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의 뿌리 역사를 찾아서!!!

아메리카 인디언은 한민족

장백산-1 2013. 7. 18. 19:51

동이족 이야기

글 수 80

 

【대전=뉴시스】

아메리카 원주민인 인디언과 인디오는 우리와 한 핏줄인 한민족이라는 새로운 학설이 제기돼 주목받고 있다.

아스텍인들이 사용한 고어 '나와들어(語)'가 우리말의 고어와 어순·문장의 구조적·형태론적인 면이 정확히 일치하며, 발음까지 같은 것이 많다는 주장이다.

 

배재대 스페인·중남미학과 손성태 교수는 9일 배재대 21세기관에서 열린 세미나를 통해 논문 '민족의 이동:아메리카로 건너간 우리 민족의 언어적 증거'를 발표하고,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에서 오늘날 한반도에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단어와 구, 심지어는 문장까지 광범위하게 발견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손 교수는 "실제로 1689년 미국 LA에서 발간된 아스텍인들의 '나와들어'에 대한 연구문헌인 'Arte de la lengua mexicana'를 보면, 15세기 혹은 그 이전 우리말 고어의 특징에 대해 말한다고 할 정도로 정확하게 우리말과 일치하는 많은 설명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며 "그 내용도 매우 체계적으로 우리말 고어를 설명하는 것 같다"고 강조했다.

 

손 교수는 "예를 들어 순경음 비읍(ᄫ), 15세기까지 우리말에 존재했던 세 가지 억양, 현재까지도 쓰이는 우리말 복수형 어미(~들, ~떼), 우리 고어로 땅을 의미하는 '달' 등이 나와들어에서 그대로 사용됐다"며 "단어뿐만이 아니라 '내 지이 /ne chii/ =내 집' '내 곶이 /ne kotz'i'j/ = 내 꽃(이) /my flower/' 등과 같이 단어 및 구가 같다"고 설명했다.

 

또 "'나 나아 트홋타(발음) /nɨ’ naa tɨhota.(나와들어) /나 나를 다쳤다(우리말)/ I REFL hurt / I hurt myself (영어해석)'라든가, '야히있다(발음)/ ɳahɨ-’ta (나와들어)/ 약이 있다(우리말)/ have medicine (영어 해석)'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문장도 같은 것이 많다"는 것.

 

그는 이와 함께 "더구나 우리 민족의 노래인 '아리랑' 후렴구인 '아리 아리랑 아리 아리랑 아라리가 났네'의 뜻이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는데, 이는 삼국시대 우리말이 한자어로 대체되면서 순수 우리말이 대부분 상실됐기 때문"이라면서 "그런데 흥미로운 점은 나와들어에서 아리랑의 가사에 사용된 말을 미국학자가 해석한 바에 따르면 'alarigá(아라리가)'는 'thus(그렇게 해서, 이렇게 해서)'로 풀이됐다"고 밝혔다.

 

또 "'ari(아리)'는 'now(지금)'으로 풀이 됐으며, '났네'는 '이겼다'를 의미하는데, 명절날 윷놀이와 같은 전통 놀이에서 이겼을 때 '났다'라고 환호하는 것을 볼 때, 아리랑 가사의 뜻은 '지금 아리랑 지금 아리랑 그렇게 해서 이겼네'라고 해석됐다"면서 "밝혀진 가사의 의미로 판단해 볼 때, 우리 민족의 노래 아리랑은 고대 우리 민족이 어떤 축제나, 이웃 부족과의 친선 경기 또는 전쟁에서 이겼을 때 불렀던 '승리가, 승전가'임에 틀림없다"고 주장했다.

 

특히 손 교수는 "멕시코 역사서에서 '아스텍인들은 사막 근처인 아스달란에서 왔으며, 두 개의 나라에서 왔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우리 선조들인 부여와 고조선을 의미한다"고 확신했다.

 

손 교수는 그 이유로 "古朝鮮의 첫 도읍인 '아스달'과 일치하는 것은 물론, 고조선의 위치가 중국 요하강 서북쪽 즉 고비사막의 동쪽 끝자락에 위치한다는 중국 문헌의 기록과도 일치한다"며 "우리 先祖들이 흰색을 좋아해 흰옷을 즐겨 입었는데, 아스텍제국의 모든 사원들이 흰색으로 칠해져 있었다는 기록도 있고, 순장이라는 문화도 같다"고 설명했다.

 

손 교수는 또 "아스텍인들과 우리 한민족은 언어적으로, 역사적 기록에서도, 풍습도 일치하는 면을 고려할 때, 지금까지 알려진 몇 만 년전의 고아시아인만이 아메리카 대륙으로 넘어갔다는 기존 학설로는 설명될 수 없다"며 "우리 민족이 직접 아메리카 대륙으로 넘어갔음을 아주 분명하게 보여주는 증거임에 틀림없으며, 그 시기는 기원 전후 또는 초기 삼국시대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강조했다.

 

손 교수는 이에 대한 증거로 "우리나라에서 발굴된 신라시대의 유물 중에 많은 동물 형상들의 토우가 있는데, 그 동물 중에 중남미에서만 서식하고 있는 '개미핥기'도 있다"며 "우리 학계에서는 이것을 아직까지 설명하지 못하고 있는데, 이것은 우리 선조들이 베링해협을 건너 멕시코까지 왕래했던 또 하나의 증거"라고 밝혔다.

 

손 교수는 "지금까지 알려진 세계사와 세계 문화사는 다시 써야하며 과거 화려했던 아스텍제국의 문명은 곧 위대한 우리 문명"이라고 말했다.

