 그 답이 나온다.
서한은 한나라 유철(한무제) 시절에
반짝했을 뿐 지금의 중국이라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산서성은 한나라의 영향력 안에 있지도 않았으며
오히려 북부여의 지배권에 속한 지역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러한 산서성에서 출토된 유물이라면
유물의 성격이 분명해진다.
고조선 북부여로 이어진 동이의 역사 강역인 것이다.
청동기로 만들어진 산서성 출토의 안어등과
그 이전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황금 안어등을 비교하면 분명하게 역사의 흐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고조선 말기의 횡금 안어등
출처 : 잃어버린 역사, 보이는 흔적
글쓴이 : 신완순 원글보기
메모 :
'한민족의 뿌리 역사를 찾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족의 성지 백두산의 야생화 (0) | 2013.01.11 |
---|---|
[스크랩] 제작 연대 고조선 말기로 추정되는 황금 안어등(雁漁燈) (0) | 2012.12.27 |
[스크랩] 봉황의 볏을 가진 지조(鷙鳥) 형태의 고조선 황금 준(尊) (0) | 2012.12.27 |
[스크랩] Re:산서성(山西省) 조준(鳥尊) (0) | 2012.12.27 |
[스크랩] Re:Re:산서성(山西省)은 신시(神市, 배달) .고조선 이래로 동이의 강역 (0) | 2012.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