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향기 메일

그대가 있어 내가 있다/고진하 시인

장백산-1 2016. 12. 24. 23:08

▲ 고진하 시인

“그대가 구하는 것이 가장 지고하고 가장 위대한 것이라면, 식물들이 그대를 인도해 줄지니, 그대의 의지를 통해 의지 없이 자연 그대로 존재하는 자가 되도록 힘쓰라.” 시인 괴테의 말이다. 내가 찾는 것이 지고하고 위대한 것이라면 식물이 나를 인도해 준다고? 이게 무슨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인가. 식물 속에 인간과 소통할 수 있는 정령이라도 깃들어 있다는 말인가. 모든 것을 이성적이고 합리적으로 이해하려 했던 젊은 날 나는 이런 괴테의 말을 수긍할 수 없었다. 하지만 이제 나는 괴테의 말에 깊이 공감하게 됐다. 잡초를 뜯어 먹고 사는 우리 가족은 잡초의 생태에 대해 매우 민감한데, 어느 날 잡초를 한 바구니 뜯어 온 아내가 말했다. “여보, 우리 집이 너무 습해서 제 무릎 관절이 자주 아픈데, 놀랍게도 습기로 인해 생긴 병을 치료해 주는 풀들이 집 안에 많아 자라요.” 사실 우리 집 뒤란에는 물이 나는 샘이 있어 집안이 늘 습한 편이다. 그런데 집 주위에 관절 병에 좋은 우슬초가 자라고 있는 것이다.

얼마나 놀랍고 경이로운 일인가. 언젠가 나는 북아메리카에 살던 이로쿼이족 인디언에 관한 이야기를 읽은 적이 있는데, 그들은 말 없는 식물과도 교감하고 소통하는 영적인 지혜를 지니고 있었다. 사람이 병이 들면 그 병을 치유하는 데 필요한 식물이 나타나서 환자가 그 식물을 발견하도록 도와준다는 것이다(스티븐 헤로더 뷰너, ‘식물의 잃어버린 언어’). 그러고 보니 우리 집 안엔 폐 건강이 부실한 나를 위해 곰보 배추가 자라고, 관절과 뼈가 부실한 아내와 딸에게 필요한 우슬초나 새삼 같은 풀이 자라고 있다.

몇 년 전 인도 북부의 오지 라다크를 여행한 적이 있다. 해발 3000m가 넘는 라다크에는 살구나무가 많았다. 다른 과실나무는 찾아볼 수 없었다. 8월 초순이었는데, 워낙 건조해서 입술이 자주 마르고 텄다. 어느 시골 마을로 들어갔는데, 맘씨 좋아 보이는 촌로(村老)가 자기 집 안에 있는 살구나무에서 잘 익은 살구를 한 바구니 따서 건네주었다. 살구를 먹고 났더니 신기하게도 부르트던 입술이 금세 호전됐다. 그때 나는 깨달았다. 참 조물주의 섭리가 오묘하구나. 건조한 기후로 인해 피부가 상할 걸 염려해 조물주는 척박한 땅 라다크 땅에 살구나무를 자라게 하셨구나! 입이 없는 식물은 말을 하지 않지만 말이 없는 식물의 언어를 알아들을 수 있다면, 우리 인간의 삶이 더 풍부해지지 않겠는가. 그렇다면 우리는 식물을 인간의 쓸모에 소용되는 부수적인 존재가 아니라 친구로 여겨야 할 것이다. 우리는 식물이 없으면 살 수 없다. 우리 가족처럼 텃밭이나 들판에서 먹을 수 있는 식물을 구하든, 마트에 가서 돈을 내고 사서 먹든 식물은 우리 생존의 필수적 요소다. 그러나 인간중심주의에 길든 우리는 식물을 벗으로 사귀지 않는다. 오늘날 우리가 숱한 질병에 시달리는 것은 우리와 함께 진화해 온 식물의 치유의 힘을 멀리하기 때문이 아닐까.

인도의 산스크리트어 격언에는 ‘그대가 있어 내가 있다’는 말이 있다. 내가 있어 식물이 있는 게 아니라 식물이 있어 비로소 내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 다시 말하면 지구 어머니가 있어 내가 있고, 식물 같은 그대가 있어 내가 있으며, 물질이 있어 내 영혼이 존재한다는 것. 우리에겐 이런 만물의 상호 관계성에 대한 깊은 인식이 필요한 때다. 오늘날 생태적 종말의 징후가 급격한 기후변화나 조류독감 같은 전염병의 창궐로 나타나는 시절, 이런 인식의 전환만이 새로운 희망을 싹 틔울 수 있을 것이다.