최정현기자 ily7102@newsis.com

<저작권자ⓒ '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중남미 고대어와 우리말 구조 비교
                                    -우리말의 흔적-
                                                                                               손성태(배재대학교)

 1. 서론

언어 구조적 관점에서 보면 황인종도 크게 두 종류로 구별할 수 있다. 우리말이나 몽골어
만주어처럼 동사가 문장의 맨 마지막에 나오는 언어 사용자를 북방계 황인종이라 하고, 중
국어처럼 동사가 문미에 오지 않는 경우를 남방계 황인종이라 칭하기로 한다.

 

본 연구의 동기는, 아득한 옛날 인류가 베링해협을 건너서 미주 대륙으로 이동했을 것이라는 인류학적
가설이 상당한 설득력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유물적 증거의 부재가 문제였는데, 이
증거를 언어적 관점에서 찾아보는 것이다.

 

인간 언어는 세월이 지남에 따라서 단어의 발음과 표기법은 달라져도 그 언어의 독특한 구조는 유지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북방계 황인종언어와 중남미 원주민의 고대 언어 간에 어떤 연관성이 있는 지를 연구하였다.

 

 

2. 중남미 고대어의 분포
1) 나와틀어(nahuatl): 북미 서해안 지역과 멕시코 유카탄 반도에 사용된 언어. 마야 문명
과 아즈텍 문명의 언어
2) 케추아어(quechua): 잉카제국의 언어, 안데스 산맥중심으로 페루, 콜롬비아, 에콰도르에
서 사용돤 언어
3) 과라니어(guarani): 브라질 남부, 파라과이, 아르헨티나 북부 지역에 사용된 언어

 

 

3. 우리말과 중남미 고대어들간의 기본적인 공통점
1) 정관사 부정관사 등이 없다.
2) 명사나 형용사의 성․수 구별이 없다.
3) 문장의 어순이 ‘주어+목적어+동사’로 일치한다.
4) 주어는 생략 가능하다.
5) 목적어 대명사도 자주 생략된다.
6) 조사(postposition)을 사용한다.
7) 동사어간에 어미 형태소를 변화(첨가)시켜서 다양한 시제와 뉘앙스를 나타낸다.

 

 

4. 우리말과 케추아어의 구조비교


4.1 명사구 구조 일치성
• 이 두 언어의 명사구는 일반적으로 ‘지시어 또는 부사+ 형용사+ 명사’ 구조를 가지며,
핵심어 명사가 항상 맨 뒤에 온다.
1) a. ka(y) qari
          이 남자
b. cha(y) warmi
        그 여자
2) a. ka(y) jatun huasi
         이 큰 집
b ancha jatun huasi
        매우 큰 집


•우리말과 중남미 고대어는 모음의 장단 발음으로 뜻을 구별하는 단어가 있다.
3) a. 말 / 말:
    b. 눈/ 눈:
4) a. 케추아어
    maki (손)/ maki: (나의 손)
    uma (머리)/ uma: (나의 머리)
b. 나와틀어
   achtli [a] (씨앗) / achtli [a:] 형
   metzli [e] (가랑이, 넓적다리) / metzli [e:] 달
c. 과라니어 - 생략


 

•친족어 명칭의 종류가 일치한다.
형-wawqe, 누나-pana, 언니-ñaña, 오빠-tura


-나와틀어:
 wangari (big farther)- bigfarther일것임(큰아버지),
 ogari (farther, godfarther),
 pabi’(형)


•‘아이’의 성 구별을 우리말처럼 한다.
qari (남자), warmi (여자) → 남자 아이: qari waa/ 여자 아이 warmi waa

4.2 후치사구 구조 일치성
명사나 때때로 부사와 함께 사용되는 조사는 항상 그 뒤에 오며 그 종류와 쓰임이 일치한다.


5) 종류 예

  우리말                    quechua어
   -의                         -pa
   -을/를                    -ta
   -에서                     -pi
   -와(과)                  -wan
   -로                        -man
   -로부터                 -manta
   -끼리                     -pura
                                   (* 기타 생략)


6) 예문
   a. Pablupa huasi
       파블로의 집
  b. ima orapi
       몇 시에
  c. huasiman
       집 으로
  d. Ayacuchumanta
       Ayacuchu로부터
  e. waawan
        아이와
  g. warmipura
        여자끼리


* 주목할 점:
①처소격 조사 ‘-에(서)’와 ‘-pi’의 또 다른 공통점: 둘 다 장소부사 뒤에서도 사용된다.
   kaypi
  여기에(서)
  chaypi
  저기에(서)
  saampi
  위에(서)
(ñauqempi 앞에, ukupi 안에, chawpimpi 가운데에, aapi 밖에 등, 기타 생략)
② 우리말에서 형태소적으로 조사 ‘-로’에 ‘-부터’를 첨가시켜 ‘-로부터’가 만들어진다.
같은 방법으로 케추아어 ‘-man’에 ‘-ta’를 첨가하여 ‘-manta’가 형성된다.
③ 조사 ‘-끼리’는 우리말에서도 매우 특이한 특징을 갖는다. 즉 오직 동종 집단에게만
사용되고, 명사가 단수일지라도 항상 복수의미를 갖게 한다. 케추아어 ‘-pura’도 정확하게
같은 성격을 갖는다.
  예) warmipura
   여자(단수)끼리
  warmispura
   여자들(복수)끼리
(* 케추아어 복수 형태소 -s는 스페인어의 영향으로 근대 케추아어에서 나타난다)

 


4.3. 문장 구조의 일치성
4.3.1. 서술형용사의 형태소적 일치성
우리말에서는 ‘푸르다, 맑다, 아름답다, 크다, 낡다(오래되다), ...’등과같은 서술형용사가
문장의 서술어로 사용될 때 영어의 Be동사(~이다)와 같은 동사 존재 여부가 애매모호하다.
똑 같은 현상이 케추아어, 나와틀어(아즈텍어)에 나타난다.


