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수대] 위대한 '공부 거짓말'의 위기
중앙일보 이상언 입력2015.09.30. 00:06 수정2015.09.30. 08:29기사 내용
두 달 전 식사 자리에서 만난 강원도 부교육감은 힘든 일 중 하나가 학교 방문 때 학생들의 질문에 답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가 뽑은 ‘안 나오길 바라지만 늘 나오는 곤혹스러운 질문’ 1위는 “공부를 왜 해야 하나요?”
였다. 그 부교육감은 대학에서 교육학을 전공했고, 교육 행정고시에 합격해 교육부에서 약 25년간 일했다.
그도 이 원초적 질문에 어려움을 느낀다는데 보통의 선생님과 부모는 오죽할까.
“공부 열심히 하거라.” 영화 ‘사도’에서 영조가 세자에게 당부한다. 글 외우는 데는 소질이 없고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는 아들은 공부가 좋은 적은 1년에 한두 번이라고 말한다. 아버지 임금은 할 말을 잃는다.
고전적 답변으로는 ‘훌륭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가 있는데 제법 품격을 갖췄지만 결정적 허점이 있다.
“훌륭한 사람이 어떤 사람이냐” 또는 “공부를 하면 왜 훌륭한 사람이 되느냐”는 2차 질문을 유발한다는
점이다. ‘훌륭’의 실체를 설명하기 어려우니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처럼 공부 잘해서 큰 인물이 된 예를
들게 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공부는 잘했지만 결코 훌륭해졌다고는 볼 수 없는 인물이 우리 사회의
곳곳에 있어 설득력이 떨어진다.
교육철학자인 이홍우 전 서울대 교수는 『교육의 목적과 난점』이라는 책에서 ‘공부는 해보지 않고서는
왜 해야 하는지를 알 수 없는 일’이라고 역설한다. 공부는 세상을 보는 안목과 인식을 기르기 위한 것인데,
그 안목과 인식을 갖추지 않으면 그게 뭔지 알 수 없다고 설명한다. 결국 그의 주장은 공부의 목적으로
어른들이 제시하는 모든 건 공부를 시키기 위한 선의의 거짓말이라는 것이다. 틀리다고 말하기가 힘들다.
그런데 요즘의 ‘공부 열심히’는 모르는 것을 꾸준히 알아 가는 게 아니라 ‘아는 것을 실수하지 않는 부단한
연습’에 가까워졌다. 이른바 ‘물수능’과 쉬운 학교 시험의 효과다. 인류가 위대한 거짓말로 지켜온 문명이
사교육과의 전쟁이라는 특수 상황 논리에 휘둘리고 있다.
이상언 사회부문 차장
'1%를 위한, 지옥으로 모는 교육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영국 명문대생, `수능 영어` 풀어보더니 깜짝.."어렵다" (0) | 2015.11.01 |
---|---|
[스크랩] 고3 학생들 대학입시 거부 선언한다 (0) | 2015.10.31 |
[스크랩] 자퇴 여고생의 일침 "학교에 배움이 있습니까" (0) | 2015.07.11 |
[스크랩] 수학 말고 `수법`을 배우세요 (0) | 2015.07.01 |
어른이 겁주는 사회, 아이들에게 미안하다 (0) | 2015.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