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슈머,건강정보,소비자의 힘

2014년의 트렌드는 ???

장백산-1 2013. 12. 1. 23:17

 

 

2014년은 소프트 컨수머, 소프트 마켓의 시대 트렌드시크릿

2013/11/25 07:40

복사 http://blog.naver.com/hi_hiliving/120202370580

전용뷰어 보기

2014년은 소프트 컨수머, 소프트 마켓의 시대 

 

장기불황으로 거시적 마케팅, 접근법을 피하고  

20~30대 여성 '내 만족' 스타일… 꽃중년 남성 소비에도 주목해야 


 

올해도 세계적인 불경기가 이어지고, 기업ㆍ개인 할 것 없이 경제적으로 바짝 움츠러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역으로 이를 타개할 트렌드를 읽으려는 욕구는 더 커지고, 이를 반영하듯 내년 시장의 트렌드와 경제를 전망하는 책들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저자들은 저마다의 관점으로 내년 시장을 예상하지만, 적어도 창업과 새로운 비즈니스에 대해서는 대동소이한 의견을 내놓습니다. 유사 이래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아이템과 거창한 마케팅보다는, 대중의 파편화된 욕구의 틈새를 가벼운 규모와 방식으로 파고들라고 주문합니다.  

 

전세계 82개국에 120개 무역관을 두고 있는 KTRA는 2년만에 내놓은 '2014 한국을 사로잡을 12가지 트렌드' 통해 과거 히트상품의 리뉴얼 런칭, 개인 맞춤형 틈새상품, 크라우드 소싱을 세 가지 큰 흐름으로 제시합니다.  

 

20여년 전 반짝 인기를 끌었던 '다마고치'. 애완동물을 키우는 휴대용 게임기가 리뉴얼 출시됨과 동시에 캐릭터 상품으로도 선보이고, 이후 만화는 물론 휴대폰 애플리케이션으로까지 선보였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완전히 새로운 것보다 잊혀진 히트상품을 현대 감각에 맞게 진화시킨 제품이 시장에 먹혀 든다는 얘기입니다.

 

또 단지 소수가 아닌, 극소수의 자기 만족감을 위한 마케팅 전략. 이를테면 170억원 짜리 휴대폰 케이스나, 개인 경호 서비스 확대 같은 것도 새로운 흐름이다. 또 이와는 반대로 다수의 창의성과 재능, 자금을 십시일반 모아 새로운 비즈니스를 여는 크라우드소싱 역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합니다.  

  

이 외에 중국에서 유행하는 미니 상점 '커즈디엔'도 소개합니다. 누군가 팔고 싶어하는 물건을 대신 판매해주고 수수료로 수익을 내는 방식으로, 아이템이나 매장 운영 한 가지에 매진하고 싶은 창업자에게 대안이 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30~40대'좀 놀아 본 오빠들'의 귀환을 적중시킨 김용섭 날카로운상상력연구소 소장은 '라이프 트렌드 2014 - 그녀들의 작은 사치' 를 내놨다. 여기서 '그녀들'은 과거처럼 명품가방이나 외제차로 과시할 형편이 안 되는 20~30대 여성들을 말합니다.  

 

이들은 망치로 깨먹는 독일과자 '슈니발렌'이나 개당 몇천원이나 하는 프랑스 최고급 마카롱을 즐깁니다. 밥값을 넘어서는 디저트라면 터무니없어 보이지만, 10만원이 넘는 저녁을 즐길 수 없다면 디저트라도 최상으로 가져가며 '내 만족'을 추구하는 영리한 소비전략이라고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동시에 김 소장은 탱고와 록 페스티벌에 빠져드는 5060 남성들, 패스트패션과 스마트폰으로 무장한 6070 남성들 에도 주목합니다. 경제위기를 거치며 가부장적 권위를 내려놓은 남성들의 소비 패턴에 틈새가 있다고 말하고 있지요.

 

'아프니까 청춘이다'로 유명한 김난도 교수를 비롯한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 연구원들도 '트렌드 코리아 2014'라는 책을 내며 내년을 관통하는 키워드로 '스웨그(swag)'를 제시했습니다. 힙합 뮤지션들이 즐겨 쓰는 이 단어는 진지함이나 심각함ㆍ무게감의 대척점에 있습니다. 페이스북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잘 드러나듯 말장난과 희화화, 섹스코미디를 바탕에 깔고 허세와 치기가 작렬하는 세태를 규정합니다.

 

그리고 경기에서 뜻밖의 결과를 낼 수 있는 후보를 일컫는 'DARK HORSES' 의 매 글자에 10가지 트렌드를 담아 소개한다. 극도로 세분화된 틈새시장, 사실상 무자본에 가까운 창업, 꽃중년으로 대비되는 '어른아이', SNS를 통한 직설화법과 관음증 등을 제시합니다.  

 

웰빙 트렌드를 이끌어가며 건강 소비자와 열정적 파트너를 만나고 계신 하이리빙 사업자 회원 여러분, 당신은 지금 2014년의 소프트 파워 트렌드를 준비하고 계십니까? 

 

 

 

정리 / Hisecret 에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