7) 케추아어
  a. Huasiga rucu-mi
   집 가(이) 낡았-다
  b. Huasi jatun-mi
   집 (이) 크 -다
  c. Pachagqa musuq-mi
    옷 가(이) 새거 -다


8) 나와틀어(아즈텍어)
  a. Chipa-wa
   깨끗하-다 --->‘(그것은) 깨끗하다’
  b. Toma-wa
   뚱뚱하-다 ---> ‘(그는, 그것은) 뚱뚱하다’


 * 주목할 점(1):
①케추아어에서는 우리말 주격 조사 ‘-가’가 나타난다. 아즈텍어 예에서는 우리말처럼
주어가 생략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주어 생략은 중남미 고대어들의 공통된 특징이다.
②케추아어 주어 생략 예
  (Noqa) karu-manta amorani
   (나 가) 멀리-로부터 왔다. < (IQS61>


4.3.2. 케추아어와 우리말의 단문 비교
케추아 단문의 구조는 우리말 구조와 일치한다. 간접 목적어와 직접 목적어의 어순 교체
도 자유롭다.
  9) a. Chai warmi(-ca) ñuca-man aswa-ta cara-wa-rca-mi.
     그 여자-가 나(가)-에게 곰-을 주-나에게-었-다.
     b. Chai warmi(-ca) aswa-ta ñuca-man cara-wa-rca-mi.
     그 여자-가 곰-을 나(가)-에게 주 -나에게-었-다.


예문 (9a,b)는 문장의 기본적 구성 성분의 구조, 즉 어순이 우리말과 같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 직접 목적어가 간접 목적어와 위치 교체를 자유롭게 하고 있다. 우리말의 주격 조사 ‘-
가’에 해당하는 ‘-ca’가 점차 탈락하고 있다. 예문에서는 우리말처럼 간접 목적격 조사와

접 목적격 조사가 사용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동사의 형태론적 구성에서도 우리말과 비
슷하지만 간접 목적어 요소가 삽입되어 있음이 다르다. 동사의 어미 형태소 ‘-mi’는 앞에서
서술형용사에서도 보았다.


* 주목할 점(2):
①간접 목적격 조사 ‘-man'은 앞에서는 방향의 조사 ’-로‘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주목되는
점은 이 간접 목적격 조사는 매우 불안정 한 것 같다. 같은 책 99쪽에는 다음과 같은 예문이 존재한다.
  10) Quitsa jari-ta aswa-ta cara-rca-mi
       소녀 남자-에게 곰-을 주-었-다.
②여기서 주격조사 ‘-가’는 탈락. 간접 목적격 조사와 직접 목적격 조사가 같다. 특히 동사
의 형태론적 구성에서 정확하게 우리말과 일치함.

 

 

4.3.3. 케추아어와 우리말 비교급 문장 비교
  11) a. Campa(c) huasi ñucamantas yallimi.
           너 의 집 내 것보다 좋다(크다).
       b. Campa(c) huasi ñucamantas pishimi.
          너 의 집 내 것보다 못하다(작다).


* 관찰: 우리말은 비교급 문장에서 ‘더 (more/más)’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케추아어에서
도 같은 현상을 보인다. 우리말 ‘내 것’을 ñuca로 표기했다.


4.4. 케추아어에 나타난 우리말의 흔적

1) 주격 조사 ‘-가’; noqa, ñuca (yo=나) → no, ñu(나) +qa, ca (가),
2) 목적격 조사 ‘-ta’: 고구려 후예로 알려진 라후어에서 목적격 조사를 ‘-타’를 사용
<김병관 농학박사 문화탐험가 “한국어뿌리”>
3) 공동격 조사 ‘-와’: waawan 아이-와
4) 내것: ñuca
5) 문화적 흔적: 태양신-고구려 <김병관 농학박사 문화탐험가 “한국어뿌리”>

 

 

5. 나와틀 속의 우리 말들
5.1. Nahuatl 어의 언어 명칭=나와들 어 (=우리말)
• Nahuatl어 - 1300년대부터 1521년 스페인 정복 당시까지 융성기를 맞았던 아즈텍 문명
을 이루었던 7개 부족이 사용한 언어. 이들은 자기들을 아즈텍에서 온 사람들이란 의미로

‘aztecatl’이라고 했다. . 마야 문명 8~9세기에 쇠퇴


• Los acabados en ‘-tl’ mudan en plural el tl en me.
  ‘복수형 어미 tl이 -me로 바뀌었다’
• ‘나’를 의미하는 단어: na, nahua(nawa), nahuatl, nahuatli (nah)
  ne, nehua(newa), nehuatl, nehuatli (neh)
• 나와들어에서는 명사형 어미가 -tl인 단어가 매우 많다.
  tewatl(너), yewatl(그), tetl(돌), , teotli(신), kaktli (샌달,신)
• 라후어에서 나흐(우리들) 너흐(어희들)을 의미했다.
  ** 결국 nahuatl은 ‘나와들’ 즉 ‘우리’를 의미했다.


• 프랑스인 Miche Launey: “Le peuple généralement connu comme Aztèques se
donnait à lui-même le nom ̈mexicains”: “Aztèques” (Aztēcâ) signifie ̈d’Aztlān, lieu
d’origine mythique de la migration des mexicains vers le Sud. Leur langue était dite
nāhuatl ou nāhuatlàtōlli “langue claire”.


‘아즈텍에서 온 사람들이며, 그들의 언어는 나와틀어(분명한 언어)이다’
** 여기서 나오는 -tl은 우리말 복수형 어미 ‘-들’이며, nahuatl은 ‘나와-들’ 즉 ‘우리들’을
말하고, nāhuatlàtōlli는 결국 ‘우리말’을 의미한다.

