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 저는 어릴 때부터 '왜 사는지?'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결론적으로는 다른 사람들한테 베푸는 거.. 거기에 삶의 이유가 있을 거 같고요, 또 그렇게 해야 행복할 거 같습니다. 모든 사람들이.. 그런데 그걸 실천하는 데 있어가지고 가족들이 제 생각같지는 않고 사실 저 자신도 그렇게 베푸는 게 쉽지 않습니다. 그럴 경우에.. 어느 정도 베풀어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 답 왜 사느냐? 베풀고 산다.. 답이 아닙니다. 왜 사느냐? 그냥 산다.. 이게 답이에요. 사는 데 이유가 있어서 사는 건 아닙니다. 자기가 오늘 저녁에 이유 없다고, 살까? 죽을까? 사는 데는 이유가 없어요. 그런데 여러분은 잘못 생각해요. 이유가 있어야 산다..? 그렇지 않아요.
태어날 때 무슨 이유가 있어서 태어나나? 그냥 태어나나? 태어나는 게 먼저 있고, 이유 찾는 건 나중에 있어요. 존재가 먼저예요. 언제든지.. 그래서 '왜 사느냐?'는 의문은 의문 자체가 잘못된 거예요.
왜 사느냐? '그냥 산다..' 그래도 자꾸 더 물으면.. '안 죽어서 산다..' 사는 게 먼저다, 이 말입니다.
그럼 어차피 사는데 어떻게 사는 게 좋으냐? 어떻게.. 욕심부리고 살 거냐? 베풀고 살 거냐? 즐겁게 살 거냐? 괴롭게 살 거냐? 이런 건 '어떻게?'에 대한 답이에요. '왜?'가 아니고..
어떻게 사는 게 좋으냐? 욕심부리고 사는 게 좋다 하면 그렇게 살면 되고.. 베풀면서 사는 게 좋다 하면 그렇게 살면 되고.. 그런데 그런 건 모두 부차적인 것이고, 핵심은 뭐냐 하면 즐겁게 살 거냐? 괴롭게 살 거냐?.. 이게 관건입니다. 누구나 다 즐겁게 살고 싶어 해요.
그럼 어떻게 하는 게 즐거우냐? 이걸 봐야 해요. 베풀고 사는 게 즐겁다 하면 베풀고 살면 되고.. 도움 받고 사는 게 즐겁다 하면 도움 받으면서 살면 돼요. 도움을 받고 사는 게 좋으냐, 주고 사는 게 좋으냐.. 이건 정해진 게 없어요.
나는 베풀고 싶은데, 한집에 같이 사는 부인이 반대한다 하면 베푸는 건 즐겁지만 부인하고 싸우는 건 괴롭잖아요? 그럼 그 두 개를 비교해서, 싸우는 괴로움보다 베푸는 즐거움이 크면 베풀면 되고 싸우는 괴로움이 베푸는 즐거움보다 크면 베풀고 싶어도 참아야지. 부인하고 타협을 해야 해요. 한집에 사니까.. 이게 삶이에요. 정해진 건 없어요.
부부가 같이 살면 의견조율이 필요합니다. 누가 옳고 그른 게 없어. 조율 안 하려면 혼자 살아야지. 같이 산다는 건 조율해야 한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혼자 사는 존재하고, 함께 사는 존재는.. 그 존재가 바뀝니다. 같은 존재가 아녜요. 결혼을 했으면 아무리 좋은 일도 부인하고 뜻을 맞춰서 살아야 돼요.
☞ "스님은 왜 사시나요?" 정말 우린 왜 살까요? <월도스님> http://cafe.daum.net/santam/JtXH/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