 

 


5.2 또 다른 복수형 어미 ‘-te’
• “It is no longer possible to predict completely which stems will take -me and
wich stem will take -te. Some can have either.̈ 복수형 어미엔 -me와 -te가 있는데
어떻게 구별해 사용하는지 모른다. 어떤 것은 둘 다 사용한다.
 sitlali (별) - sitlalme, sitlalte
 bokahte (소떼), tuntohte (바보떼)

** 우리말의 복수형 어미 ‘-떼’이다.


5.3 ‘아즈텍’의 의미
• 스페인어로 aztecano (아스떼까노) 즉 ‘아스덱(떽)’에서 온 사람들‘을 의미한다.
• 우리말 아래아 모음 ‘ㆍ ’의 소리값:
** 결국 아즈텍이 아니라 아스덱이며, 아스덱은 ‘아사달’을 의미할 것이다. 즉 우리민족을
의미한다.
• “전문가들에 의하면 유목민은 자신의 뿌리나 토템과 관련된 신성한 지명을 가지고 다닌
다” <김운회 동양대, 대쥬신을 찾아서>


5.4 나와틀어에 나타난 우리말의 흔적
5.4.1 단어
① tunal(i) - 날, 해
-Ye sie tunal-i ~
 Already one-day -ABS ~ (어떤 날)
-Entonses ik ow-pa se tonal-i ~
 Then DIRL two-LOC one day~/then the second time, one day~
-> ‘그때 그 두 번(째) 어느 날 ~ ’
-tunal-i (sun, day) , tonal tunali
 tunal-te
-inintunal-i
-그 외나오는 위치 toonal

② wala- 오다
On- is probably related to the on-MED-DIST used in LOC DEM; wal- is related
to the non-PRES form wala come.
‘wala는 ‘와라, 오다’이며, on과 함께 잘 쓰인다’
- ~ on-wala-hki
DIRL-(PAST?) come-PL / come /
- on-wala
- ow-pan o-wala
two-LOC PERF-come / He came twice. / -> ‘두번 온다(와라)?’
- 그 외 나오는 위치:

 


안녕하십니까, 박인귭니다. 아메리카대륙의 원주민인 인디언과 인디오가 우리와 한 핏줄인 한민족이라는 새로운 학설이 나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그들이 사용했던 고어와 우리 고어의 유사성 등 인디언과 한민족의 뿌리가 같다는 학설을 뒷받침하는 여러 가지 근거가 국내 언어학자에 의해 제기됐는데요 특히 이 학자는 이번 연구를 통해 그동안 잘 풀리지 않았던 아리랑 후렴구의 뜻이 규명됐다는 주장도 내놓고 있습니다. 오늘 박인규의 집중인터뷰에서는 이 학설을 제기한 배재대 스페인어·중남미학과 손성태 교수와 함께 인디언과 우리 민족이 한 핏줄이라는 학설의 여러 가지 근거들을 살펴보고 이번 연구의 의미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 박인규가 주목한 이 사람은 배재대 손성태 교수입니다.손성태 교수는 1959년 경북 평해
출생으로 86년 한국외국어대학원에서 스페인어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92년 스페인 국립마드리드대학교에서 언어학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1993년부터 배재대학교 스페인어·중남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현재 한국스페인어문학회 국제학술위원과 한국외국어교육학회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박인규 : 우리 한민족과 아메리카대륙의 인디언 또는 인디오가 같은 민족이라는 주장을 하셨는데요. 이런 연구를 언제부터 어떤 이유로 하시게 된 겁니까?
  
  

▲ ⓒ프레시안


  손성태 : 제가 대학생 시절에 도서관에서 우연히 어떤 문헌을 뒤지게 됐는데 거기에 아메리카 인디언의 언어가 우리말과 유사한 점이 많다는 딱 한 줄의 글귀를 읽었습니다. 이게 오랫동안 제 머리에 영상으로 남아 있었고 그 이후 여러 방송매체에서 아메리카 인디언들이 몽골반점이 나온다는 방송이 여러 차례 있어서, 언젠가는 내가 이 언어를 연구를 해봐야겠다는 생각을 늘 갖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작년에 제가 미국 아리조나대학에 연구년을 가게 돼서 바로 그 연구를 시작할 수 있게 됐습니다.
  
  박인규 : 그렇다면 우리 민족과 이 인종이 한 핏줄이었다는 걸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근거는 어떤 겁니까?
  
  손성태 : 물론 제가 언어학자니까, 언어적인 근거입니다. 지금까지 학설은 수만 년 전에 고 아시아인이 몽골 베링해협을 넘어서 아메리카 인디언이 됐다. 그 이후에는 아무도 넘어갔다는 학설을 제기한 적이 없습니다. 수만년 전이면 우리말이든
몽골어만주어든 분화되지 않았던 상태, 우리말이 나올 수 없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제가 아리조나대학에서 여러 문헌을 조사하던 결과 거기에 지금 우리가 들어도 바로 이건 우리말이라고 깨달을 수 있는 말들이 단어를 넘어서 구, 문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왔고, 또 그쪽에서 멕시코 인디오들의 언어를 연구한 책들이 있는데, 예를 들어 1645년 멕시코에서 발간된 책이 있고 1689년 미국 LA에서 발간된 책이 있습니다. 그 책에 보면 이건 마치 중세시대 우리말을 설명하듯이 엄청나게 놀랍게 똑같습니다. 이것은 너무너무 중요합니다.
  
  박인규 : 제가 세계의 언어를 잘 몰라서 약간 무식한 질문이 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우리말처럼 조사가 있고 동사가 뒤로 가는 언어는 우리말과
일본어밖에 없다고 들었는데요.
  
  손성태 : 아닙니다. 만주어도 있고 몽골어도 있고
  
  박인규 : 그렇다면 인디언들의 말도 우리말처럼 조사가 있고 동사가 뒤로 가고 그런 겁니까?
  
  손성태 : 그건 너무
기본적입니다. 그런 것들은 기본적이고, 언어가 일치한다는 말은, 그런 조사나 동사가 뒤로 간다 이건 기본에다가 뭐가 일치해야 되느냐, 구조와 뜻과 특히 발음, 소리값이 일치하면 완벽히 똑같은 언어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박인규 : 지금 비교하신 게 아즈텍인들이라고 하는데, 그들이 언제부터 언제까지 있었던 사람들입니까?
  
  손성태 : 원래 중남미 지역에는 마야인들이 기원전부터 살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멕시코쪽 역사책을 보니까 아즈텍인들은 기원후 3에서 5세기 사이에 처음 멕시코에 들어왔고, 650년경 제 1차로 대규모
집단이 유입했으며, 9세기경 제 2차 대규모집단이 유입했고 그 이후에도 이들은 지속적으로 유입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박인규 : 아즈텍인은 말하자면 3세기 이전의 원주민이 아니라 외부에서 들어왔다는 말씀이시네요
  
  손성태 : 그렇죠. 마야인들과는 완전히 구별된 또 하나의 다른 민족
  
  박인규 : 손교
수의 연구에 의하면 아즈텍인이 그 당시 쓰던 말과 우리나라의 옛말과 거의 같다
  
  손성태 : 그 당시보다는, 그 당시는 아즈텍인들은 자기네
문자가 없어서 기록을 못했거든요. 아즈텍인들이 쓰던 말이 기록되기 시작한 건 1521년 스페인 사람들에 의해서입니다.
  
  박인규 : 그들이 기록한 아즈텍인들의 말과 그 당시 우리말과 같다, 아니면 유사하다
  
  손성태 : 네. 지금도 들으면 우리말이다, 바로 알아들을 수 있는 말들이 많죠
  
  박인규 : 일반인들이 알아들을 수 있도록 한두 가지 증거를, 사례를 대주실 수 있습니까?
  
  손성태 : 예를 들면, 내 집.
영어로 마이 하우스라고 해석돼 있습니다. 내 꽃. 마이 플라워. 그대로 돼 있습니다. 그런데 재밌는 건 내 꽃이 아니라 내 곳. 이렇게 돼 있거든요. 그런데 15세기 우리 용비어천가를 보면 꽃 좋고 여름하나니, 곳이라고 했거든요. 약이 있다. 영어로 해브 메더슨. 약이 있다.
  
  박인규 : 아, 약이 있다고 아즈텍말로 돼 있는데 영어로도 약이 있다.
  
  손성태 : 네. 약이 있다. 그 다음에... 이히 내거. 이건 내것이라는 뜻인데 재밌게도 9세기 신라 처용가에 보면 둘은 내해건만 둘은 뉘해인고. 내것이란 뜻으로 썼는데 똑같이 ㅎ이 들어갔죠. 똑같습니다.
  
  박인규 : 인디언 인디오라고 하더라도 북미 남미에 걸쳐 굉장히 많은 부족이 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 그 중 아즈텍 말이 우리말과 같다는 거네요. 다른 아즈텍말이 아닌 마야라든가
잉카라든가 그런 데와도 비교해 보셨습니까?
  
  손성태 : 기본적으로 마야어는 우리말과 관계가 없습니다. 아즈텍인들이 쓰던 말도
순수하게 아즈텍인들의 말로 남아있지 못하고 1521년 에르난 코르테스가 거기 도착했을 때 가져온 문헌에 보면 이미 15개 방언으로 분화돼 있었다. 지금은 66개로 분화돼 있습니다. 따라서 엄청나게 방언이 분화됨으로써 짬뽕언어가 돼 있습니다. 그런 가운데서도 우리말이
  
  박인규 : 3에서 5세기, 또는 9세기 아즈텍의 언어와 같다는 기록이 있다고 하는데, 그런 건 어떻게 받나요? 배로 태평양을 건너갔나요? 어떻게 추측할 수 있을까요?
  
  손성태 : 배경을 묻는 것 같은데, 배경에 관해서 제가 고려대학교 고미술학과에 계시는 이홍종 교수님을 비롯한 몇 분에게 제 연구자료를 요약문을 지난 3월에 보내드리면서, 제가 보기에 미국과 멕시코 쪽에 원주민들의 언어에 이렇게 우리말이 나오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을 드렸더니 이홍종 교수님이 답변을 주셨는데요, 청동
기문명을 전공하셨는데 기원전 6세기 내지 7세기부터 기원전후까지 청동기 유물들의 특징이 똑같은 특징의 유물들이 한반도 주변과 베링해협 근처 캄차카반도까지 똑같이 발견된다고 합니다. 같은 유물이 발견된다는 거죠. 그렇다면 우리 민족이 이미 그쪽과 왕래가 있었거나 아니면 직접 왔다갔다 하든가 뭐가 있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박인규 : 그렇다면 기원후 3세기, 9세기까지도 이쪽 아시아 내지는 한반도 사람들이 아메리카로 갔을 것이다.
  
  손성태 : 기원전 6세기 정도로 따져볼 수 있으니까 청동기문명 이후겠지요. 특히 제가 가져온 아리조나대학
소장의 책을 보면 그 책이 환 데 또바르라는 1520년 경 태어난 사람입니다. 그 분이 나중에 신부가 됐는데, 평생 멕시코에 살았는데 이 분이 1570년경, 아즈텍제국이 정복된 지 불과 50년 뒤죠. 그때쯤에 쓴 역사책이 있는데 거기 보면 역사책이 두 개의 나라에서 왔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2차 대규모집단을 유입했던 이 사람들은 아사달란에서 왔다. 이런 기록이 그대로 여기 나와 있습니다.
  
  박인규 : 교수님이 발표하신 것 중에는
윷놀이... 우리나라의 고유 민속놀이인데 이것과 인디오와도 관계가 있다고
  
  손성태 : 윷놀이는 사실 이번 발표에서 제가 말하지 않았습니다. 이번 발표에서는 제가
개미핥기에 대해서 말했죠. 우리 신라 경주고분에 5세기경 것으로 추정되는 개미핥기가 경주고분에 나왔는데 이 개미핥기가 나오는데 이게 멕시코 중부지역부터 파라과이까지 그 사이에 사는 동물인데 어떻게 경주고분에 개미핥기의 토우가 나왔느냐, 역사학계의 미스테리였는데
  
  박인규 : 개미핥기가 아메리카지역 외에 다른 지역에는 없었습니까?
  
  손성태 : 다른 지역에는 제가 알기론 없습니다. 오스트리아에는 비슷하게 생긴 흰개미핥기 이런 게 있는데 그것과는 거리가 먼 것 같습니다.
  
  박인규 : 5세기경에는 남미대륙에만 있는 개미핥기가 신라유물에도 나왔다
  
  손성태 : 네. 국립
중앙박물관에 그대로 있습니다. 그런데 미국 아리조나의 투싼이라는 도시가 있는데, 거기 인디언박물관에 가면 우리 윷과 똑같은 윷판이 인디언 조상의 유물로 남아 있습니다. 아주 사소한 차이밖에는 없습니다.
  
  박인규 : 윷을 어떻게 한다든가 그런 방법도 있습니까?
  
  손성태 : 뭐가 설명이 돼 있는데 거기까지는 제가 자세하게 읽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거기 가면 제가 이 부분도 집중적으로 조사해볼 참입니다.
  
  박인규 : 개미핥기가 그렇고 윷놀이가 같고.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오. 아리랑의 후렴구도 인디언들의 문화를 조사하면서 알 수 있다는 말씀을 하신 것 같은데요
  
  손성태 : 네. 거기서 멕시코쪽의 한 방언을 조사하다 보니까 거기 유달리 '내가' 이런 표현이 많이 나옵니다. 내가 뭐뭐 했다, 이런 식으로 할 때. 우리말이죠? 나라는 말에 주격조사 가가 나왔지 않습니까. 그런데 거기 뭐가 같이 나오냐면, '아리'라는 말이 '지금', '아라리가'가 '그렇게 해서' 이렇게 해석돼 있습니다. 그렇다면 '났네'라는 말은 선조들이
명절날 윷놀이 할 때도 이기면 '났다' 하지 않습니까? 이겼다는 뜻. 그렇다면 아리아리랑 아리아리랑 아라리가 났네는 결국 지금 아리랑 지금 아리랑 그렇게 해서 이겼네라는 뜻이거든요. 그럼 이 뜻으로 볼 때 이것은 승리가, 승전가일 수밖에 없다
  
  박인규 : 승전가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가 났네라는 식으로 거기도 표기돼 있습니까?
  
  손성태 : 거기 아리랑에 대한 말만 안 나온 거죠. 그리고 났네라는 말은 우리가 이미 그 뜻을 알고 있고, 아리는 지금. 아리랑은 제가 그 뜻을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아주 많은 문헌이 있는데 저는 지금 그 자료의 빙산의 일각도 제대로 조사를 못하고 있습니다. 시간이 아직 많지 않아서. 그렇지만 아리랑에 대해서는 국내 많은 학자들이 아리랑 자체가 우리 민족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렇게 해석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니 결국은 지금 아리랑, 지금 우리 민족은, 아라리가 났네. 그렇게 해서 이겼네. 이렇게 되지 않겠습니까? 어쨌든 이것은 제가 보기에 우리 민족이 고대로부터 면면히 내려오는 승리가, 승전
가임에 틀림없다.
  
  박인규 : 아즈텍 고어가 16세기 스페인
선교사가 스페인어로 채집한 걸 보고 아신다고 말씀하셨는데 그 당시도 방언이 16개라고 하셨고. 지금도 그 당시 아즈텍어를 쓰는 사람이 있습니까?
  
  

▲ ⓒ프레시안


  손성태 : 있습니다. 왜냐면 미국과 멕시코 학자들이 1950년부터 1975년까지 지역별로 미국의 서부지역 인디언을 중심으로 서부지역과 멕시코 전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별로 나눠서 한 25년간 직접 들어가서 그들과 생활하면서 언어를 채집한 자료집이 있습니다. 그 자료집을 1978년부터 83년까지 네 권의 책으로 출간했는데, 거기 보면 숱한 우리말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박인규 : 다
검토를 해보셨습니까? 우리말과 비슷한 게 많습니까?
  
  손성태 : 말하자면 주마간산격으로 일단은 검토했습니다. 지금도 다시 보면 이것도 우리말이네 하고 깨닫게 됩니다. 바로 며칠 전에도 거기 딱 설명돼 있어요. 가, 가이 이래가지고 이것은 해브라는 뜻으로 썼다. 우리말로 갖다, 이 뜻 아닙니까
  
  박인규 : 네 권의 자료집을 좀 더 철저하게 조사해서 우리말과 비교해볼 필요가 있겠네요. 아까 말씀하실 때 16세기 스페인 선교사가 쓴 책에 보면 아즈텍인지 3 내지 5세기, 9세기 어디선가 왔다. 어디선가 어떻게 왔다 그런 것에 대한 자료도 있습니까?
  
  손성태 : 나중에 2차로 온 집단이
아사달란에서 왔다.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그런데 20세기 들어와서 수많은 학자들이 아사달란에서 왔고 이 사람들이 북쪽을 가리켰거든요. 그리고 이 아사달란이 자기 선조들이 사막 근처에서 살았다고 얘기합니다. 그래서 사막 근처 북쪽에 어딘가 이 아사달란이 있지 않을까 해서 조사를 했는데 없었습니다. 그래서 이건 옛날 그곳 학자들이 잘못 적었을 것이다. 이렇게까지 나와 있었습니다.
  
  박인규 : 지금까지는 고대 아시아인들이 청동기시대 신석기시대로 넘어갔다. 그런데 손성태 교수님이 말씀하시는 건 그 뒤에 기원후에도 직접 우리 민족이 넘어갔을 가능성이 높다...
  
  손성태 : 예. 왜냐면 우선 환 데 또바르가 쓴 1570년 경에 나온 책에서 이 사람들은 두 개의 나라에서 왔다는 얘기를 하거든요. 두 개의 나라라는 건 우리 민족이 고조선과 부여가 있습니다. 부여는 기원전 3세기 경에 건국됩니다. 기원전 3세기 이후라고 봐야 되겠죠. 그런데 제가 발견한 자료를 보면 몇 개의 한자어도 같이 나옵니다. 그럼 한자는 공식적으로 우리 민족이 받아들인 건 기원후 4세기에서 5세기 사이인데, 기원후 5세기라는 건 문헌적이거든요. 그럼 일반 말에서는 그보다는 몇백 년 앞섰다고 봐야 되거든요. 그렇다면 몇백년 앞섰다고 해봐야 기원전후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가 보기에는 우리 민족이 삼국시대를 열기 위해서 일단의 집단들이 한반도로 들어올 때 모두 들어온 게 아니라 나머지 우리 선조들은 북방루트를 통해서 북쪽을 향해서 결국 아메리카 대륙까지 건너가지 않았나.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더구나 멕시코쪽 기록을 보면 이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들어왔다는 걸 보면 우리 선조들은 그쪽 북방루트를 굉장히 잘 알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박인규 : 상당히 대담하고 흥미있는
가설인 것 같은데 한 번 지켜봐야겠습니다.
  아즈텍인들이 한반도에서 넘어갔을 가능성이 크다, 있다는 학설을 국내 혹은 국외에서 제기한 사람들이 이전에 있었습니까?
  
  손성태 : 없었죠
  
  박인규 : 완전히 새로운 학설이네요.지금 몇 차례에 걸쳐 국내 학계에서 발표하신 걸로 알고 있는데 국내 언어학자, 고대사 하시는 분들의 의견은 어떻던가요? 반응은?
  
  손성태 : 제가 작년 12월 20일경 국어학회에서 발표했었습니다. 그때 국어학회 회장님이신 성환갑 교수님과 따로 자리를 마련할 기회가 있었는데, 거기서 제가 몇 개를 말씀드렸더니 이건 우리 국어의 중세 국어에도 있었다. 이런 것들을 말씀해 주셨고요. 최근에 제가 국어어원학회 부회장님이신 박재양
선생님과 제 언어자료를 면밀히 한 번 검토했습니다. 그 분이 우리 고어 전공이니까 그분의 말씀은 이건 우리말이 틀림없다. 이렇게까지 얘기했습니다.
  
  박인규 : 언어적 측면에서 보면 아즈텍 고어가 분명 우리말이다. 혹시 손교수님의 학설 이론을 멕시코나 미국이라든가 이쪽에 계신 아메리카대륙의 학자들에게 알려 보신 적이 있으십니까?
  
  손성태 : 제가 작년 12월에 발표하고 나서 미국에 다시 되돌아가서 한국에 오기 직전 2월 중순경에 스페인어로 약 60페
이지에 달하는 논문을 써서 인터넷 검색을 통해서 인류학 또는 언어학 전공 교수님들에게 미국, 멕시코, 심지어는 프랑스 여기 있는 교수님 150명을 선정해서 제 논문을 무작위로 뿌렸습니다. 그때는 지금보다 논문이 조금 더 미진했지만, 그걸 뿌린 뒤에 당신들의 검토의견을 기다리겠다. 이렇게 편지까지 해서 보냈는데, 대부분은 제가 무작위로 뿌렸기 때문에 반응이 아직 없습니다. 그런데 일부 반응에는, 참으로 고무적이게도, 그렇지 않아도 아시아에서 왔을 거라고 생각을, 짐작하고 있었다. 그런데 당신이 구체적인 증거를 처음 발견한 것 같다, 축하한다. 이런 메일이 온 적도 있고요. 조금 더, 이게 소리를 그대로 차용해서 스페인어로 기록하다 보니까 이걸 어문학적으로 조금 더 정밀하게 해서 다시 한 번 보내달라는 분도 있었습니다. 물론 개중에 아직도 못 믿겠다는 분들도 있었고요.
  
  박인규 : 일단 외국 학자들 중에서도 관심을 갖는 분들이 많지는 않지만 있다
  
  손성태 : 관심뿐만 아니라 인정하려고 하는 학자들도 있다는 거죠.
  
  박인규 : 제가 알기로
태국 북부 치앙마이인가 가보면 우리와 똑같은 말도 쓰고 풍습이 같은 데가 있다던데요, 이번 손성태 교수가 제기한 학설, 또는 이론의 의미는 어디 있다고 보세요?
  
  손성태 : 제가 발견한 아즈텍인들의 말에서의 우리말은 대단히 체계적입니다. 말하자면 다른 지금까지 우리나라 학자들이 다른 나라 언어, 특히 알타이어계나 그렇지 않아도 말씀하신 치앙마이 쪽의 언어와 비교연구를 많이 하셨는데, 단어의 비슷한 일치는 찾아냈지만 구나 문장까지 일치한 적이 없었습니다. 말 구조는 같고 단어는 우연히도 비슷할 수 있는데, 문제는 그 분들이 연구하신 것은 그 비슷한 단어들 숫자가 너무 적었거니와 체계적이지 않았는데 제가 발견한 것은 너무나 체계적이었습니다. 예를 들면 복수형 어미. 뭐뭐들, 아니면 뭐뭐떼 이러지 않습니까. 거기 그대로 나옵니다. 그리고 우리 주격조사 '가'와 '이'가 나오고. 순경음도. 그리고 어문적으로 보면 우리 고어의 억양이 세 가지 종류가 있었는데 그 세 가지가 그대로 다 나오고. 그리고 우리 고어에 하늘 허. 우리 허. 이래서 뜻없이 ㅎ 발음을 명사 뒤에 붙인 경우가 많습니다. 바로 그런 현상이 여기 보면 그대로 나오고 있습니다.
  
  박인규 : 순경음이라면 ㅂ을 약간 유성음으로 우 발음 섞어서 한다. 그런 발음이 아즈텍 고어에 있다는 말씀이신가요?
  
  손성태 : 네. 1645년 멕시코에서 나온 책, 그리고 1689년 미국 LA에서 발간된 책에 이 원주민들은 b를 발음할 때 우 발음을 섞어서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이게 바로 순경음 ㅂ 얘기거든요. 또한 무슨 얘길 하냐면 이 사람들은 우 발음을 할 때 오라고 하는지 우라고 하는지 잘 모를 때가 있다. 대단히 이게 중요하거든요. 왜냐면 바로 우리 민족이 실제 우 발음을 할 때 오 발음인지 잘 모르게 발음했답니다. 그래서 그 잔재이기도 한 게 삼촌 그러기도 하고 삼춘 그러기도 하고
  
  

▲ ⓒ프레시안


  박인규 : 작년부터 본격적으로 연구하신 거기 때문에 우리 고어와 아즈텍 고어가 같고 아즈텍인들이 한민족이라는 걸 입증하려면 앞으로도 많은 보충자료, 근거자료가 필요할 것 같은데요. 앞으로 연구계획은, 예를 들어 우리 고어를 하시는 분들, 또는 그쪽 현지의 인디오 학자들 이런 분들과 공동연구라든가, 앞으로 이걸 좀 더 분명하게 아즈텍 고어와 우리 고어가 같다. 아즈텍인이 한반도인이었다는 걸 입증하기 위해서 어떻게 연구하실 계획이십니까?
  
  손성태 : 제가 계획하는 것은 우리 한민족의 아즈텍언어문화
연구소를 하나 만들어서 우리나라 각 분야의 훌륭하신 전문가 교수님들과 함께 연구할 생각입니다. 물론 미국쪽의 이 분야의 훌륭한 교수님, 멕시코 쪽의 이 분야의 훌륭한 교수님들과 조인해서 연구할 계획입니다.
  
  박인규 : 좀 더 깊이있는 연구를 위해서 미국으로 가신다고 알고 있는데요 언제 떠나십니까?
  
  손성태 : 오늘 떠납니다. 이 방송 끝나고.
  
  박인규 : 얼마나 계시고 무슨 연구를 하실 겁니까?
  
  손성태 : 8월 말
방학 끝날 때까지 머물 생각이고, 제 연구에 대해서 아리조나대학도 굉장히 중요하고 가능성 있는 연구라고 생각해서 제 연구실을 그대로 유지해 주고 제가 도서관에서 마음껏 이용할 수 있게 모든 편의를 봐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방학 내내 머물면서 문헌자료를 추가로 찾고 또 이미 찾은 문헌을 계속해서 읽으면서 제 연구를 뒷받침하고 좀 더 강화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할 생각입니다.
  
  박인규 : 우리
한국사람들의 역사적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는 대단히 흥미있는 연구인 것 같은데요, 혹시 제가 여쭤보지 않았더라도 못다하신 말씀 있으시면 마지막 정리말씀 부탁드리겠습니다.
  
  손성태 : 이 연구는 제가 오늘 시간이 없어서 말씀을 다 못 드렸지만, 예를 들어 우리 옛말에 가다와 예다라는 말이 있는데 그대로 두 가지가 그대로 나오고. 여기서 예서라는 말을 두 가지 말을 썼는데 똑같은 뜻으로. 그것들도 그대로 나오고. 나와, 와라, 이런 말도 나오고 엄청 많이 나옵니다. 따라서 저는 인류학을 하시는 선생님이나 문화를 연구하시는 선생님들도 지금까지는 그쪽의 원주민들이 우리 민족과 관계없다고 알고 있었기에 관심을 두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번을 계기로 정말 문화인류학적으로도 그 분들의 문화를 면밀하게 검토해볼 필요가 있지 않겠나. 이렇게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박인규 : 손교수님이 내세우신 이 이론이 사실로 학계에서 공인을 받는다면 우리 한민족의 역사적 활동범위가 굉장히 넓어지는 건데, 앞으로 좀 더 충실한 연구로 학계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켜 주시길 부탁드리겠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손성태 :
감사합니다.
  
  박인규의 집중인터뷰, 오늘은 인디언과 우리 민족이 한 핏줄이라는 학설을 제기한 배재대 스페인어·중남미학과 손성태 교수와 함께 이 학설을 뒷받침하는 여러 가지 근거들을 살펴보고 이번 연구의 의미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조회 수 :
4826
등록일 :
2011.12.29
15:26:21 (*.147.227.231)
엮인글 :
http://www.siddham.kr/index.php?document_srl=1093&act=trackback&key=347
게시글 주소 :
http://www.siddham.kr/10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